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Der Checkpoint Charlie 옛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경계에 있던 연합군과 [[소련군]]의 [[검문소]]. 이 곳은 연합군 3군 중 [[미합중국 육군]]이 관할했고, 찰리는 [[음성 기호|파네틱 기호]]의 '''[[C]]'''를 뜻하는 것으로 특별히 다른 의미는 없다. 서베를린에서 동베를린 및 동독으로 넘어가는 검문소는 여러 곳이 있었는데, 체크 포인트 찰리는 외국인이 통과할 수 있었던 유일한 검문소였다.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의 검문소 형태가 다른데, 서베를린은 임시 목조 가건물의 형태로 있었으며, 동독은 고속도로 톨게이트처럼 건축되어 차량과 보도 이동 인원의 통제와 검문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서베를린 측의 가건물의 레플리카이고, 동독측의 검문소는 없어졌다. [[브란덴부르크 문]], [[베를린 장벽]], [[동서독 국경]]과 함께 독일 분단과 [[냉전]]의 상징적인 장소이다. [[존 F. 케네디]]와 [[로널드 레이건]]도 여기에 왔다 갔고, [[1961년]]에는 [[소련]] [[육군]]과 [[미군]]이 [[M48 패튼|전차]]를 몰고 와서 [[코]]앞에 갖다 대놓고 쏠까 말까 하던 곳도 여기다. [[냉전]] 당시 촬영한 사진을 보면 서베를린 쪽은 건물들이 빼곡한데 동베를린 쪽은 시내인데도 망명에 이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완전히 철거되어 썰렁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금도 동베를린 쪽엔 높은 건물이 별로 없다. == 각종 사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erlin_-_Checkpoint_Charlie_1963.jpg|wid=600&height=400]] [[1963년]]의 모습. [[파일:external/4.bp.blogspot.com/checkpoint-charlie-1961.jpg|width=600]] [[1961년]] 10월, [[베를린 장벽]] 건설후 2개월이 지난 후, [[오페라]]를 보러 동베를린으로 가려는 미국 [[외교관]] 알란 라이트너(Allan Lightner)에게 동독 측에서 [[여권]]을 제시하라고 요구하자 미군이 동베를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며 조사를 위해 체크 포인트에 조사를 위해 외교관 알버드 헴싱(Albert Hemsing)을 보냈다. 헴싱이 외교관 차량을 타고 동베를린 국경을 지나는 시도를 할때도 동독 측에서 여권과 신원을 요구하자 미군은 군경들이 나타나서 헴싱의 차를 엄호하며 동독 경찰들을 놀래켰고, 며칠 후 10월 27일에 헴싱은 이러한 시도를 다시 했다. 당시 서베를린 주둔 미군 사령관이었던 루시우스 D. 클레이 장군(General Lucius D. Clay)은 소련군이 나타나서 일을 벌이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M48 패튼 전차 10대를 체크 포인트 앞에 배치시키면서 대치가 시작되었다. M48 패튼의 배치 직후 소련군도 [[T-54|T-54A]] 전차 33대를 출동시켰고, 이후 서로가 서로의 전차들을 확인하자 소련군도 전차 10대만 남겼고, 50~100m 거리에서 '''17시간''' 동안 대치가 이어졌다. 결국 [[프레첼]] 장수의 수레(...)--배상금:프레첼이랑 수레값 그리고 탱크 연료값-- 하나만 손상을 입었고, 다음 날에 흐루쇼프와 케네디가 소련의 첩보원 게오르기 볼샤코프를 통해 전차 철수를 합의하고[* Kempe, Frederick (2011). Berlin 1961. Penguin Group (USA). pp. 478–479. ISBN 0-399-15729-8.] 미 육군과 소련 육군이 철수하면서 사태가 끝났다. 이때도 철수를 당장 하지 않고, 소련군 전차가 5m 뒤로 물러나자 미군 전차도 5m 물러나는 식으로 서로 눈치를 보듯이 찔끔찔끔 전차를 뺐다. [[파일:external/www.cityscouter.com/checkpoint-charlie.jpg|width=600]] ▲ 위에서부터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순으로 된 표지판. [[https://maps.google.com/maps?ll=52.5075,13.39027&spn=0.01,0.01&t=p&q=52.5075,13.39027|구글 지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eckpoint_Charlie_Berlin.jpg|wid=600&height=400]]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함께 검문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원래의 건물은 1990년 [[동서독 통일|독일이 통일]]되자 그대로 차에 실어서 베를린 연합군 박물관(AlliiertenMuseum)으로 보내졌다. 지금 있는 건물은 [[레플리카]]로, 바로 앞에는 체크포인트 찰리 박물관도 있다. 사진속의 소련군은 서독을 보고있고 반대쪽에는 철모를 쓴 미군 사진이 동독을 바라보고있다. == 여담 == * [[베를린 지하철 U6]] [[코흐슈트라세역]] 출구 코앞에 있다. * 초소에서 그 당시의 미 육군 복장을 하고 있는 알바들과 같이 어색하게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와 보신 분들의 말로는 남자는 돈을 받고 여자들은 공짜로 해 준다 한다(...). 2017년 현재 3[[유로]]를 내면 함께 촬영해준다. 2022년 9월 기준 사진 알바는 없다. * 검문소 바로 옆 건물에는 '독수리 카페'(Cafe Adler)가 있는데, 검문소에 걸쳐 있어 [[커피]]를 마시면서 동베를린을 바라보기 좋은 장소였다고 한다. == 미디어 == * 실화를 다룬 영화 Die Frau vom Checkpoint Charlie, 한국명 '사랑의 국경선'에서 등장한다. * 분단된 독일을 배경으로 하는 [[스파이 브릿지]], [[맨 프롬 엉클(영화)|맨 프롬 엉클]], [[옥토퍼시]], [[이중간첩]] 등에서도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의 벽 안의 벽돌 미션에서 전직 [[슈타지]] 요원인 크라우스가 지나가는 곳으로 등장한다. [[분류:베를린]][[분류:독일의 역사]][[분류:미국의 역사]][[분류:소련의 역사]][[분류:영국의 역사]][[분류:프랑스(20세기)]][[분류:냉전]][[분류:미소관계]][[분류:독러관계]][[분류:영러관계]][[분류:러시아-프랑스 관계]][[분류:서독-동독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