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육군참모차장)] ---- [include(틀:제5군단장)]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063, #10007c 20%, #10007c 80%, #0d0063)"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FFF 제28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br]{{{#fff {{{+1 최병혁}}}[br]崔秉赫 | Choi Byung-hyeok}}}'''}}}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병혁.png|width=100%]]}}} || ||<|2><#10007c> {{{#fff '''출생'''}}} ||<(> [[1963년]] || ||<(> [[경기도]] [[화성시]] || ||<#10007c><|2> {{{#fff '''복무'''}}} ||<#f5f5f5,#1f2023><(> [[대한민국 육군]] || ||<(> [[1985년]] ~ [[2020년]] || ||<#10007c><|2> {{{#fff '''재임기간'''}}} ||<#f5f5f5,#1f2023>제28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2019년]] [[4월 17일]] ~ [[2020년]] [[9월 23일]] || ||||<:><#FFF,#2d2f34>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007c> {{{#fff '''가족'''}}} ||<(> 배우자 이혜영, 슬하 1남 2녀 || ||<#10007c> {{{#fff '''학력'''}}} ||<(> [[중경고등학교]] {{{-2 (졸업 / 10회)}}} || ||<#10007c> {{{#fff '''임관'''}}} ||<(> [[육군사관학교]] {{{-2 (41기)}}} || ||<#10007c> {{{#fff '''최종 계급'''}}} ||<(> [[대장(계급)|대장]] || ||<#10007c> {{{#fff '''최종 보직'''}}}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10007c> {{{#fff '''주요보직'''}}} ||<(>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br][[제5군단]]장 [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감찰실장[br] [[제22보병사단]]장[br][[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br] [[제3군단]] 참모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해외파병과장[br] [[수도방위사령부]] 작전처장[br] [[제1경비단]]장[br] [[제76보병사단]] 참모장[br] [[제28보병사단]] 참모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군인이자 [[육군사관학교]] 제41기 출신. 예비역 육군 대장으로 전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이며 2019년 4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정식 내정되었으며, 국무회의 의결을 거치고 대통령 임명을 받아 진급신고와 함께 대장으로 진급하여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재직하였으며, 2020년 9월 23일 후임 [[김승겸]] 대장(육사 42기)에게 연합사 부사령관직을 이임 후 전역하였다. == 생애 == [[경기도]] [[화성시]] 출생. [[서울]] [[중경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41기로 입학 및 임관하였다. 같은 날 [[육군참모총장]]으로 지명된 [[서욱]] 장군과는 사관학교 동기이며, [[원인철]] [[합동참모의장]](공사 32기), [[윤의철]] 합동참모차장(육사 43기)과는 고등학교 동문이다.[* 원인철(8기), 최병혁(10기), 윤의철(12기). [[중경고등학교]]가 본래 군인 자녀들의 교육을 위한 학교였으나 1981년부터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그렇기에 그 이전에 이 학교에 입학한 세 사람 모두 아버지가 군인 출신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령]] 시절 [[제28보병사단]] [[참모장]], [[제76보병사단]] [[참모장]],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을 역임하고 이후 [[수도방위사령부]] [[작전참모|작전처장]],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민군작전부 해외파병과장[* 전군 대령 보직 중 준장 진급률이 제일 높은 [[요직]]으로, 이 직위에서 10년간 8명이 별을 달았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1710190462084549?rPrev=201710190432482328|#]] 전임 과장은 육사 1년 선배 [[김운용(군인)|김운용]] 대장으로, 김운용은 준장 진급이 확정되고서도 [[아덴만 여명 작전]] 마무리를 위해 한참동안 준장(진) 계급으로 이 직책에 근무했다.]을 거쳤고 미 육군대학원 전략학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준장]] 시절 [[제3군단]] [[참모장]],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준장 보직 중 진급률이 제일 높은 보직이다. 10년간 8명이 진급했다.] 을 역임하던 중 2014년 6월 [[제22보병사단|22사단]]에서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 전임 사단장이었던 [[서상국(군인)|서상국]] 소장(육사 40기)이 보직해임되고 그 후임자로서 [[소장(계급)|소장]] 진급 후 사단장으로 보직되었다. [[사단장]] 시절에는 [[별들의 무덤]]이라는 [[제22보병사단]]에서 사단장을 무사히 마치고 24대 사단장부터 27대 사단장까지 하지 못했던 이임식을 하고 2016년 5월 [[대한민국 육군본부]] 감찰실장으로 영전하였다. 2017년 10월 [[중장]] 진급 후에는 [[제5군단]]장으로 보직받았고 [[군단장]] 역임 후 2018년 11월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으로 영전하였다.[* 여담으로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조정환]] 예비역 대장(육사 33기) 역시 22사단장-5군단장-육군참모차장의 코스를 밟았다.]