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초 군주)] ||<-3> '''{{{#ece5b6 초(楚)나라 18대 왕[br]{{{+1 숙왕}}}[br] 肅王}}}''' || ||<-2> '''[[성씨|{{{#ece5b6 성}}}]]''' ||미(羋) || ||<-2> '''[[본관|{{{#ece5b6 씨}}}]]''' ||웅(熊) || ||<-2> '''[[휘|{{{#ece5b6 휘}}}]]''' ||장(臧) || ||<-2> '''{{{#ece5b6 아버지}}}''' ||[[초도왕]](楚悼王) 웅의(熊疑)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370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381년 ~ 기원전 37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국시대]]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34대 군주. 18대 [[왕]]. 초 도왕이 죽고 그 뒤를 이었다. == 생애 == 초 도왕이 죽은 뒤 [[오기(전국시대)|오기]]를 미워한 초나라 귀족들이 그를 죽였는데, 오기는 자신의 죽음을 피할 수 없음을 알고 기지를 발휘해 도왕의 시신 곁에 있다가 거기서 화살에 맞아 죽었다. 그래서 화살이 도왕의 시신에 꽂혔는데 초 숙왕이 즉위하고[* 오기가 예뻐서 그들을 죽인 게 아니라 왕의 시신에 함부로 화살을 쏘아 맞춘 죄를 지어 죽인 것이다. [[초소왕]] 시절 오왕 [[합려]]와 그를 도운 [[오자서]]가 침공했을 때 오자서가 [[초평왕]]의 무덤을 파 [[굴묘편시]]한 이후에 왕의 몸에 쇠붙이로 상처입히게 하면 사형에 처하는 법이 생겨는데 오기는 이를 이용해 동귀어진을 시도한 것이다.] 왕의 시체에 화살을 쏘아 맞힌 자의 일족을 멸하니 무려 70여 가구가 화를 입었다고 한다. 초 숙왕 4년(기원전 377년), 초나라는 촉나라의 공격을 받아 자방[* 후한 시대 여강군 송자현에 속한 땅이다.] 땅을 잃었다. 초나라에서는 천관에서 촉군을 막아 물리쳤다. 초 숙왕 6년(기원전 375년), [[위(전국시대)|위나라]](魏)가 초나라와 유관에서 싸웠고 노양 땅을 빼앗았다. 이때 [[한(전국시대)|한나라]](韓)가 [[정나라]]를 멸하고 신정(新鄭)으로 천도한다. 한나라에서는 [[한애후]] 2년의 일이었다. 초 숙왕 11년(기원전 370년), 숙왕이 죽었는데 후계를 남기지 못해 그의 동생인 웅량부가 즉위하니 그가 바로 [[초선왕]]이다. 재위 기간 동안 별다른 일은 없었으나 2006년 발견되어 중국 고대사에 적잖은 수정을 필요하게 한 《청화간》〈[[계년]]〉이 그의 치세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각주] [[분류:초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7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