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고등법원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96 0%, #005596 20%, #005596 80%, #005596)" '''[[법관|{{{#fff 前 대한민국 법관}}}]][br]{{{#fff {{{+1 최완주}}}[br]崔完柱 | Choi Wanj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완주.jpg|width=100%]]}}} || ||<|2> '''출생''' ||[[1958년]] [[1월 13일]] ([age(1958-01-13)]세) || ||[[충청남도]] [[예산군]] || || '''본관''' ||[[해주 최씨]] || || '''현직''' ||법무법인 케이엔씨 변호사 || ||<|4> '''재임기간''' ||제16대 [[서울행정법원|서울행정법원장]]|| ||[[2014년]] [[2월]] ~ [[2015년]] [[2월]] || ||제47대 [[서울고등법원|서울고등법원장]]|| ||[[2017년]] [[2월 9일]] ~ [[2019년]] [[1월 28일]]|| || '''가족''' ||아내 박성연, 슬하 1남 2녀 || || '''학력''' ||[[예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약력''' ||제23회 [[사법시험]] 합격[br]제13기 [[사법연수원]] 수료[br][[서울동부지방법원|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br][[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br][[서울고등법원]] 판사[br][[춘천지방법원]] 부장판사[br][[사법연수원]] 교수[br][[인천지방법원]] 수석부장판사[br]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br]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수석부장판사[br][[헌법재판소]] 수석부장연구관[br][[울산지방법원]]장[br][[서울행정법원]]장[br]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br]서울고등법원장[br]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파주시법원 원로법관||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전직 [[법관]]이다. == 생애 ==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났다. [[예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81년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1986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3기. 이후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현 [[서울동부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이래 각급법원에서 민사, 형사, 행정 등 다양한 재판업무를 담당했다. 평판사 시절 법원행정처 연구심의관, 부장 연차 이후에는 사법연수원 교수, 고법부장 승진 이후에도 각급 법원 수석부장판사와 헌법재판소 파견 등 다양한 직책을 두루 수행했다. 연수원 13기 동기인 [[유남석(법조인)|유남석]] 헌재소장과 마찬가지로, 헌법재판소 수석부장연구관으로 근무하여 헌법 관련 논문을 발표하는 등 법원 내 헌법 전문가로 알려져있다.[* 당시 최완주 판사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수석부장으로 재직 중, 헌법재판소 수석부장연구관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당시 수석부장연구관 전임자가 유남석 판사였다.][* 또 과거 최완주 판사가 [[인천지방법원]] 수석부장으로 재직할 당시, 법원장이 민형기 헌법재판관이었는데, 수석부장판사와 법원장에서, 수석부장연구관과 재판관으로 재회하게 되었다.] 지방법원장 이후, 변호사로 개업을 하거나 대형 로펌으로 이동하지 않고, 법원장 순환보직제 취지에 부응해 고등법원 재판부로 복귀하여 재판 업무를 이어 갔다. 고등법원장 이후에는 전전임이던 [[조병현(법조인)|조병현]] 전 서울고등법원장, 전임이던 심상철 전 서울고등법원장과 마찬가지로 일선법원에서 원로법관으로 봉직해 소액사건을 심리하고 있으며, 후임인 [[김창보]] 전 서울고등법원장도 원로법관을 지원해 평생법관제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2023년 정년으로 법관 생활을 마무리했다. 법무법인 케이엔씨(KCN)에서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 2023년 6월, [[국토교통부]]가 [[2022년 빌라왕 사태|전세사기 사태]]를 수습하고자, 정부 주요 부처와 공동으로 '전세사기 피해지원위원회'를 발족했다. 최완주 변호사는 위원장으로 참여하게 되었다.[[https://www.news1.kr/photos/view/?6025777|#]] == 경력 == * 1981 제23회 [[사법시험]] 합격 * 1984 제13기 [[사법연수원 기수|사법연수원]] 수료 * 1986 [[서울동부지방법원|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 * 1989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 1991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 * 1991 독일 괴팅겐대학 교육파견 * 1994 [[부산고등법원]] 판사 * 1994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 1996 [[서울고등법원]] 판사 * 1998 [[춘천지방법원]] 부장판사 * 2000 [[사법연수원]] 교수 * 2003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 * 2006 [[인천지방법원]] 수석부장판사 * 2006 [[광주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 * 2007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 2009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수석부장판사 * 2010 [[헌법재판소]] 수석부장연구관 * 2011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 2012 [[울산지방법원]]장 * 2014 [[서울행정법원]]장 * 2015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 2017 서울고등법원장 * 2019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파주시법원 * 2023 정년 퇴임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헌법연구관]][[분류:해주 최씨]][[분류:예산군 출신 인물]][[분류:1958년 출생]][[분류:예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