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다행복학교]][[분류:부산광역시의 남자중학교]][[분류:서구(부산)의 중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984년 개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 서구의 중학교)]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학교 전경 이미지)|width=100%]] }}}|| ##|| 학교 전경 || ##학교 전경을 넣으실 때에는 #를 빼고 넣어주십쇼. ||<-2> '''{{{+1 초장중학교}}}[br]草場中學校[br]ChoJang Middle School''' || ||<-2> [[파일:img_970e0d8e-eaa7-4c8e-891c-563707ff224e1570669440101.png]] || ||<-2> [include(틀:지도, 장소=초장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84년]] [[3월 5일]] ||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성별''' || [[남자중학교]] || || '''형태''' || [[공립]] || || '''교장''' || 제17대 고문숙 || || '''교감''' || 김O표 || || '''교훈''' || 성실하자 창조하자 협동하자 || || '''교화''' || [[장미]] || || '''교목''' || [[은행나무]] || || '''학생 수''' || 203명 (남 203명 , 여 0명)[br]^^2023-03-01^^ || || '''교원 수''' || 26명 (남 6명 , 여 20명)[br]^^2023-03-01^^ ||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 ||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해돋이로(부산)|해돋이로]] 205 ([[초장동(부산)|초장동]]) || || '''홈페이지''' || [[http://school.busanedu.net/chojang-m/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초장동(부산)|초장동]] 소재 [[공립]] 일반계 [[남자중학교]]로서 1984년에 개교했다. 2006년에 낡아서 노후화된 건물을 리모델링했으며 2018년 3월 1일부로 [[다행복학교]]로 지정되어 2022년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2021학년도 기준 전교생 숫자가 198명으로 사상 최초로 전교생 숫자가 200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 학교 연혁 == || 2022.12.30 || 자유학년제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수상 || || 2020.09.01 || 제16대 김명수 교장 취임 || || 2019.03.04 || 제 36회 입학식(3학급 71명) || || 2019.02.11 || 제 33회 졸업식(102명, 누계 9,881명) || || 2018.03.01 || 부산다행복학교 운영 ( ~2022. 2.28.) || || 2018.03.01 || 제 15대 이현자 교장 부임 || || 2017.10.20 || 부산다행복학교 선정 || || 2017.03.01 || 부산다행복예비학교 운영 || || 2016.12.19 || 100대 교육과정운영 우수학교 교육감상 수상 || || 2016.01.27 || 선진형 교과교실제 운영 우수학교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수상 || || 2015.12.30 || 자유학기제 운영 우수학교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수상 || || 2014.12.19 || 교과교실제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상 수상 || || 2013.06.19 || 선진형 교과교실 개관식 || || 2012.12.31 || 학습환경 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교육장상 수상 || || 2012.11.13 || 홈페이지 우수학교 교육감상 수상 || || 2011.12.30 || 학력신장 최우수 학교 교육장 표창 수상 || || 2011.01.20 || 중고교 영어 신문 콘테스트 우수학교 || || 2010.12.31 || 학력신장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09.12.31 || 학력신장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09.02.28 || 영어 전용실 설치 완료 || || 2008.09.03 || 본관 리모델링 완공 || == 교훈 및 상징 == === [[교표]] === [[파일:img_970e0d8e-eaa7-4c8e-891c-563707ff224e1570669440101.png]] 한자인 풀 초([[草]])의 모양을 본따서 지은 교표다. 