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 트윈스/간략(외야수))] ||
'''{{{#ffffff 최승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_Champion_LG.pn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3년 한국시리즈|{{{#ffffff 2023}}}]]''' ||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105번}}}''' || || 김건효[br](2014) || {{{+1 →}}} || '''{{{#00275a 최승민[br](2015~2016)}}}''' || {{{+1 →}}} || [[천재환]][br](2017)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9번}}}''' || || [[최보성]][br](2018) || {{{+1 →}}} || '''{{{#00275a 최승민[br](2019~2023.7.17.)}}}''' || {{{+1 →}}} || [[태너 털리|태너]][br](2023.8.11.~)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62번}}}''' || || [[전준호(1998)|전준호]][br](2022) || {{{+1 →}}} || '''{{{#fff 최승민[br](2023.7.18.~)}}}'''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최승민 LG.png|width=100%]]}}}|| ||<-2> '''LG 트윈스 No.62''' || ||<-2> '''{{{+2 최승민}}}[br]崔承民 | Choi Seung-Min''' || ||<|2> '''출생''' ||[[1996년]] [[7월 1일]] ([age(1996-07-01)]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학동초 - [[대치중학교|대치중]]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 || '''신체''' ||181cm, 73kg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5년 [[육성선수]]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5~2023) [br] [[LG 트윈스]] (2023~)||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7~2018) || || '''연봉''' ||2023 / 3,300만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동결 }}}}}}}}} || || '''MBTI''' ||[[ISTP]] || ||<|2> '''등장곡''' ||[[DAY6]] -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 ||{{{#gray,#ffffff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NC 시절'''[br]AronChupa - 《I`m An Albatraoz》}}}}}}}}}|| || '''가족''' ||부모님, 반려견 제리^^([[치와와]])^^ || ||<-2> [[https://www.lgtwins.com/web/team/player/view/371|[[파일:LG 트윈스 심볼.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LG 트윈스]]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등학교]] 시절에는 내야수로 뛰었으며, 빠른 발과 정확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톱 타자로 활약했다. 3학년 시절 보여준 타격 기록은 20경기 70타수 30안타 1홈런 8타점 12도루 타출장 .429/.534/.557. 그러나 수비적인 부분에선 그리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으며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신인드래프트]]에서도 프로 구단의 지명을 받는데 실패했다. 선수 본인은 대학 진학을 고려했으나 [[NC 다이노스]]가 [[육성선수]] 입단을 권유했고, 이에 응하면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 [[NC 다이노스]] === 입단 이후 포지션을 외야로 전향했다. 첫 시즌에는 2군 15경기에만 나섰으며, 15타수 4안타 1도루 4삼진 6득점을 기록했다. 2016 시즌에도 1군 출전 없이 2군에서만 뛰었다. 하지만 출전 시간을 늘리는데 성공했고, 총 92경기에 나서 349타수 108안타 1홈런 17타점 76득점 35도루 29볼넷 65삼진 타출장 .309/.366./.378를 기록했다. 3할의 타율과 함께 35개의 도루를 성공시키며 빠른 발을 과시했으며, 35개의 도루는 [[최원준(1997)|최원준]]에 이은 리그 2위의 기록. 