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fff 대한민국 제2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br]{{{#fff {{{+1 최양희}}}[br] 崔陽熙 | Choe Yang-he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YHEE.jpg|width=100%]]}}} || ||<|2> '''출생''' ||[[1955년]] [[7월 27일]] ([age(1955-07-27)]세) || ||[[강원도]] [[강릉시]][br](現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본관''' ||[[강릉 최씨]][* [[http://m.kwnews.co.kr/nview.asp?s=101&aid=214061300063|#]]] || || '''현직''' ||[[한림대학교]] 제11대 총장 || ||<|2> '''재임기간''' ||제2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2014년]] [[7월 16일]] ~ [[2017년]] [[7월 1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권영옥[* [[목원대학교]] [[교수]].] || || '''자녀''' ||슬히 1남 1녀 || || '''학력''' ||[[강릉중학교]] {{{-1 ([[졸업]])}}}[br][[경기고등학교]] {{{-1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 (전자공학 / [[학사]])}}}[br][[한국과학기술원]] {{{-1 (전자공학 / [[석사]])}}}[br]프랑스 E.N.S.T.대학 {{{-1 (전산학 / [[박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약력''' ||한국전기통신연구소 연구원[br][[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br]포스데이타 사외이사[br][[한국정보과학회]] 회장[br]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연구원장[br][[포스코]]ICT 사외이사[br]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br][[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전 정무직 공무원. [[박근혜 정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장관]]을 맡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제11대 총장을 역임하고 있다. == 생애 == 1955년 7월 27일 [[강원도]] [[강릉시]](現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카이스트]]에서 전자공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 E.N.S.T 대학 대학원에서 전산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당시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프랑스에 유학생을 보냈으며, 이 때 같이 파견된 인물 중 하나가 [[김도연(1952)|김도연]] 전 교과부장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프랑스 국립전기통신연구소(C.N.E.T) 연구원을 지냈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정보통신표준연구센터 센터장, [[한국정보과학회]] 회장,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위원, 한국산업융합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ICT 전 영역에 걸쳐 경력을 쌓았다. [[삼성그룹]]이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뒷받침하고 미래 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2013년 설립한 민간 연구기관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초대 이사장을 지냈다. 2014년 박근혜 정부의 2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임명됐다. == 논란 == 2014년 7월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실제보다 5억 원 이상을 낮춘 부동산 다운계약서를 작성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유승희(정치인)|유승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최 후보자가 2002년 서울 [[방배동]] 아파트를 7억4500만 원에 매수했다고 밝혔으나 2억1천만원에 매수한 것으로 허위신고했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취득세와 등록세 4321만 원 중 1218만 원만 납부하고 3103만 원을 탈루했다는 것이다. 유 의원은 또 최 후보자가 2002년 서울 반포동 아파트 매도과정에서도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 두 아파트 합계 세금 총 5547만 원을 내지 않았다고 밝혔다. 최 후보자는 이에 대해 “당시 관행에 따른 것이지만 잘못을 인정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2014년 7월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병역법을 위반한 의혹이 제기돼 도덕성 논란을 빚었다. 병역 기간 동안 몇 차례 외국에 나가면서 [[병무청]]장의 허가를 받지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또 [[투기지역]]에서 농지를 매수한 뒤 농사를 짓지 않다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고추밭을 급하게 조성했다는 질타도 이어졌다. 이에 대해 최 후보자는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포스코]] 사외이사로 있으면서 고액의 회의참석 수당을 받은 점도 인사청문회에서 집중추궁을 받았다. 포스코ICT 사외이사로서 6년간 2억5800여만 원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는데 과세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소득세를 내지 않았다는 것이 야당의원들의 주장이었다. 아들이 미국 인텔에서 월 1200만 원 수준의 급여를 받으면서 [[인턴]]을 한 것도 인사청문회 당시 도마 위에 올랐다. 당시 차세대융합기술 연구원장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으로 재직해 아들의 [[병역특례]]나 고액 인턴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대해 최 후보는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창조경제]]를 개명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과 한 번도 독대한 적이 없다고 말했는데, 독대는 음모를 꾸밀 때나 하는 거지 좋은 소통 방법은 아니라는 발언은 덤.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01&aid=0008923734|#]] == 둘러보기 == [include(틀:박근혜 정부의 국무위원)] [[분류:공학 교수]][[분류:1955년 출생]][[분류:강릉시 출신 인물]][[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강릉 최씨]][[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미래창조과학부 장관]][[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한림대학교 총장]][[분류:서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