이 교표는 [[교복]] [[마이]]와 [[학교 체육복]] 상의에 새겨져 있다. === 교화 === * [[장미]] === 교목 === * [[은행나무]] === 교훈 === >'''성실하자 창조하자 협동하자''' === 교가 === === 캐릭터 === [[파일:img_35ab3f9d-e98d-4fd5-a6c6-7b76609ba1561570669440101.png]] 천마돌이라는 이름의 [[캐릭터]]로서 초장중학교의 마스코트라고 한다. [[천마산]] 자락에 위치한 특성상 천마산의 명칭을 따서 지은 이름이라고 하는데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게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다... == 학교 특징 == 학교가 해발고도가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천마산]] 자락에 학교가 들어서있는 것도 있지만 [[초장동(부산)|초장동]] 동네 특성상 [[달동네]]처럼 산등성이에 주거지역이 위치해 있어 다른 동네보다 해발고도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해돋이로(부산)|해돋이로]]에서 학교로 올라가는 길은 가파른 오르막길이라 매일 등교하는 학생 입장에서는 사실상 등산이나 마찬가지다(..) --그래도 [[부곡중학교(부산)|여]][[동양중학교(부산)|기]][[신덕중학교|보]]단 낫다--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덕택에 전망이 매우 좋으며 [[자갈치시장]]과 [[남포동(부산)|남포동]], [[용두산공원]]과 높게 솟은 [[부산타워]], [[영도대교]]와 [[부산대교]], 그리고 [[영도구]]까지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또한 학생 수가 매우 적어 한 학년 학생 수가 약 70명 정도로 100명이 채 되지 않는다. 교명 특성상 외부인들은 그 [[초장]]--된장간장고추장--을 먼저 생각하기 일쑤다. === 교복 및 체육복 === [[https://blog.naver.com/smartfnd/178781391|초장중 교복]] [[교복]] 마이는 짙은 감청색 계열에 조끼와 바지도 동일한 색상이다. 특히 바지의 경우 [[경남중학교]]와 거의 완전히 동일하며 조끼의 경우 약간 비슷하다. 넥타이는 따로 없으며 인근 중학교 교복에 비해 매우 심플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복]]의 경우 현재는 [[생활복]]으로 바뀌고 있는 상태이며, 2019학년도에 입학한 학년부터 생활복을 입고있다. 기존 하복은 작은 [[바둑판]] 체크무늬들이 새겨져 있었고 연한 하늘색 계열의 흰색이었다. [[학교 체육복]]은 디자인이 매우 구리기로 악명이 높은데 개교 당시부터 사용되어온 체육복을 변화 없이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육복에 불만이 있는 학생들이 매우 많다. 때문에 2019학년도를 기점으로 파란색 계열의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 학교 시설 == 개교 당시에는 一자 구조로 되어있었는데, 2000년대 중반에 증축 확장 공사를 시행하면서 ㄱ자형 구조로 건물을 증축 및 확장시켰으며 확장한 곳이 2000년대 중반에 증축한 구역이다. 증축한 구역 건물은 지하 1층에 [[주차장]]과 유도부실이 위치해 있으며 [[교무실]], 교장실, [[급식실]]이 있으며 맨 꼭대기층에 다목적[[강당]]이 위치해 있다. 2020학년도에 주차장과 운동장 입구 부분에 [[배움터지킴이]] 경비실이 새로 들어섰다. == 학교 생활 == == 운동부 == 특성화운동부로 [[역도]]부를 보유하고 있는 중학교로 각종 대회에서 수상을 많이 하고 있다. 훈련 장소인 역도실은 학교 정문에서 걸어올라오면 바로 보이는 건물에 위치해있으며 주차장 바로 아래쪽 1층에 위치한 곳이다. == 출신 인물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초장중학교 || [[부산 버스 134]], [[부산 버스 190]] || 이 두 노선은 [[서구(부산)|서구]] [[산복도로]]인 [[해돋이로(부산)|해돋이로]]를 경유하는 단 둘 뿐인 노선이다. 다만 둘 다 배차간격이 15분에 육박하여 한 대를 눈 앞에서 놓쳐버리면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2007년 준공영제 이전에는 134번 대신 [[부산 버스 35|35번]]이 해돋이로를 경유하였다. [[동대신동]], [[서대신동]] 지역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190번을 이용해야하는데 134번 못지 않게 배차간격이 긴 편이라 하교 시간대에 버스 정류장으로 우르르 달려 내려가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 철도 === * [[파일:Busan1.svg|width=17]][[부산 도시철도 1호선]]: [[토성역]] 그나마 학교와 가장 가까이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다만 도보로 약 20분 정도 걸리므로 버스를 이용하여 가는 편이 훨씬 낫다. == 기타 == * 인구 수가 적은 [[초장동(부산)|초장동]] 일대에 위치해 있어 매 년 마다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다. '''서구에서 가장 학생 수가 적은 중학교로''' 2019년 기준 학생 수가 209명에 불과하다. 