시즌 후에는 뜬금없이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합격했다. 2군 기록은 나쁘지 않았으나 1군 기록도 없었던 데다가 아직 육성선수 신분임에도 1군 경험이 있던 다른 경쟁자들(특히 [[안익훈]])을 제치고 합격했다. 입단 테스트에서 빠른 발의 덕을 본 듯.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2017 시즌에는 82경기에 나서 287타수 83안타 1홈런 43타점 53득점 16볼넷 53삼진 타출장 .289/.328/.359를 기록했다. 2018 시즌 기록은 80경기 204타수 60안타 27타점 42득점 14도루 23볼넷 37삼진 타출장 .294/.364/.358. 9월 11일 전역하면서 팀으로 복귀했다. ==== 2020 시즌 ==== 시즌 NC 1군 외야수 및 대주자 경쟁이 너무 빡빡한 상황이라[* [[권희동]]이 커리어 하이 시즌을 쓰고 있고, [[애런 알테어]], [[김성욱]]이 1군 붙박이인데다 지난해 부상으로 빠졌던 [[나성범]]도 성공적으로 회복 과정을 거치면서 주 2회 이상 외야수 스타팅으로 출격하고 있는 상황이라 여의치가 않았다. '''대주자''' 역할로 콜업할 만한 2군 외야수 중에서도 2차 드래프트로 팀에 합류한 [[김기환(야구선수)|김기환]]과 8월말 상무에서 전역한 [[이재율(1993)|이재율]]이 경쟁에 가세해 어려움을 겪었다.] 콜업이 쉽지 않았고, 결국 퓨처스에서 시즌을 마감했다. 퓨처스 시즌 기록은 76경기 199타수 60안타 14타점 '''26도루''' 32삼진 18사사구, 타출장 0.302/0.359/0.332로 나쁘지 않았다. 장점인 빠른 발을 이용해 퓨처스 남부리그에서 '''도루 1위(26개)'''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 2021 시즌 ==== 5월 1일 [[전민수]]가 1군에서 말소되면서 콜업되었다. 퓨처스 성적은 13경기 34타수 14안타 4도루 3삼진, 타출장 0.412/0.429/0.471 OPS 0.900. 중견수로 주로 출장했다. 콜업 당일 9번 중견수 스타팅으로 출장하게 되었다. 이후 5월 13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애런 알테어]]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선발 출전했다. 5월 19일 [[LG 트윈스]]전 10회초 주루사로 역전의 기회를 날렸다. 21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이후 후반기 퓨처스리그에서 8월에 출전한 7경기 중 6경기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좋은 타격감을 보였고, 8월 26일 더블헤더 특별엔트리로 콜업했으나 당일 경기에서 무안타로 침묵했다. 9월 1일 확장엔트리를 통해 콜업되었다. 시즌 후반기 여러번의 견제사, 주루사를 선보이며 발만 빠르고 주루센스가 모자란 면모를 노출하고 있다. 10월 24일 [[KIA 타이거즈]]와의 시즌 최종전에 9번 좌익수로 선발출장해 3안타 맹타를 휘둘렀다. 그 중 3번째 안타는 스코어를 역전시키는 중요한 득점으로 연결되었다. ==== 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승민221010.jpg|width=100%]]}}}||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다가 하루만에 7일간의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4월 17일 [[김기환(야구선수)|김기환]]의 부상으로 콜업되어 대주자 역할을 맡다가 [[권희동]]의 햄스트링 부상에 [[박건우(1990)|박건우]]까지 종아리 쪽에 통증을 느껴 경기에 뛰지 못하면서 주전 중견수로 출전하고 있다. 5월 11일 롯데전에서는 6-4로 리드하고 있는 6회 [[지시완]]의 타구에 다이빙 캐치를 시도하다 발에 걸려 넘어져 장타를 허용했으며 결국 동점을 만들어주고 말았다. 5월 12일 롯데전에서는 안타를 기록했고, 13일 SSG전에서 8회 1-1 동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희생번트를 댔으나 투수 앞으로 정직하게 보내면서 선행주자가 아웃되며 찬물을 끼얹었다. 이후 후속타자인 [[손아섭]]과 [[이명기]]의 연속 안타로 득점했다. 5월 14일 SSG전에서는 5회 한 점 차 리드하던 상황에서 선두타자 [[오태곤]]의 플라이 타구를 처리하지 못하고 출루를 허용했다. 곧바로 다음 이닝에서 선두타자로 등장해 땅볼 타구를 빠른 발을 이용해 내야 안타로 만들었다. 이후에도 대주자로 경기 후반 출장하다 6월 19일 [[노진혁]]과 [[박동수(야구선수)|박동수]]가 등록되면서 [[김한별(2001)|김한별]]과 함께 말소되었다. 확대엔트리가 시행되고 있던 9월 8일 다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어 시즌 종료시까지 머물렀다. 특히 시즌 최종전인 10월 10일 수원 KT전에서 2번 중견수로 출장해 내야안타 포함 3안타와 도루까지 기록하면서 맹활약, 좋은 타격감을 선보이며 시즌을 마쳤다. 