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 다이노스/간략(외야수))] ||
'''{{{#ffffff 최우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width=50]] '''2023 [[리얼글러브 어워드#s-3.2.2]] 퓨처스리그 우수선수상(NC)''' ||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63번}}}''' || || [[윤형준|윤대영]][br](2015) || {{{+1 →}}} || '''최상인[br](2016~2017)''' || {{{+1 →}}} || [[김진형(야구선수)|김진형]][br](2018~2019)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99번}}}''' || || [[문석종]][br](2017) || {{{+1 →}}} || '''최상인[br](2018)''' || {{{+1 →}}} || [[박대온]][br](2019~2020)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68번}}}''' || || [[공수빈]][br](2018) || {{{+1 →}}} || '''최상인[br](2019~2019.8.)''' || {{{+1 →}}} || [[김준완]][br](2019.9.18.~2019)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105번}}}''' || || [[노상혁]][br](2020) || {{{+1 →}}} || '''최우재[br](2021~2021.10.7.)''' || {{{+1 →}}} || [[조민석(야구선수)|조민석]][br](2022~2022.3.22.)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68번}}}''' || || [[강리호|강윤구]][br](2020~2021.7.21.) || {{{+1 →}}} || '''최우재[br](2021.10.8.~2021)''' || {{{+1 →}}} || [[김한별(2001)|김한별]][br](2022~)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32번}}}''' || || [[이원재(1989)|이원재]][br](2017~2021) || {{{+1 →}}} || '''최우재[br](2022)''' || {{{+1 →}}} || [[안중열]][br](2023~)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24번}}}''' || || [[김건태(야구선수)|김건태]][br](2019~2022) || {{{+1 →}}} || '''최우재[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우재2023프로필.png|width=100%]]}}}|| ||<-2> '''NC 다이노스 No.24''' || ||<-2> '''{{{#00275a {{{+2 최우재}}}[br]崔瑀財 | Choi Woo Jae}}}'''[* 최상인에서 개명] || ||<|2> '''출생''' ||[[1997년]] [[4월 11일]] ([age(1997-04-11)]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수창초등학교|광주수창초]] - [[광주진흥중학교|진흥중]] -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진흥고]] || || '''신체''' ||186cm, 90kg || || '''포지션''' ||[[투수]] → [[외야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s-3.2|2016년 2차 5라운드]] (전체 48번,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6~) || || '''연봉''' ||3,000만원 (동결, 2023년) || || '''에이전트''' ||[[https://www.instagram.com/yiseo_company/|[[파일:이서컴퍼니_logo.png|width=60]]]]|| || '''가족''' ||아버지 [[최해식]], 고종사촌 [[방건우]] || [목차] [clearfix] == 개요 == [[NC 다이노스]]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초등학교 4학년 때 야구에 입문했으며 아버지의 반대를 꺾기 위해 3일간 밥을 굶기도 했다고 한다. 아버지 [[최해식]]처럼 [[포수]]를 하려 했으나 우수한 체격조건을 눈여겨 본 코치의 제안으로 투수를 시작했다.[* 포수는 [[김기연(야구선수)|김기연]]이 맡았다.] 진흥고 시절, 3년 동안 17경기에 등판해 2승 3패 평균자책점 5.19(58⅔이닝 16자책점)을 기록했지만 팀을 전국대회 상위권으로는 이끌지 못했다. 타격 재능도 있어서 타선에서는 4번타자로 기용되었다.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 신인드래프트]]에서는 [[KIA 타이거즈]]에서 활약하길 원했던 아버지의 바람과 달리 [[NC 다이노스]]의 지명을 받았다. 지명 이후에는 계약금의 일부를 기부금으로 쾌척하기도 했다.