특히 인근의 [[경남중학교]]는 단성학교임에도 불구하고 학생 수가 400명을 훌쩍 넘어가며 역시 단성학교인 [[서대신동]] 소재 [[부산대신중학교]]도 학생 수가 400명을 넘어간다. 이 두 학교는 평지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며 근처로 여러 아파트단지들이 개발중에 있고 [[동대신동]], [[서대신동]] 일대 [[재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여러 아파트단지가 준공되어 학령 인구가 늘어났다. 경남중학교는 말할 것도 없이 [[토성역]]이 학교 바로 앞에 위치해있으며 야구부를 보유하고 있는 학교답게 원거리 통학생들도 있으며 그만큼 접근성이 뛰어나다. * 반면 초장중학교는 [[천마산]] 자락에 위치해있어 근처로 이렇다 할 개발소식이 전무하고 [[산동네]]인 특성상 젊은 층 인구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인구 유입을 기대할 수 없는 입장이다.[* 당장 옆에 위치한 [[아미초등학교]]만 해도 2019년 1학년 신입생이 불과 '''5명'''에 불과하였다.] 때문에 학생 수가 해마다 점차 줄어들어 2019년 기준 3학년 졸업생 수가 불과 71명에 불과할 정도이며 2020년에는 전교생 수가 200명 미만으로 줄어드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 앞서 말할 두 중학교에 비해 접근성이 떨어지는데다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초장동에 위치해 있어 2006년도에 리모델링했다고는 하지만 건물이 지어진 지 오래 된데다 학교 면적도 좁으며 시설 또한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초장중 진학을 기피하는 것도 있다.[* 이는 [[송도중학교(부산)|송도중학교]]도 마찬가지다. 다만 송도중학교의 경우 [[부산관광고등학교]]와 동일한 재단인데다 사립이기에 관광고 진학을 노리고 입학하는 학생들이 있으며 교통이 나름 괜찮은 남부민동에 위치해있어 상황은 낫다.] * 이 학교를 [[남녀공학]]으로 형간전환시켜라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서구에 남녀공학 공립 중학교가 하나도 없다는 문제도 있지만''' 여학생들이 갈 수 있는 [[여자중학교]]가 [[부산여자중학교]]와 [[부산중앙여자중학교]], [[대신여자중학교]]로 모두 [[대신동]] 지역에만 몰려 있어서 아미동, 초장동, 남부민동, 암남동에서 통학하기에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반면 [[남자중학교]]는 [[부산송도중학교]], [[경남중학교]]가 각각 남부민동과 토성동에 위치해 있어 통학에 큰 문제는 없다.] 초장동에 위치한 이 학교를 남녀공학으로 바꾼다면 여학생들의 통학 문제도 해결하면서 학생 수도 늘어나니 일석 이조일 것이기 때문이다. * 2019년 [[겨울방학]]을 맞아 [[석면]] 해체작업 공사가 한창 진행중에 있다. 그 외에도 기타 자잘한 공사를 시행할 예정이라 한다. 때문에 2019년 [[여름방학]] 기준 인근의 다른 중학교보다 방학 기간이 1주 정도 짧았으며 겨울방학 시작일도 [[졸업식]]과 [[종업식]]이 모두 행해진 직후 1월 1일부터 시작되며 [[봄방학]] 없이 2020학년도 1학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계속 방학이 이어진다. * 서구 관내에선 거의 유일무이하게 상당히 이른 2019년 12월 31일 졸업식과 종업식을 진행하였는데 이것이 [[기우]]가 되었다. 이유는 당연지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여파로 2월에 졸업식을 하는 학교들은 졸업생을 제외한 학부모를 포함한 외부인의 학교 건물 출입이 전면 통제되어서 제대로 된 졸업식을 진행할래야 진행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초중고등학교들의 2020학년도 1학기 개학이 [[4월 6일]]로 전면 연기됨에 따라 매우 길고 긴 방학을 보냈다. * 2020년 겨울방학 기간 동안 [[운동장]] [[스탠드]]에 [[지붕]]을 설치하는 공사를 진행하였다.[* 같은 시기에 [[부산대신중학교]] 또한 스탠드에 지붕을 설치하였다.] 다만 스탠드 계단 부분이 노후화되어서 시멘트가 균열이 생기고 부식되는 등 말이 아니라서 보수가 시급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