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cello concerto, 첼로 協奏曲. 첼로 협주곡은 독주의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이다. 첼로 협주곡은 역사 자체는 오래되어서, 바로크 시절부터 작곡되어 왔다. 하지만 초창기부터 유아독존 했던 [[바이올린]]과는 다르게 첼로는 '비올'([[비올라 다 감바]])이라는 당시 유행했던 악기와 경쟁을 해야 했다. 또한 엔드핀이 개량되기 전에는 연주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불편했고, 그 때문에 악기의 테크닉적인 면도 발달이 더뎠다. [[요요마]]가 바로크 첼로를 이용해서 연주한 녹음이 있는데 그 때 요요마는 마치 말등에 올라탄 것 같았다고 회상했었다. 그 결과, 19세기 이전에는 [[비발디]], [[하이든]],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C.P.E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우리가 아는 그 바흐]]의 둘째 아들이다.], [[보케리니]] 등이 작곡한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중요 작품이 거의 없었다. 독주 악기로서 첼로가 제대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은 엔드핀이 첼로에 장착되면서 연주자들의 기량이 매우 빠르게 발전한 낭만파 시대부터다. 이후 [[로베르트 슈만|슈만]], [[카미유 생상스|생상스]], [[드보르작]]등 많은 작곡가들이 첼로 협주곡을 작곡하게 되고, 현대 작곡가에게는 첼로가 표준적인 협주곡 악기가 되었다. 작곡가들이 첼로 협주곡을 쓸 때 신경쓰는 것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첼로 소리가 관현악 연주에 묻혀 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높은 음역으로 인해 관현악에 묻히지 않고 잘 들리는 바이올린과는 달리, 첼로는 음역이 낮아서 거의 독주 상태가 아니면 묻히기 쉽다. 때문에 첼로가 낮은 음역에서 연주 중일 때는 관현악의 연주를 축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징을 잘 살린 첼로 협주곡이 [[에드워드 엘가|엘가]]의 첼로 협주곡이다. == 대표 작품 == * [[첼로 협주곡 B단조(드보르자크)|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B단조]] - 가장 유명한 첼로 협주곡이라 할 수 있으며 실제 가장 자주 연주되는 작품이다. 1894년 말~1895년 초에 [[안토닌 드보르자크|드보르작]]이 미국이 머물던 동안에 작곡된 것이며, 드보르작의 마지막 협주곡이다. 그의 교향곡 '신세계로부터'와 마찬가지로 미국 민속 음악에 슬라브 정서가 가미된 첼로 협주곡의 명곡이다. 브람스는 이 곡을 듣고는 "내가 저런 첼로 협주곡을 작곡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면 내가 진작에 작곡했을 텐데!"라고 한탄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총 3악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여타 다른 첼로 협주곡과 다르게 20~30분이 아닌 40분정도되는 대작이며,오케스트라의 규모또한 교향곡과 비교될 정도로 큰 스케일을 가지고 있다. 드보르자크의 탄탄한 스트링을 밑바탕으로 목관의 공명과 금관의 볼륨과 첼로 솔로의 웅장함은 가히 황제협주곡이라고 불릴 만 하다. * [[첼로 협주곡 E단조(엘가)|엘가 첼로 협주곡 E단조]] - 작곡 초기에는 그다지 인정받지 못한 곡이었다고 하는데 엘가가 평소에 작곡했던 분위기와는 완전히 다르게 곡 전체가 우울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많은 첼리스트들의 명연이 쏟아져 나오면서 대중들에게 인정을 받기 시작했고 결정적으로 19살의 신예 첼리스트였던 [[자클린 뒤 프레]]의 연주가 EMI에서 발매되면서 이 곡은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레퍼토리가 되었다. 자클린 뒤 프레의 녹음은 그 명성만큼이나 재밌는 에피소드도 많은 편이다. 첫번째로는 1,2악장의 녹음 세션을 마치고 잠깐의 휴식시간을 가졌는데 끝나고 보나 사람들이 꽤 모여있었다고 한다. 이유는 연주가 너무 훌륭했고 이것이 쉬는시간 동안 순식간에 소문으로 퍼져서 사람들이 모였던 것. 이후 3,4악장은 마치 실황 녹음처럼 진행이 되었다고 한다. 두번째는 녹음이 모두 끝나고 뒤 프레가 자신이 연주한 녹음을 들었는데 자기가 원하던 것과는 전혀 다른 결과물이 나왔다는 것에 울음을 터뜨렸다고 한다. 세번째로는 이 음반을 들은 러시아의 거장 첼리스트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는 자신은 이 소녀보다 이 곡을 더 잘 연주할 자신이 없다고 하면서 이 곡을 레퍼토리에서 삭제했다고 한다.[* 1965년에 이 말을 했는데, 그 이전에 로제스트벤스키/런던심포니오케스트라와의 협연과 나탄 라킨/모스크바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의 실황연주들이 있으며, 이례적으로 1968년 로제스트벤스키/런던심포니오케스트라와의 카네기홀 마라톤에서 이 곡의 연주기록을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이 곡의 쓸쓸한 분위기만큼이나 그녀도 갑작스럽게 신경 다발성 경화증에 걸려서 사망했다는 것이 그것이다. * [[첼로 협주곡 C장조(하이든)|하이든 첼로 협주곡 제1번 C장조]], 첼로 협주곡 제2번 D장조 -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 제 2번의 경우 하이든의 자필악보가 발견되기 전까지 위작 논란이 끊이질 않았는데 그 이유가 당시의 첼로 협주곡들에 비해서 너무 어려운 테크닉들을 요구하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 [[슈만]] 첼로 협주곡 A단조 - 당시 연주자들에게 어려운 테크닉을 요구해서 생전에 연주되는 것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이 곡이 슈만의 거의 마지막 작품이기도 했지만 말이다. * [[생상스]] 첼로 협주곡 A단조 * [[에두아르 랄로|랄로]] 첼로 협주곡 D단조 *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 교향곡(프로코피예프)|프로코피예프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 교향곡]] - 프로코피예프의 최후기 작품에 해당하며 개정 작업중 그가 숨을 거두는 바람에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가 마무리 작업을 하여 발표하였다. * [[첼로 협주곡 1번(쇼스타코비치)|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첼로 협주곡 1번 E♭장조]] - 서양권에서 상당히 인기있는 곡이며 한국 출신의 첼리스트 [[장한나]]의 음반으로도 유명하다.[[https://classicalcandor.blogspot.com/2011/03/shostakovich-cello-concerto-no-1-cd.html|리뷰]] * [[첼로 협주곡(굴다)|굴다 첼로 협주곡]] [각주] [[분류:협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