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總]][[司]][[令]][[官]] / Supreme commander, Commander-in-chief ''' '''최고사령관'''이라고도 한다. [[문민통제]]의 개념이 이루어지고 있는 21세기의 대다수 국가들에서는 군대 내 보직으로는 더 이상 쓰이지 않으며, 군 [[통수권]]을 가진 [[국가원수]] 또는 [[정부수반]]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 상세 == 전군, 또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큰 [[단위]]의 [[군대]]를 총지휘하는 [[직책]]을 뜻한다. 총사령관이 지휘하는 곳은 총사령부다. [[러시아군]]의 각 군 [[참모총장]]은 총사령관이라고 [[번역]]한다. [[국가]]마다 다르지만 [[미국]]이나 [[한국]] 같은 [[대통령제]] 국가의 경우는 국가와 군대의 총사령관은 [[국군통수권]]을 가진 국가수반이라는 [[개념]]을 적용시켜서 선출직 [[대통령]]이 군대의 총사령관이 되고, [[국방장관]]이 [[문민통제]]를 강화하는 역할로서 [[국방부]]를 총괄하는 동시에 [[내각]]의 일원으로서 대통령을 보좌한다. 또한 [[제복군인]] 중 최선임도 국가수반을 보좌하는 군 참모진 중 최고인 [[합참의장]] 또는 [[참모총장]]이 된다. 그 외 국가에서는 [[국가원수]]가 직접 [[군복]]을 입고 [[군]]을 지휘하거나,[* 대부분 [[군주제]] 국가의 [[군주]]는 군 [[원수]] 계급을 가지며 공식석상에서 군 예복을 입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군주가 총사령관으로서 군 통수권을 가짐을 의미한다.] [[미얀마]]와 같이 제복군인 최선임자가 총사령관으로서 [[통수권]]을 행사하기도 한다. 특이하게도 [[독일 연방군]]의 경우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반성으로 평시에는 정부수반인 [[총리]]에게 통수권이 주어지지 않고 국방장관이 통수권을 맡으며 전시에만 총리에게 통수권이 부여된다. 구 [[일본 제국 육군]]에서는 총군의 [[사령부]]를 총사령부, 그 장을 총사령관이라 칭했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당직]] 계통의 최고 선임을 [[당직총사령]]이라 한다. == 기타 == [[한국]]에서는 [[북한]] 김씨일가의 직함 중 하나가 '최고사령관'이어서 최고사령관이라는 단어를 들을 기회가 더 많고, 현재는 [[대한민국 국군]]에 '총사령관' 직함이 없기 때문에 총사령관이라는 [[단어]]가 더 생소한 때문인지 한때는 최고사령관이라는 단어가 더 익숙했었다. 지금은 바뀌었지만 말이다. 북한 [[김정은]]이 [[2020년]] [[10월]] 당 창건 75주년 기념식에 즈음하여 총사령관 직함을 사용했던 적이 있었지만 이내 다시 원래대로 최고사령관으로 돌아왔다.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계에서는 [[송병구]]의 대표적인 별명이기도 하였다.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는 [[엄성현]]이 대표적인 총사령관으로 꼽힌다. [[분류:지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