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소방서장)] ||<#1870B9><-5><:> [[:분류:용산소방서장|{{{#FFFFFF ''' 용산소방서장 ''' }}}]] || ||<:>제49대[br][[고숭]]||<:>→||<:>제50대[br]'''최성범'''||<:>→||<:>''현직''||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소방공무원|[[파일:ROK-Fire-Fighter--emblem.png|height=40]]]] {{{+1 '''[[:분류:소방공무원|{{{#ffffff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성범 용산소방서장.png|width=100%]]}}} || || {{{#ffffff '''이름'''}}} ||최성범|| || {{{#ffffff '''임용시기'''}}} ||1999년|| || {{{#ffffff '''채용구분'''}}} ||[[소방간부후보생]]|| || {{{#ffffff '''계급'''}}} ||[[소방정]]|| || {{{#ffffff '''소속'''}}} ||[[서울소방본부]]||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현 용산소방서장. == 생애 == [[1999년]] 제10기 소방간부후보생 과정을 마치고 [[소방위]]로 임용되어 서울종합방재센터 총괄팀장, 서울소방재난본부 청렴윤리팀장, [[은평소방서]] 예방과장 등을 역임했으며 [[2021년]] [[7월 1일]] [[용산소방서]]장에 취임하였다. === [[이태원 압사 사고]] === 이후 [[2022년]] [[10월 30일]], [[용산소방서]]의 관할구역인 [[이태원]]에서 [[이태원 압사 사고|최악의 압사 사고]]가 발생하자 최태영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이 도착하기 전까지 현장을 진두지휘했다. 현장 기자 브리핑은 물론이고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현장을 찾았을 때도 안내 및 상황 보고를 담당했다. 굉장히 차분한 목소리로 브리핑에 나섰으나, 손이 떨리는 모습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699626|포착]]되기도 했다. 역사상 전례를 찾기 힘든 참사였던만큼 의연하게 대처하려 노력했지만, 내심은 편치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https://youtube.com/shorts/J0UvmoSa5vk?feature=share|중앙일보 Shorts]] [[https://www.youtube.com/watch?v=wUw1MMN80vM|SBS]] 이후 현장 책임자라는 이유로 [[업무상과실치사|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되었다. 외부 인원(정확히는 [[종로소방서]])보다 늦게 투입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내세웠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장에서 사람을 살리고자 노력했고, 더군다나 사건이후 사실상 컨트롤 타워를 했던 사람이 무슨 잘못이 있냐며 잘못된 입건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58519?rc=N&ntype=RANKING|#]] 조사결과 특수본에서는 "최 서장이 실제로 현장에 도착한 당일 오후 10시 30분쯤부터 지휘 선언을 하는 11시 8분까지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는 조사를 내놓았다. 최 서장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이미 대규모 사상자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었지만, '''도착 후 40분 동안 별다른 현장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것. 그러나 이후 [[서울서부지검]]에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을 반려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195713?cds=news_edit|#]] [[분류:용산소방서장]][[분류:소방간부후보생/10기]][[분류:문재인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