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 [include(틀:해상병기/미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파일:/mypi/gup/a/189/21/m/20546037710.jpg|width=400]] [목차] == 개요 == 1910년대에 미 해군 사무위원이었던 미 상원의원 벤저민 R. 틸먼이 주도한 크고 아름다운 전함 계획. "Maximum Battleships"혹은 "Tillman Battleships"로 불리는 계획으로, 비슷한 컨셉에서 출발한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보다 우월한[* 단, 계획상 배수량 한정으로, 무장은 최대 20인치 8문인 최대 전함에 비해 20인치 12문을 탑재한 후지모토 쪽이 더욱 우수하다.] '''[[크고 아름다운]] 전함 만들기''' 계획이었다. == 개발 == 원래 취지는 [[펜실베이니아급 전함]]의 건조로 미국 전함의 배수령이 3만 톤을 넘어가고, 그럼에도 해군이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신형 전함 뽑게 빨리 예산 더 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라며 징징대는 것을 어떻게 막을까 고민하던 틸먼 의원이 아예 당대 건조 가능한 최대 크기의 전함을 만들어줘서 딴소리 못하게 만들자는 취지로 개발을 지시한 전함이다. 허나 '[[거함거포주의|당대 최대의 전함]]'이라는 컨셉 자체는 마음에 들지 몰라도, 1910년대 기술로는 실현 가능성도 그리 높아 보이지도 않는 두루뭉술한 물건을 굳이 떠안았다가 이후의 건함 계획을 포기당하는 것을 원치 않았던 해군은 당연히 이 계획안에 큰 성의를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사우스다코타급 전함#s-1|사우스다코타급 전함]](1920년형) 전함 등이 취소됨과 함께 이 계획안도 취소되어 버렸다. 결과적으로 취소된 계획이지만 이후 [[렉싱턴급 순양전함]]과 [[사우스다코타급 전함#s-1|사우스다코타급 전함]] 설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결국 이 둘도 전함으로는 완성되지 못한다.] == 크기 == 틸먼 전함은 동일한 크기를 가졌다. || 전장 || 998피트(304.3미터) || || 전폭 || 108피트(32.9미터) || || 흘수선 || 32.75피트(10.0미터) || == 배수량과 속도 및 무장 == 동일한 크기에 배수량과 속도 및 무장이 다른 총 6개안이 존재했다. 16인치 6연장(...) 주포탑 4기를 장착하는 방안도 있었으며, 18인치 3연장 주포탑을 5기 장착하는 방안도 존재했다. 배수량은 63,500톤, 70,000톤, 80,000톤짜리 계획이 있었고 속도는 무장에 따라 27노트에서 33노트까지 있었다. 세장비가 거의 [[순양함]] 수준인데 [[파나마 운하]]의 통과와 속도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하게 세장비가 높았던 [[아이오와급 전함]]이 그랬듯이 속도와 높은 기동성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에 반해 항해 및 포격 시의 안정성은 그리 좋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 최대 순양전함 == '''Speculative Maximum Battlecruiser''' 그리고 벤저민 R. 틸먼이 최대 전함을 제안했을 때 동시기에 제안된 최대 순양전함도 계획하였다. 배수량은 54,500톤, 63,500톤이었다. |||| 디자인 C, DRW Speculative #2 / 디자인 D / DRW Speculative #1,#3 || || 전장 || 924피트(281.7미터) / 884피트(269.5미터) / 상동 || || 전폭 || 106피트(32.2미터) / 106피트(32.2미터) / 상동 || || 흘수선 || 33.25피트(9.8미터) / 32.25피트(9.8미터) / 상동 || == 이후 == 틸먼 사후 16년이 지난 1934년에 틸먼 전함과 또다른 최대 전함 계획이 있었다. 배수량은 66,000톤, 72,500톤이었으며 무장은 '''20인치 연장 주포탑 4기'''를 장착 예정이었다. 최대 속도는 25~30노트로 [[고속전함]] 수준이다. || 전장 || 975피트(297.2미터) || || 전폭 || 107피트(32.6미터) || || 흘수선 || 33.5피트(10.2미터) || == 매체에서의 등장 == [[파일:wows-20200704-190921-002.jpg]] * [[월드 오브 워쉽]]에서 '[[월드 오브 워쉽/미국 테크 트리/전함#s-3.3|버몬트]]'라는 이름을 달고 미국 2차 전함 트리의 10티어로 등장한다. '''18인치라는 흉악한 거포를 12문이나 달고 다니면서''' 정말 최대 전함이 되었다. 미전답게 엄청난 대공을 달고 다니는데다 ''' 18인치 초중량탄'''이라는 미친 화력을 보여준다. 위 3연장 주포 5기와 전간기 함교와 상부 구조물 디자인 대신 3연장 주포 4기와 선체 길이가 약간 단축되고 함교와 상부 구조물 디자인도 2차 대전기에 맞게 재해석 되어 등장한다. 하지만 23노트라는 10티어 답지 않은 느린 속도와 '''40초'''라는 긴 재장전 시간때문에 수동적인 플레이를 강제되는 점 때문에 전체적인 평과 픽률에서 외면 당하는 편이다.. 함장스킬로 속력을 최대 15%(함장스킬 10% + 신호기 5%)까지 증가시킬 수 있고 최근 버프로 엔진 가속력, 수리반 회복률이 버프를 받았다. 하지만 긴 주함포 재장전 시간 때문에 수동적인 플레이를 강요한다는 점 때문에 여전히 유저들에게 픽률이 현저히 낮은 편이다. 현재 경량고속철갑탄을 사용하는 '코네티컷'이 개발 중이었으나 개발이 중단되었다. 한편 맵도 좁고 체력과 화력이 중요한데다 여전히 항공모함이 예전의 함재기 매커니즘을 사용해 대공세팅이 중요한 블리츠에서는 매우 흉악한 10탑방의 깡패이자 파괴자로 군림하고 있다. == 모형화 == 건조조차 시작되지 않은 함선이지만 설계가 비교적 자세하게 남아 있어 1/700 스케일의 레진 킷으로 출시된 적이 있다.[* 라이벌(?)인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은 배수량과 무장 정도만 간략하게 설계되어 다른 일본군 전함과 섞어 창작하지 않는 이상 모형화가 불가능하다.] 1916년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무장 역시 다른 레진 킷 제조사에서 출시되었다. == 링크 == * [[http://myplace.frontier.com/~wellsbrothers/Battleships/TillmanBB.html|The Tillman Battleships]] * [[http://en.wikipedia.org/wiki/Maximum_battleship]] * [[http://transoxiana.egloos.com/2824384]] 한글 설명. 주소 수정부탁 [[분류:전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분류:페이퍼 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