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최수열.jpg|width=478]]|| || '''{{{#white 이름}}}''' ||최수열|| || '''{{{#white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white 출생}}}''' ||[[1979년]] [[3월 11일]]([age(1979-03-11)]세)[br][[서울특별시]]|| || '''{{{#white 직업}}}''' ||[[지휘자]]|| || '''{{{#white 학력}}}''' ||[[성보고등학교]] {{{-2 (졸업)}}}[br][[한국예술종합학교]] {{{-2 (음악원 지휘과 / 예술사)}}}[br][[드레스덴]]국립음악대학교|| || '''{{{#white 소속}}}''' ||[[부산시립교향악단]] {{{-1 (예술감독)}}}||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클래식 음악 [[지휘자]]. 현재 부산시립교향악단의 감독이다.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서 정명훈 등으로 대표되는 기성 지휘자들의 뒤를 이을 차세대의 젊은 지휘자 가운데서도 특히 주목받는 인물이다. == 상세 == [[https://auditorium.kr/2021/02/%EC%A7%80%ED%9C%98%EC%9E%90-%EC%B5%9C%EC%88%98%EC%97%B4-21%EC%84%B8%EA%B8%B0-%EB%A7%88%EC%97%90%EC%8A%A4%ED%8A%B8%EB%A1%9C%EC%9D%98-%EA%B7%A0%ED%98%95%EA%B0%90|월간 <객석>과의 인터뷰(2021년 3월호)]]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정치용을 사사하며 [[지휘]]를 공부한 후, [[2014년]] [[7월]] [[서울시향]] 지휘자마스터클래스를 통해 [[정명훈(지휘자)|정명훈]] 당시 지휘자의 아래서 [[서울시향]] 부지휘자로 활동하였고 [[2017년]] [[9월]]부터 [[부산시립교향악단]]의 예술감독으로 활동 중 이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모리스 라벨]], [[윤이상]] 등 20세기 및 현대음악 작품들을 무대에 많이 세운다. 이에 대해서 "오늘의 현대음악이 내일의 고전이 되기 때문에 제2의 [[베토벤]]과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를 찾아내기 위해 동시대 음악을 지휘하는 건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고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3/05/26/LZ46FO46LBD4DNIAERJ5AOQUPU|역설하였다.]] [[2018년]] 서울시향 부지휘자 시절, 공식행사용으로 사용할 [[애국가]]를 새로이 녹음할 때 지휘를 맡았다. 여러가지로 단원, 관객들과의 소통에 관한 노력을 많이 하는 지휘자이다. 대표적으로 [[부산시향]]의 공연에서는 연주를 마치고 단원들이 기립한 상태에서 지휘자가 대표로 인사를 하는 [[오케스트라]] 관례와는 다르게, 지휘자 및 단원들 모두가 허리를 숙여 인사한다. 공연이 끝난 후 연주복 차림 그대로 항상 로비에 제일 먼저 나와[* 선발대로 공연장을 빠져나오는 관객보다 더 일찍 로비로 나와있는데, 무슨 순간이동을 하듯이 재빨라서 놀랍다는 평.] 인사하는 관객들과 일일이 악수를 하고 사진을 찍곤 한다. SBS [[김현우(기자)|김현우]] 앵커와 같은 [[성보고등학교]] 동문이다.[* 3학년 때는 같은 반이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클래식 지휘자 일람]] * [[부산시립교향악단]] * [[서울시립교향악단]] [[분류:1979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지휘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성보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