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절대부등식]][[분류:확률론]] [include(틀:절대부등식)] [include(틀:통계학)] [목차] == 개요 == {{{+1 Chebyshev inequality}}} [[러시아]]의 수학자 [[파프누티 체비쇼프]](Pafnuty Chebyshev[* 영어권에서 표기법이 중구난방인 이름 중 하나로 꼽힌다. 과거 표기법 중에 Cheyshev, Tchebychef, Tschebyscheff 등등 다 있다. 한국어로 옮길 때 체비''셰''프, 체비''쉐''프 등으로 잘못 전사되는 일도 많은 편.])가 발견한 [[절대부등식]]으로, 그의 이름을 땄다. [[확률 분포]]를 정확히 모를 때 해당 확률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값만으로 특정한 [[확률]]의 최솟값만큼은 알아낼 수 있는 [[부등식]]이다. 확률 분포의 평균을 [math(\mu)], 표준편차를 [math(\sigma)]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이를 '''체비쇼프 부등식'''이라고 한다. 단, [math(k)]는 양의 상수이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begin{aligned}P[|X-\mu|<:> [math(\begin{aligned}\sigma^2&=E[(X-\mu)^2]=\displaystyle\int_{-\infty}^{\infty}(x-\mu)^2f(x)\,{\rm d}x\\&=\int_{-\infty}^{\mu-k\sigma}(x-\mu)^2f(x)\,{\rm d}x+\int_{\mu-k\sigma}^{\mu+k\sigma}(x-\mu)^2f(x)\,{\rm d}x+\int_{\mu+k\sigma}^{\infty}(x-\mu)^2f(x)\,{\rm d}x\\&\geq\int_{-\infty}^{\mu-k\sigma}(x-\mu)^2f(x)\,{\rm d}x+\int_{\mu+k\sigma}^{\infty}(x-\mu)^2f(x)\,{\rm d}x \quad \biggl(\because\int_{\mu-k\sigma}^{\mu+k\sigma}(x-\mu)^2f(x)\,{\rm d}x\geq 0\biggr) \end{aligned})][* [math(\displaystyle\int_{\mu-k\sigma}^{\mu+k\sigma}f(x)\,{\rm d}x)]는 확률의 값이므로 0 이상이고 [math((x-\mu)^2\geq 0)]이므로 [math(\displaystyle\int_{\mu-k\sigma}^{\mu+k\sigma}(x-\mu)^2f(x)\,{\rm d}x\geq 0)]이다.] || 한편 [math((x-\mu)^2\geq k^2\sigma^2\,(\leftrightarrow\,x\leq\mu-k\sigma\,\textsf{or}\,x\geq\mu+k\sigma))]일 때는 다음이 성립한다. ||
<:> [math(\begin{aligned}\sigma^2&\geq\displaystyle\int_{-\infty}^{\mu-k\sigma}(x-\mu)^2f(x)\,{\rm d}x+\int_{\mu+k\sigma}^{\infty}(x-\mu)^2f(x)\,{\rm d}x\\&\geq\int_{-\infty}^{\mu-k\sigma}k^2\sigma^2f(x)\,{\rm d}x+\int_{\mu+k\sigma}^{\infty}k^2\sigma^2f(x)\,{\rm d}x\end{aligned})] || 양 끝 식을 [math(k^2\sigma^2)]으로 나누면 ||
<:> [math(\begin{aligned}\dfrac1{k^2}\geq\displaystyle\int_{-\infty}^{\mu-k\sigma}f(x)\,{\rm d}x&+\int_{\mu+k\sigma}^{\infty}f(x)\,{\rm d}x \quad (\because k^2\sigma^2\geq 0)\end{aligned})] || [math(f(x))]는 [[확률 밀도 함수]]이기 때문에 [math(\int_{-\infty}^{\infty}f(x)\,{\rm d}x=1)]이므로 ||
<:> [math(\begin{aligned}1-\dfrac1{k^2}\leq\displaystyle\int_{\mu-k\sigma}^{\mu+k\sigma}f(x)\,{\rm d}x&=P[\mu-k\sigma\leq X\leq\mu+k\sigma]\\&=P[|X-\mu|k \sigma})]의 경우로 간주할 수 있지만, 저 계단 함수는 [[볼록]]이 아니다. 즉, 체비쇼프 부등식은 이런 유형의 문제에서 젠센 부등식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접근을 취한다고 볼 수도 있다.] 중요성이 꽤나 큰 부등식이다. * [math(L^p)]-[[르베그 공간|공간]] 버전으로 다음과 같은 일반화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체비쇼프 부등식은 [math(p=2)], [math(z=k\sigma)]인 경우이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begin{aligned}P[|X-\mu| \ge z] \le \frac{\|X-\mu\|_p}{z^p} \end{aligned})]}}} * 경시대회 등에 주로 등장하는 체비쇼프 '''합''' 부등식과는 다르다. * [[프란체스코 파올로 칸텔리]]가 이 부등식을 이용해 한 쪽만 알고 싶을때 사용할 수 있는 [[칸텔리 부등식|부등식]]을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