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376년 출생]][[분류:1446년 사망]][[분류:의창구 출신 인물]][[분류:통천 최씨]][[분류:조선의 무관]][[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태조-연산군))] || '''{{{#f0ad73 최윤덕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종묘 배향공신)] ---- [include(틀:이달의 문화인물)]}}} || ||<-2> '''[[정승|{{{#f0ad73 조선 정승}}}]][br]정렬공(貞烈公)[br]{{{+1 최윤덕}}}[br]崔潤德''' || || '''출생''' ||[[1376년]]([[우왕]] 2)|| || '''사망''' ||[[1446년]] [[1월 11일]][* [[율리우스력]] [[1월 2일]].] (향년 69 ~ 70세)[br](음력 [[1445년]], [[세종(조선)|세종]] 27년 12월 5일)|| || '''[[시호|{{{#f0ad73 시호}}}]]''' ||정렬(貞烈)|| || '''[[본관|{{{#f0ad73 본관}}}]]''' ||[[통천 최씨]]|| || '''[[자(이름)|{{{#f0ad73 자}}}]]''' ||백수(伯修), 여화(汝和)|| || '''[[아호|{{{#f0ad73 호}}}]]''' ||임곡(霖谷)|| || '''부모''' ||부친 - [[최운해]][br]모친 - 창원 이씨(昌原李氏)|| || '''부인''' ||[[성주 도씨]]|| || '''자녀''' ||장남 - 최숙손(崔淑孫)[br]차남 - 최경손[br]3남 - 최광손[br]4남 - 최영손(崔泳孫, {{{-3 ? ~ 1455}}})||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zkU87nnxGGE)] [[조선]] 초기의 [[장군]]. == 생애 == [[고려]]가 무너지기 직전인 1376년(우왕 2) [[경상도]] 금주(金州) 의창현(義昌縣, 현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아버지 [[최운해]]와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최윤덕의 가문은 대를 이은 [[양반|무반]] 집안으로 할아버지 최록은 정4품 호군을 지냈다. 아버지 최운해는 [[위화도 회군]]에 참여해서 고려에서 회군공신이 되었고, 조선 건국 후에는 [[이성계]]를 따른 공으로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 최운해는 조선 개국 후 태조 2년(1393)에는 [[양광도]], 태조 5년(1396)에는 [[경상도#역사]] [[영덕군|영해]], [[장기면|장기]] 등지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서거정]]이 저술한 야사인 [[필원잡기]]에 따르면, 최윤덕의 친모는 그가 태어나자마자 숨을 거두었고, 최운해는 변방에서 장수로 있었기 때문에 최윤덕을 이웃의 양수척([[백정]])이 양육했다고 전한다. 최윤덕은 태종 2년(1402) 식년시 무과에 3등 20위로 급제[[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a_1402_150028|#]], 태종 10년(1410)에는 중시(重試) 무과에 급제하였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a_1410_413034|#]] 아버지의 뒤를 이어 장군이 된 그는 [[태종(조선)|태종]], [[세종(조선)|세종]] 치세에 크게 활약하여 세종 연간에는 [[김종서(조선)|김종서]]와 함께 [[4군 6진]]을 개척하였다. 그가 개척한 곳은 [[중강군|여연]](閭延), [[후창군|무창]](茂昌), [[자성군|자성]](慈城), [[중강군|우예]](虞芮) 4군으로 서북 4군이라 불린다. 최윤덕은 꾸준히 승진하여 스스로 무장이라는 이유로 사양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종 15년(1433) 병력 1만 5천 명을 이끌고 파저강(婆猪江)[* 오늘날 중국 [[랴오닝성]] 일대를 흘러 압록강에 합류하는 훈장강(浑江)을 가리킨다. 한자문화권 지명에서 강이나 산 등을 제외한 부분이 한자로 1글자일 경우, 우리말로는 '강'이나 '산' 등을 덧붙이는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 따라 '훈강'이 아니라 '훈장강'이라 옮긴다.] 일대의 여진족을 정벌한 공로로 [[정승#s-2.3|우의정]], 세종 17년(1435)에는 문반 최고위직인 [[좌의정]]까지 올랐다. 다만 무신이라는 점이 참작되어 다른 업무는 면제되고 특별히 북방문제만 전담하였다. 이 정도 대우를 받은 무신은 드물다. 이전에 무신으로서 정승이 된 이는 개국공신으로 첫 두 정승 중 [[배극렴]], [[1차 왕자의 난]]의 공신 [[조영무]] 정도였다. 같은 시기 [[대마도]], [[여진]] 정벌에서 활약한 [[이순몽]]과 같이 능력은 뛰어나지만 인간 말종으로 유명했던 무신들과 달리, 최윤덕은 폭행사건 하나도 일으키지 않아 문신들도 존중했다고 한다. 이후 여연에서 변경의 [[여진족|야인]] 문제를 잘못 처리한 것 때문에 세종 18년(1436) [[영의정|영의정부사]] [[황희(조선)|황희]]와 [[사헌부]] 등에게 [[탄핵]]을 받았다. 이후 세종이 그를 위해 만든 벼슬자리인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로 벼슬을 옮겨 그대로 북방문제를 담당하다가 세종 27년(1445) 70세에 사망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2712005_003|최윤덕의 졸기]] 아들로 최숙손, 최경손, 최광손, 최영손이 있었고 모두 아버지를 따라 무과로 벼슬을 했다. 어쩌면 능성 구씨나 덕수 이씨 같은 무관 명문가를 이루었을지도 모르는 일이지만, 막내 최영손이 [[금성대군]] 사건에 연루되면서 통천 최씨는 거의 멸문을 당하며 쇠락했다.~~그래도 금성대군 편에 선 거 보면 나름 찐충신이다 그런 건가...~~[* 세조는 계유정난 이후 자신을 주공단에 빗대었지만 실제 행적은 금성대군이 더 주공단에 가깝다.]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창원)|북면]]에는 생가 터와 묘소가 있는데, 묘소는 1992년에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안타깝게도 여러 번 도굴되었다. 그 지역을 관통하는 [[79번 국도]]는 최윤덕의 시호를 따서 [[정렬대로]]라고 명명되었고, 창원광장에는 최윤덕의 동상이 있다. == 대중매체 == * 소설 <[[임꺽정(소설)|임꺽정]]>에서는 최윤덕이 어렸을 때 그를 돌보았던 양수척의 [[후손]]이 임꺽정인 것으로 설정되었다. 최윤덕이 어릴 적 쓰던 활이 그 양수척 집안의 가보로 등장한다. * 소설 <[[데프콘(소설)|데프콘]]>에서는 그의 이름을 부여받은 212급 [[잠수함]]이 나온다. [[한국]]의 신형 잠수함으로 주인공 버프를 받아 한일전에서 로미오급과 협력해 오야시오급을 관광태우고, 한미전에서는 항공모함 링컨과 [[동귀어진]]한다.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아무래도 태종이 주인공이고 세종 대는 간략하게 그려지는 만큼 태종이 세종의 장인인 [[심온]]을 사사하는 일을 처결하는 와중에 중신들을 불러서 국방 문제를 논의하는 장면 및 대마도정벌 에피소드에 등장한다. 배우는 박승규. * 2008년 [[KBS]]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는 배우 [[선동혁]][*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이숙번(용의 눈물)|이숙번]] 역,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는 [[이지란(정도전)|이지란]] 역.]이 연기했다. 우직함과 익살이 뒤섞인 무장 [[캐릭터]]로 나온다. [각주][include(틀:표절, version=18, source=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