시즌 퓨처스 최종 기록은 30경기 98타수 37안타 15타점 20득점 10도루 타출장 0.378/0.445/0.459. ==== 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승민2023프로필.png|width=100%]]}}}|| 데뷔 후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 처음으로 포함되었으나 개막 엔트리에 들지 못해 2군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고, 전반기 종료 시점까지도 1군 콜업 없이 2군에서만 경기를 치르고 있었다. === [[LG 트윈스]] === 7월 18일에 LG 투수 [[채지선]]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어 NC 다이노스에서의 생활을 마치게 되고 고향팀인 LG 트윈스로 이적하게 되었다. 이번 트레이드로 상무 입대 때 자신이 밀어냈던 [[안익훈]]과 같은 팀에서 뛰게 되었다. 등번호는 62번을 달게 되었다.[* 작년까지 [[전준호(1998)|전준호]]가 달았으나 육성선수로 전환되며 103번으로 변경했고, 공번 상태였다.] ==== 2023 시즌 ==== 7월 28일 두산전 시즌 처음으로 1군에 콜업되었다. 콜업 당일 8회 대수비로 출전한 후, 9회 1사 1,2루 상황에 타석에 들어서서 [[김정우(야구선수)|김정우]]의 5구를 타격해 시즌 첫 안타이자 LG에서의 첫 타점을 기록했다. 29일 두산전 연장 10회 초 [[김현수(1988)|김현수]]가 2루타를 친 후 대주자로 출전했다. 이후 [[오스틴 딘]]의 우익선상 내야플라이 때 태그업으로 3루를 가는 재치를 보인 후 [[오지환]]의 2루타로 득점하여 팀의 승리에 일조했다. 8월 31일 두산전 8회말 문보경이 안타를 친 후 대주자로 출전했고, 이후 오지환의 안타로 3루까지 진루했다. 다음 타자였던 박동원이 번트를 준비하던 중 투수의 공이 몸쪽 깊이 향하며 의도치 않게 타격이 되어 3루 방향으로 흘렀다. 3루와 홈 사이에 이때 투수가 1루로 공을 송구하자마자 재치 있게 홈으로 쇄도하여 동점 상황이 되었고 팀의 승리의 발판을 만들었다. 9월 22일 NC전에서 잘못된 본헤드 주루플레이로 대주자 임무에 실패했다. 무사1루에서 도루에 성공하여 상대 실책을 틈타 3루까지 갔으나 무사임에도 오스틴의 땅볼 때 무리하게 홈으로 가다가 전진수비해있던 김주원의 홈송구에 넉넉하게 아웃되었다. 곧바로 문보경의 희생플라이성 타구가 나와서 아쉬운 플레이가 되었다.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9회초 김현수의 대주자로 출전해 오지환의 3점홈런으로 득점을 기록하였다. 4차전에서도 대주자로 출전해 도루와 득점을 기록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15 ||<|8> [[NC 다이노스|NC]] ||<|2><-13> 1군 기록 없음 || || 2016 || || 2017 ||<|2><-13>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18 || || 2019 || 24 || 9 || .444 || 4 || 1 || 0 || 0 || 1 || 5 || 6 || 1 || .500 || .556 || || 2020 ||<-13> 1군 기록 없음 || || 2021 || 48 || 31 || .226 || 7 || 1 || 0 || 0 || 1 || 8 || 4 || 1 || .250 || .258 || || 2022 || 44 || 34 || .324 || 11 || 0 || 0 || 0 || 3 || 19 || 6 || 0 || .324 || .324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23 || [[LG 트윈스|LG]] || 38 || 14 || .071 || 1 || 0 || 0 || 0 || 1 || 10 || 8 || 1 || .133 || .071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154 || 88 || .261 || 23 || 2 || 0 || 0 || 6 || 42 || 23 || 3 || .286 || .284 || == 여담 == * NC 팀 내에서 순수 주력은 가장 빠른 야수라고 한다. 본인의 몸을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달리며, 도루를 할 때 오버런하는 장면도 이따금씩 나올 정도이다. * 같은 팀 투수였던 [[이승헌(1995)|이승헌]]의 [[신일고등학교 야구부]] 1년 후배이다. * KBO 포수 중 공인 물어깨 [[유강남]]과 KBO 투수들 중 퀵모션 느리기로는 첫 손에 꼽는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 배터리에게 유일하게 도루를 저지당한 게 바로 이 최승민이다. 매우 빠른 선수지만 상대를 너무 만만하게 봤거나 뛰는 타이밍을 잘못 잡아서 생긴 일인듯 하다. * [[홍창기]]와 초밥 먹기 대결을 했는데 중간에 밥을 간장에 적셔(?)먹었다고 한다.[* [[박해민]]은 계란만 넣으면 [[간장계란밥]]을 먹는 것이라며(...) 놀렸다.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강남구 출신 인물]][[분류:대치중학교 출신]][[분류:신일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분류:LG 트윈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