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5027800056617600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U4Zmea6yAM)]}}}|| === [[NC 다이노스]] === ==== 타자 전향 및 군입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우재230923.jpg|width=100%]]}}}|| 데뷔 시즌인 2016년 2군에서 15경기에 등판해 49⅔이닝을 소화하며 0승 7패 1홀드 ERA 8.70, 2017년에도 1군 등판없이 퓨처스리그에서 22경기 32⅔이닝 0승 2패 1홀드 ERA 6.78을 기록했다. 2018 시즌부터 [[외야수]]로 전향했다. 6월 10일 퓨처스 두산전에서 처음으로 타자로 나서 2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시즌 총 기록은 6경기 8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 2삼진. 2019 시즌에는 퓨처스리그에서 꾸준히 출장했으나 2019년 6월 30일 롯데전을 마지막으로 입대했고, 강원도 양양에서 헌병대 현역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 ==== 2021 시즌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1357731|남다른 파워에 투수→외야수로, 나성범의 길을 좇는 최우재]] 2월부터 1군 선수들과 함께 창원에서 훈련을 하고 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352386|#]] 스프링캠프 명단에는 없었던 것을 보면 전역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듯 하다. 4월 25일 퓨처스 엔트리에 제대 후 처음으로 등록되었다. 이날 중견수로 선발출장해 안타를 쳤다. 이후 전반기 동안 퓨처스팀에서 중견수와 우익수를 오갔다. 6월 4일 퓨처스 삼성전에서는 지명타자로 출장해 5타수 4안타(1홈런) 2타점 2득점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8월 13일 최우재로 개명하였다. 개명을 한 이유는 6년간 NC에 있으면서 야구가 잘 되지 않았고, 제대 이후 나태한 마음을 버리고 새로운 변화를 주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https://m.blog.naver.com/kbo_official2/22249803906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우재타격210826.gif|width=100%]]}}} || || 최우재의 타격폼[* 2021년 8월 26일 퓨처스리그 두산전 안타.] || 후반기 외야 전 포지션을 넘나들며 주전멤버로 경기에 나섰다. 시즌 퓨처스 최종 기록은 39경기 131타수 36안타 '''7홈런''' 24타점 26득점 타출장 0.275/0.367/0.481. 후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경기에 나서기 시작했음에도 준수한 홈런 갯수와 장타율을 기록하면서 펀치력을 갖춘 유망주에 목말랐던 NC 팬들에게 주목받았다. 10월 8일 정식선수로 전환되었으며 등번호도 군입대 전 자신의 등번호였던 68번[* 2021년 [[강리호|강윤구]]의 등번호였으나 강윤구가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한 뒤에는 결번 상태였다.]으로 되돌아왔다. 당일 [[윤형준]]이 백신접종으로 말소되자 데뷔 처음으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이동욱(야구)|이동욱]] NC 감독은 최우재에 대해 "올 2월에 제대해서 합류했는데, 후반기에 홈런 7개를 몰아쳤고, 외야수로서 어깨도 강하고 주력도 있는 선수라고 보고를 받았다"라면서 "어떤 선순지 기회가 된다면 기용해보려고 한다. 다 만들어진 선수는 아니지만 장점이 있으니 직접 보고 판단해보고 싶었다"라고 말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1357650|#]] 그러나 당일 경기에는 출전하지 않았고, 10월 10일 윤형준이 1군에 다시 등록되면서 말소되었다. 10월 19일 [[도태훈]]과 [[박준영(1997)|박준영]], [[정진기]]가 백신접종으로 특별말소되자 또다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으며 당일 홈 KT전에서 8회말 대타로 1군 데뷔 무대를 가졌다. [[심재민]]을 상대로 휘어져나가는 변화구를 잘 맞혔지만, 아쉽게 1루 땅볼로 물러났다. 이후 시즌 종료를 이틀 앞두고 선발들이 말소되면서 10월 29일 1군에 다시 등록되었다. 시즌 최종전인 10월 30일 홈 삼성전 대타로 타석에 나섰으나 라인드라이브로 아쉽게 물러났다. 8회초부터는 좌익수 위치에서 2이닝 동안 수비도 뛰었고 한 차례 담장 근처로 가는 장타도 잡았다. ==== 2022 시즌 ==== 프로데뷔 후 처음으로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 포함되었다. 3월 4일 LG와의 연습경기 2차전 3회말 적시 2루타를 기록했다. 퓨처스리그에서 대부분 좌/우익수로 뛰었고 후반기에는 종종 1루수로도 출장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우재220615.gif|width=100%]]}}}|| || 2022년 6월 15일 퓨처스리그 한화전 || 10월 5일 퓨처스리그 KT전 DH1에서 솔로홈런을 때려내며 인상적인 펀치력을 보여주었고, 시즌 최종전인 10월 6일 경기에서도 [[https://gall.dcinside.com/ncdinos/6059761|2루타]]와 함께 투런 홈런을 기록해 두자릿수 홈런을 달성하며 시즌을 기분좋게 마쳤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우재홈런221006.gif|width=100%]]}}}|| || 2022년 10월 6일 퓨처스리그 KT전 투런 홈런 || 시즌 퓨처스 최종 기록은 69경기 226타수 67안타 10홈런, 6도루 35타점 35득점 15볼넷 39삼진 타출장 0.296/0.342/0.456. 지난 시즌보다 출장수가 늘어나면서 [[천재환]]과 함께 외야 거포 유망주로서의 가능성을 비친 시즌이다. 