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무신정권 집권자)] [include(틀:역대 최씨 집권자)] [목차] == 개요 == [[고려]] 중기 [[무신정권]]에서 파생된 최씨의 세습 정권. 무려 62년 동안 존속하며 4대에 걸쳐 세습되었던 정권이다. 무신 정권 시대 전부가 그랬지만 이 당시에는 고려의 왕족은 여전히 왕씨였지만 실질적인 통치자들은 모두 이 최씨 정권의 집권자들이었다. == 상세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무신정권)] [[이의민]]을 제거한 [[최충헌]]은 그의 정권을 차지하여 집권에 성공한다. 그는 [[명종(고려)|명종]]을 폐위하고 [[신종(고려)|신종]]을 세웠고 이후 [[희종(고려)|희종]]을 폐위시키고 [[고종(고려)|고종]]을 즉위시키는 등 왕권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반대파(문신), 반란세력을 억압, 견제세력의 부재를 바탕으로 세습 정권의 기초를 만들었다. == 통치기구 == * [[교정도감]] * [[정방]] * [[서방#s-3|서방]] * [[삼별초]] == [[여몽전쟁]]과 정권의 붕괴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여몽전쟁/무신정권 비판)] 이후 3대 집권자인 [[최항]]이 죽고 그의 아들 [[최의]]가 야별초를 비롯한 세력들에게 옹립받아 집권했을땐 고려 조정과 민심은 각종 만행을 벌인 최씨들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았고 [[여몽전쟁|몽골의 재침입]]으로 항쟁하는 와중에도 최의는 폭정을 멈추지 않았으며 그에게 불만을 품은 부하 [[김준(고려)|김준]]을 비롯한 [[삼별초]]가 최씨 정권을 무너뜨렸다. == 역대 공작 == || 대수 || 시호 || 성명 ||<-2> 재임기간(연도·군주) || || 추존 || 익정공(翼靖公) || [[최원호(고려)|최원호]] || - || - || ||<|5> 1 ||<|5> 경성공(景成公) ||<|5> [[최충헌]] ||<|5> 1196 ~ 1219 ||[[명종(고려)|명종]] || || [[신종(고려)|신종]] || || [[희종(고려)|희종]] || || [[강종(고려)|강종]] || || [[고종(고려)|고종]] || || 2 || 광렬공(匡烈公) || [[최우]] || 1219 ~ 1249 ||<|3> [[고종(고려)|고종]] || || 3 || 광정공(光正公) || [[최항]] || 1249 ~ 1257 || || 4 || - || [[최의]] || 1257 ~ 1258 || == 관련 사료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86097&cid=47322&categoryId=47322|최씨 정권]] == 유사 사례 == * [[고구려]] - [[연씨 정권|연씨 가문]][* [[연개소문]] - [[연남생]] 부자세습.] * [[고려]] [[무신정권]] - 임씨 가문[* [[임연]] - [[임유무]] 부자세습.] * [[일본]] - [[막부]]([[정이대장군]])[* 일본 막부와의 유사성으로 고려의 최씨 정권이 자주 언급되며 아예 최씨 막부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대월]] - [[찐씨 정권]] * [[네팔 왕국]] - 라나 가문 * [[마라타 제국]] - 바트 가문(페슈와) * [[프랑크 왕국]] - [[카롤링거 왕조|피핀 가문]]([[궁재]]) == 둘러보기 == ||<-5> '''[[한국사|한국의 역사]][br]무신정권의 전개''' || || [[고려]][br][[무신정권]] || {{{+1 →}}} || [[고려]][br]'''무신 정권(최씨)''' || {{{+1 →}}} || [[고려]][br][[무신정권]] || [[분류:고려(무신정권)]][[분류:우봉 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