[include(틀: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2>
[[파일:청주기공.jpg|width=200]] || ||<-2> {{{#fff '''[[청주공업고등학교|{{{#fff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 2011년에 교명이 청주공업고등학교로 변경(정확히는 환원)되었으나 야구부 이관은 교명 변경 전의 일이다.][br]{{{#fff '''(Cheongju Technical High School)'''}}} || || {{{#ffffff '''창단'''}}} || [[1994년]] || || {{{#ffffff '''첫 승'''}}} || [[1995년]] [[7월 25일]] VS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 ([[구덕 야구장|구덕]]) || || {{{#ffffff '''마지막 경기'''}}} || [[2008년]] [[3월 24일]] VS [[인창고등학교 야구부|인창고]] ([[목동 야구장|목동]]) || || {{{#ffffff '''해체'''}}} || [[2008년]] || || {{{#ffffff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1회 || ||
{{{#fff '''대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 || - || 1회(1996)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 || -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 || -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1회(2001) || - || - || || '''[[협회장기]]''' || - || - || -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01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진흥고등학교 야구부|진흥고등학교]] || → ||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 → ||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 [목차] [clearfix] == 연혁 == [[청주고 야구부 사건]]으로 사라진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 야구부를 재건하기 위한 시도가 1994년에 있었다. 그러나 사건 발생으로부터 불과 3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다시 야구부를 창단하기에는 주변의 시선이 여전히 따가웠으며, 결국 [[청주고등학교|청주고]] 동문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야구부 재건은 실패로 돌아갔다. 문제는 야구부 재건을 위해 선수는 다 모았다는 점인데, 어린 선수들을 졸지에 무적 선수로 만들 수는 없으니, 대신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2011년 청주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에 야구부를 만들게 된 것이었다. 그렇게 해서 청주기공 야구부가 탄생했다. 창단 3년째인 1996년 당시 2학년이던 언더핸드 에이스 [[마정길]]을 앞세워 대통령배 4강에 들면서 처음 이름을 알렸고, 2001년 마침내 첫 우승에 성공했다[* 정작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 야구부는 해체 전에도, 재창단 후 지금까지도 우승 경험이 없다.]. 2001년 당시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대회 참가 관계로 주축 선수들이 모두 빠진 틈을 타서[* 당시 아청 대표팀 명단이다. 투수 : 김진우(진흥고3) 박희수(대전고3) 송은범(동산고2) 우규민(휘문고2) 박재혁(성남서3) 박창근(경기고3) 김광희(성남고3) - 포수 : 이경환(경기고3) 강대헌(덕수정보고3) - 내야 : 박경수(성남고2) 서동욱(경기고2) 손주인(진흥고3) 조용원(진흥고3) 박요언(마산고3) - 외야 : 김규태(성남고3) 최석원(성남고3) 최근호(진흥고3) 남동욱(동산고3). 류제국(덕수정산고3)은 시카고 컵스와 계약을 마친 상황이어서 대표팀 선발에서 제외됐다.] 청주기공과 [[인창고등학교(경기)/야구부|구리인창고]]가 돌풍을 일으키며 결승에 올랐는데[* 두 팀 모두 전국대회 통틀어 첫 결승전 진출이었다.], 청주기공은 유격수에서 투수로 막 전향한 [[노병오]]와 언더핸드 투수 [[신주영(야구선수)|신주영]], 좌완 투수 [[박정규(야구선수)|박정규]]의 활약을 앞세워 [[인창고등학교(경기)/야구부|구리인창고]]를 15:1로 누르고 첫 우승에 성공했다. 노병오는 결승전에서 완투승을 거뒀고 최우수선수, 우수투수상, 최다타점상(12개)을 수상했다.[* 당시 두 팀의 감독은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학교]] 1년 선후배 전대영(청주기공), --커피--[[김진욱(1960)|김진욱]]([[인창고등학교(경기)/야구부|구리인창고]])이었다.][* 전대영 감독은 8강전에서 만난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가 가장 큰 난관이었으나,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에게 승리를 거둔 뒤 우승에 대한 확신이 생겼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당시 투수코치는 이승훈, 타격코치는 신경수였다.] 이 때도 청주기공 동문들도 좋아라 했지만,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 시절에 오매불망 첫 우승을 꿈꿨지만 이루지 못했던 [[청주고등학교|청주고]] 동문들도 [[동대문야구장]]을 더 많이 찾아와 응원을 했다는 후일담이 있을 정도였다. 청주기공이 창단했던 1994년 학교 재정으로는 팀의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총동문회에서는 무려 3억원을 내놨던 훈훈한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매년 야구부에 후원금을 전달하고 전용구장이 없어 이곳저곳을 전전하며 연습하던 부원들에게 음식을 날라다주기도 했다. 그 뒤 꾸준히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와 함께 충북 지역 야구를 대표하는 팀으로 있다가 2008년부터 선수들이 모두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로 전학을 가는 형식으로 야구부가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로 이관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청주고등학교 야구부]]로 역사가 이어지는 듯 하지만, 학교가 같은 것은 아니니...[* 청원정보산업고에서 이관한 [[청원고등학교 야구부]]는 사립학교에 같은 재단이니 역사도 이어지는 것으로 간주하지만 [[청주고등학교|청주고]]와 청주공고는 둘 다 공립이다.] == 출신 선수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윤태수(야구)|윤태수]]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97년/신인드래프트|1997년 2차 7라운드]] ||건국대-[[두산 베어스|두산]](2001~2004) || || [[마정길]]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1998년 2차 10라운드]] ||단국대-[[한화 이글스|한화]](2002~2010)-[[넥센 히어로즈|넥센]](2010~2017)|| || [[이동현(1979)|이동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2004년 2차 1라운드]] ||단국대- [[KIA 타이거즈|KIA]](2004~2010)-[[한화 이글스|한화]](2010~2011)|| || [[추승우]] || 내야수,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1998년 2차 12라운드]] ||성균관대-[[LG 트윈스|LG]](2002~2007)-[[한화 이글스|한화]](2008~2015)|| || [[노병오]]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2차 4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2~2003)-[[현대 유니콘스|현대]](2004~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10~2011)|| || [[박정규(야구선수)|박정규]]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0년/신인드래프트|2006년 2차 2라운드]] ||경희대-[[KIA 타이거즈|KIA]](2006~2012)|| || [[신주영(야구선수)|신주영]]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1차지명]] ||[[한화 이글스|한화]](2002~2012)|| || [[연경흠]]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2차 12라운드]] ||인하대-[[한화 이글스|한화]](2006~2013)|| || [[이범석(야구선수)|이범석]]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2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05~2016)|| || [[김민겸]] || 투수 || 2012년 [[신고선수]] 입단 ||탐라대-[[경찰 야구단|경찰]](2010~2011)-[[넥센 히어로즈|넥센]](2012)|| || [[손영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6년/신인드래프트|2006년 2차 1라운드]] ||[[KIA 타이거즈|KIA]](2006~2012, 2015~2018)|| || [[정범모]][* 청주기공 최후의 프로선수. 2022년 시즌 후 은퇴]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6년/신인드래프트|2006년 2차 3라운드]] ||영남사이버대-[[한화 이글스|한화]](2006~2018)-[[NC 다이노스|NC]](2018~2022)|| || [[정회찬]]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0년/신인드래프트|2010년 2라운드]] ||원광대-[[넥센 히어로즈|넥센]](2010~2016)|| [[분류:청주시 연고 구단]][[분류:해체된 야구부]][[분류:1994년 창단]][[분류:2008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