전반기 1할대 타율로 부진했으나 후반기 바뀐 타격폼으로 감을 잡으면서 최종 2할 9푼대까지 타율을 끌어올렸다. 수비에서는 외야로 뻗는 타구 판단도 작년보다 좀 더 나아진 모습.[[https://gall.dcinside.com/m/prospect/317711|#]] ==== 2023 시즌 ==== 스프링캠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785761|인터뷰]]를 통해 "제가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하면서) 남들보다 늦게 시작했지만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장타 생산도 자신 있고 계속 기회가 주어진다면 좋은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다. 팀에서 제게 기대하는 부분이 타격이라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 최대한 많은 경기에 나가야 하는데 외야든 1루든 열심히 준비하겠다" 올해는 1루 수비 비중을 높일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시즌 개막 후에는 예고대로 1루수와 지명타자로 주로 경기에 나서며, 가끔 좌익수로 출장 중이다. 퓨처스리그에서 7월 이후 꾸준히 3할 타율을 유지하며 박주찬, 김범준과 함께 팀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나선 선수 중 한 명이다. 시즌 성적은 76경기 202타수 62안타(2홈런) 21타점 34득점 타출장 .307/.405/.406으로 지난해보다 홈런이 크게 줄어든 대신 컨택에 치중한 것으로 보인다. 시즌 후 교육리그 [[https://www.instagram.com/p/CyQCqd6JCdg|인터뷰]]에서도 "장타를 많이 만드는 것이 내 장점인데 그 부분을 많이 살리지 못한 것 같다"며 다음 시즌에는 장타에 포커스를 두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더불어 (김)범준, (한)재환, (박)시원과 함께 쉬는 날에도 야구장에 나와서 운동을 열심히 했다고 한다. == 플레이스타일 == == 여담 == * [[해태 타이거즈]]의 포수이자 1996년, 1997년 우승반지 두 개를 가지고 있는 야구선수였고, 현재는 성공한 사업가인 [[최해식]]의 아들로 야구팬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김성한]]이 술회하기를 최해식이 [[이호준]] 당시 NC 타격코치에게 차마 전화할 수 없어서 같이 소주와 삼겹살을 곁들이던 김성한에게 부탁하여 "해식이 아들 요새 어떠냐?" 물어보면 "아직 몸이 앞으로 나가고 그래요" "열심히 니가 책임지고 붙잡고 시켜라" "네 알겠습니다 제가 책임지고 시키겠습니다" 대화를 나눴다고 한다. 옆에서 듣고 있던 최해식은 김성한에게 고마워하고 있고, [[손아섭]]이 개명한 작명소에서 새 이름 최우재를 받았다. 김성한은 최우재에 대해 고등학교때부터 타자에 전념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고 근데 아버지(최해식)의 욕심때문에 투수를 시켰던 거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 롤모델은 역시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한 [[나성범]]이다. 최우재는 “진흥고 다닐 때나 입단할 때부터 코치님이 나성범 선배 이야기를 많이 하셨다”라면서 “선배가 타자로 전향했을 때 했던 것들이나 좋은 습관들을 따라하려고 한다.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식습관, 자기관리도 철저하게 하는 모습을 보며 열심히 따라하려고 하고 있다”라며 나성범을 롤모델로 삼고 있다고 이야기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1357731|#]] * 2021년 9월 퓨처스 인터뷰에서 "오랫동안 팬들에게 사랑받는 선수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https://m.blog.naver.com/kbo_official2/222498039060|#]] == 연도별 기록 == * 투수 기록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16 ||<|2> [[NC 다이노스|NC]] ||<|2><-13> 1군 기록 없음 || || 2017 || ||<-2> '''[[KBO 리그|KBO]] 통산''' ||<-13> 1군 기록 없음 || * 타자 기록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2018 ||<|6> [[NC 다이노스|NC]] ||<-13> 1군 기록 없음 || || 2019 ||<|2><-13> 군 복무(현역) || || 2020 || || 2021 || 2 || 2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2022 ||<|2><-13> 1군 기록 없음 || || 2023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2 || 2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1997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광주진흥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NC 다이노스/현역]][[분류:개명한 인물]][[분류:야수로 전향한 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