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연합사 부사령관]] === 2019년 4월 [[대장(계급)|대장]]급 인사에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내정되었고 4월 15일 진급 및 보직신고를 거쳐 대장으로 진급과 동시에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보직되었다. 동기였던 [[서욱]]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이 2020년 8월 28일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에 지명되면서 [[박한기]] 대장의 후임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는데 원인철 [[공군참모총장]]이 합참의장으로 지명됨에 따라 합참의장으로의 영전은 물 건너간 셈이 되었다. 결국 기수 문제로 인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직을 끝으로 전역하지 않겠냐는 시각도 있었는데 육군참모총장에 비육사 출신 최초로 [[남영신]] [[지상작전사령관]]이 임명된 데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전전임과 전임 참모총장이었던 [[김용우(1961)|김용우]] [[대장(계급)|대장]], [[서욱]] [[대장(계급)|대장]] 둘 다 대장 1차 보직으로 참모총장직에 임명된 것을 보면 문재인 정부에서는 대장 2차 보직으로 참모총장직을 임명하지 않는 추세였는데 [[박한기]] 합동참모의장의 후임으로 지명된 [[원인철]] 공군참모총장이 1984년 임관인데다,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은 1986년 임관인 만큼 국군 의전서열상 육군참모총장은 1985년 임관자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보였는데 [[남영신]] 대장이 학군 출신 최초로 육군참모총장에 취임하였다. 그대신 연합사 부사령관과 [[지상작전사령관]], [[제2작전사령관]]을 육사 출신이 가져오게 되었다.] 후임 육군참모차장이었던 [[김승겸]](육사 42기) 중장이 대장 진급 후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영전하여 예상대로 이번 군인사에서 전역이 확정되었다. 비록 동기와는 다르게 연합사 부사령관으로 전역했지만, 오히려 뒷말이 없이 전역했기에 스트레스는 다소 적었다고 볼수 있겠다.[* 최병혁 장군이 전역하는 동안 군은 코로나19 부실급식 등으로 홍역을 치루고 있었으며, 훗날의 일이지만 동기는 서해공무원 피격사건까지 연루되어 고생했었다.] == 경력 == * [[제7보병사단]] [[제5보병여단|5연대]] GOP 중대장 * [[JSA경비대대]] 부대대장 * 제2야전군사령부[* 과거엔 [[제2작전사령부]]가 아닌 제2야전군사령부였다.] 작전처 연합작전계획장교 * [[제25보병사단]] GOP대대장, 작전참모 * 한미연합군사령부 지상구성군사령부 작전계획장교 * [[제28보병사단]] 참모장 * 미 육군대학원 수료(전략학 석사) * [[제76보병사단]] 참모장 *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 수도방위사령부 작전처장 * 합참 해외파병과장 * [[제3군단]] 참모장 *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 '''[[제22보병사단]]장'''[* 임 병장 총기사고 수습을 사단장 임기 내내 밤새도록 했다고...] * [[대한민국 육군본부]] 감찰실장 * '''[[제5군단]]장'''[* 군단장 취임 전날 예하부대인 [[제6보병사단|6사단]]에서 발생한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로 인하여 취임하자마자 사고 수습... ] *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 [[한미연합사령부|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 전역 후 == 주한미군전우회 부회장, 대한국방보훈회 한국지부 회장, 주한미군전우회 코리아챕터 회장 2021년 9월 [[전진구]] 전 해병대사령관과 함께 [[국민캠프|윤석열 대선캠프]]에 합류하였다. == 여담 == [[파일:최병혁 문재인.jpg|width=400]] * 키가 장신이다. 172㎝인 [[문재인]] 前 대통령과 나란히 섰을 때 10㎝ 이상 크다. 유추되는 키는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과 [[강인순]] 장군 정도와 비슷한 185㎝ 정도. 전에 럭비를 해서 풍채도 좋다. * 준장 3차, 소장 3차, 중장 2차 진급자였기에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힘들어보였으나, 2019년 4월 대장 진급에 성공하여 1년 5개월간 복무 후 [[퇴역]]하였다.[* 육사 41기 중장 1차 진급자였던 [[조종설]] [[특수전사령관]]은 알자회 출신임이 확인되어 전역대기직인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좌천되었으며, 본인과 함께 중장에 진급한 [[이석구]] [[국군기무사령관]]은 야전군단장직 미역임과 계엄령 문건과 관련하여 [[송영무]] 당시 국방부장관과 마찰로 인해 진급을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하여 중장 1차 진급자였던 [[서욱]]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과 '''별들의 무덤'''에서 무사히 임기를 잘채운 본인이 대장에 진급하였으며, [[서욱]] 대장은 진급 후 곧바로 [[육군참모총장]]을 지내다가 2020년 9월 18일, 국방부장관에 취임하였다.] [[임호영]] 전 연합사 부사령관과 비슷한 케이스로 볼 수 있다. 최병혁 장군은 [[제1경비단]]장,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참]] 해외파병과장, [[3군사]] 작전처장, [[제5군단]]장 등 역임 보직 자체는 요직이 많은데 진급이 늦었다. * 제22보병사단장 시절 2015년 9월에 [[공릉동 살인사건]]으로 장○○ 상병이 피살되어서 보직해임될 위기까지 갔으나 [[별들의 무덤]] 저주를 피해갔다. * 2003년 제25보병사단 GOP대대장 시절 KBS [[기적체험! 구사일생]] 인터뷰에 출연했었다. [[https://youtu.be/LnV6N_Sdv74|(8분 35초부터)]] 자신의 부하병사인 정○○ 상등병(당시 일등병)이 군 복무 뿐만 아니라 국민을 위해서 자기 희생을 아끼지 않는 그 병사를 보고 자랑스러움과 뿌듯함을 느꼈다고 했다.[* 2002년 5월 지하철 서울역에 추락한 취객을 지혈로 응급처치한 그 병사가 정○○ 상등병(당시 일등병)이었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분류: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분류:1963년 출생]][[분류:화성시 출신 인물]][[분류:중경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문재인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