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량/목록]] {{{+1 江華草芝大橋}}} [목차] == 개요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간을 잇는 [[84번 지방도]] 해상[[교량]]이다. 개통 초기에는 [[강화대교]]의 교통량을 분담하는 기능 등의 이유로 '''제2강화대교'''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정식 명칭인 강화초지대교는 [[조선]] 시대 군사시설인 [[초지진]](草芝鎭)에서 따왔다. 다리 입구에서 직선거리로 500m 떨어진 지점에 초지진이 있고 초지진에서 2km를 더 올라가면 덕진진이 있다. [[김포 골드라인]]가 종점부에선 [[48번 국도]]에서 벗어나 초지대교 방면 교통축을 따라 [[구래동]]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시철도 개통 이후 [[구래역]]에서 초지대교를 건너 강화도로 가는 시내버스[* [[인천 버스 70|70번]], [[인천 버스 71|71번]]]는 환승수요로 인해 승객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사양 == 길이 1.2㎞, 폭 17.6m의 왕복 4차로 교량으로, [[인도(동음이의어)|인도]] 겸 [[자전거]]도로도 같이 시공되었다. 다리 아래로 선박이 통행하기 위해 다리 가운데가 끝보다 높은 형태이다. == 목적 == 기존 [[강화군]] 동북부와 [[김포시]] 서북부를 잇는 다리인 [[강화대교]]([[48번 국도]])의 교통량 포화에 따른 대체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강화읍으로 직결되는 강화대교와는 달리 강화도 동남부 길상면으로 직결된다. 1995년 민자유치 사업으로 착공되었다. 하지만 공사중 중간에 시공사가 부도가 나자 1999년 [[인천광역시]]가 사업 자체를 인수하여 발주자로 감독하게 되었고 다시 공사를 재개하여 2002년 8월 공식 개통하였다. == 주변 관광지 == 주변 관광지로는 초지대교 동쪽 끝에 [[대명항|김포 대명항]]이라는 [[항구]]가 있고 이 항구 주변에 횟집이 많아서 해산물 식도락 관광객들의 발길이 닿는다. 그리고 강화도 남부의 [[마니산]], [[전등사]], [[초지진]], [[덕진진]] 등이 있다. 특히 서울에서 강화리조트, 전등사, 외포리, 동막해수욕장, 정수사, [[강화 SSG 퓨처스필드]] 등을 자가용으로 방문할 때는 강화대교보다 이 쪽 루트를 타는 것이 훨씬 빠르다. == 이 곳을 건너는 버스 노선 == * [[인천 버스 60-5]] * [[인천 버스 70]] * [[인천 버스 71]] [[분류:서해의 교량]][[분류:84번 지방도]][[분류:2002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