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초 군주)] |||||| '''{{{#ece5b6 초(楚)나라 33대 국군[br]17대 왕[br]{{{+1 성왕}}}[br] 聲王}}}''' |||||||||| |||| '''[[성씨|{{{#ece5b6 성}}}]]''' |||| 미(羋) || |||| '''[[본관|{{{#ece5b6 씨}}}]]''' |||| 웅(熊) || |||| '''[[휘|{{{#ece5b6 휘}}}]]''' || 당(當) || |||| '''{{{#ece5b6 아버지}}}''' |||| [[초간왕]](楚簡王) 웅중(熊中)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408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407년~ 기원전 402년 || [목차] [clearfix] == 소개 == 중국 [[전국시대(중국)|전국시대]]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제33대 군주. 제17대 [[왕]]. [[초간왕]]의 [[아들]]이며, [[초도왕]]의 [[아버지]]. 이 당시에 초나라의 정세는 불안하였다. == 생애 == 초 간왕 24년(기원전 408년), 초 간왕이 사망하자, 웅당이 뒤를 이어서 초나라의 군주로 즉위하였다. 초 성왕 6년(기원전 402년), 초 성왕은 [[강도]]들에게 살해 당하고, 그 뒤를 아들인 웅의가 이으니 그가 바로 [[초도왕]]이다. 초 성왕이 도적에게 죽었다는 것은 당시에 초나라의 상황을 잘 반영하는데, 그것은 초 성왕이 무능하여 난리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그가 죽고 [[시호]]를 성환왕(聲桓王)[* [[칭화대학|청화대학]](清華大學)에서 발견된 [[청화간]](清華簡)의 내용 중에 초나라의 역사를 담은 문헌인 계년(繫年)의 기록.]으로 받았다. 앞글자인 성(聲)은 [[시법]]에서 나라를 살리지 못했다라는 의미로 악시[* 나쁜 의미의 시호라는 뜻.][* 원문은 不生其國曰聲.]이다. 그래서 성환왕의 약칭 시호는 성왕(聲王)인데, 주로 약칭 시호로 많이 호칭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초성왕, version=37)] [[분류:초나라의 군주]] [[분류:기원전 40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