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초 군주)] ||<-3> '''{{{#ece5b6 초(楚)나라 19대 왕[br]{{{+1 선왕}}}[br] 宣王}}}''' || ||<-2> '''[[성씨|{{{#ece5b6 성}}}]]''' ||미(羋) || ||<-2> '''[[본관|{{{#ece5b6 씨}}}]]''' ||웅(熊) || ||<-2> '''[[휘|{{{#ece5b6 휘}}}]]''' ||량부(良夫) || ||<-2> '''{{{#ece5b6 아버지}}}''' ||[[초도왕]](楚悼王) 웅의(熊疑)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340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369년~ 기원전 34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국시대]]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35대 군주, 19대 [[왕]]. [[초도왕]]의 [[아들]]이며, [[초숙왕]]의 [[동생]]이다. 숙왕에게 아들이 없어 그 뒤를 이었다.[* 비슷한 사례로 [[고구려]]의 [[고국천왕]]에게 아들이 없어 그 동생인 [[산상왕]]이 이었다.] 선왕의 치세때 초나라가 강성해졌다. == 재위 중 일어난 일 == 초 선왕 7년(기원전 363년), 초나라는 파나라 땅에 한중(漢中)과 검중(黔中)을 설치했다.[* 훗날 진나라가 거기에 한중군과 검중군을 설치했다.] 초 선왕 12년(기원전 358년), 초나라가 [[위(전국시대)|위(魏)나라]]를 [[황하]]의 장원에서 쳤다. 초 선왕 17년(기원전 353년), 초나라는 [[경사(초나라)|경사]]로 하여금 위나라를 치게 했는데, 위나라는 조나라의 한단을 공략하느라 방어가 허술했으므로 초나라는 수수(睢水)와 회수(濊水) 사이의 땅을 얻었다. 그래서 초나라의 위엄이 [[중원]]에 다시금 울리게 되는데, 이때 초 선왕은 북방에서 재상 소해휼을 두려워하자 그를 마뜩치 않게 여기던 차에 심복인 강을을 불러 그 일에 대해 물으니 강을은 소해휼이 두려운게 아니라 선왕을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말해주었다. 이것이 [[호가호위]]의 고사다. 자세한 내용은 [[호가호위]] 문서와 [[소해휼]] 문서 참조. 초 선왕 26년(기원전 344년), 초나라에서는 경사를 보내 [[채나라]]를[* 무왕의 아우 채숙 도의 후손 채나라가 아니라 고채(高蔡)에 있는 별개의 국가다.] 쳐서 그들을 제거했다. 초 선왕 30년(기원전 340년), 선왕이 죽고 아들 웅상이 뒤를 이었다. 그가 [[초위왕]]이다. [각주] [[분류:초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4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