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MesmericControl-JP-Manga-DM.png|width=100%]]||[[파일:MesmericControl-JP-Anime-DM.png|width=100%]]|| || 원작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한글판 명칭 ||'''최면술'''|| || 일어판 명칭 ||'''[ruby(催眠術, ruby=さいみんじゅつ)]'''|| || 영어판 명칭 ||'''Mesmeric Control'''|| ||<-2> 일반 마법 || ||<-2>적 몬스터를 잠재워 공격력을 800 포인트 감소시킨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페가수스 J. 크로포드]]와의 듀얼에서 사용. 자신의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루드 카이저]]를 공격하려는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패롯 드래곤]]에게 발동해 잠재운 뒤 곧바로 역습했다. [[파일:D-097_Ryuzaki_VS_Roba.png]]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는 [[에스퍼 로바]]가 [[다이나소 류자키]]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 번 더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OCG와 동일한 효과로 나왔다. === [[유희왕/OCG|OCG]] === [[파일:催眠術.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최면술, 일어판 명칭=催眠術(さいみんじゅつ), 영어판 명칭=Mesmeric Control, 효과1=①: 다음 상대 턴에\, 상대는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상대가 다음 턴에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 못하게 하는 일반 마법. 일반 마법이라 발동만 하면 필드에 남지 않고 효과가 적용된다는 점에서는 우수하다. 하지만 이를 고려해도, 공격 표시로 하고 싶으면 [[최후 돌격명령]], 수비 표시로 하고 싶으면 [[레벨 제한 B구역]] 등이 존재하므로 써먹을 기회가 없다. 차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 반전 소환도 막을 수 있다는 점이 꼽히지만, [[리버스(유희왕)|리버스]] 몬스터나 [[사이클 리버스]] 몬스터의 [[유발효과]]를 막는 목적이라면 2장 이상의 몬스터를 한꺼번에 막을 수는 없긴 해도 [[실드 크러시]]나 [[말살의 사도]]로 처리하는 쪽이 더 확실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최면술, version=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