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감사원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eded, #ededed 20%, #ededed 80%, #ededed)" '''[[감사원장|{{{#000 대한민국 제25대 감사원장}}}]][br]{{{+1 최재해}}}[br]崔載海 | Choi Jae-ha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재해.jpg|width=100%]]}}} || ||<|2> '''출생''' ||[[1960년]] [[10월 7일]] ([age(1960-10-07)]세)|| ||[[서울특별시]]|| || '''거주지'''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 [[운정신도시]] 라피아노1단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공고제2022-2호(재산등록사항 공개)] || || '''현직''' ||[[감사원장]] || ||<|2> '''재임기간''' ||제25대 [[감사원장]]|| ||[[2021년]] [[11월 12일]] ~ [[현직]][*감사원장 임기종료일은 [[2025년]] [[11월 11일]].]|| || '''링크''' ||[[https://www.bai.go.kr/bai/intro/chairman/introductio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배우자, 2남[* [[1988년]]생 장남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미8군]]에서 [[카투사]] [[행정병]]으로 복무했으며, [[1990년]]생 차남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공군방공관제사령부|30단]]에서 항공통제병으로 복무했다.] || || '''학력'''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2 (20회 / [[졸업]])}}}[br][[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행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br][[인디애나 대학교|인디애나 대학교 대학원]] {{{-2 (정책학 / [[석사]])}}}[br][[성균관대학교/대학원#국정전문대학원|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 (행정학 / [[박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육군]] [[상병]] [[소집해제]] {{{-2 ([[방위병]])[* [[1987년]] [[8월 3일]] 입영, [[1989년]] [[1월 12일]] 소집해제. [[수도군단]]에서 [[소총수]]로 근무.]}}} || || '''약력''' ||제28회 [[행정고시]] 합격[br]감사원 기획관리실 제도담당관[br]감사원 특별조사국 제3과장[br]감사원 재정금융감사국 제1과장[br]감사원 기획홍보관리실 기획담당관[br]감사원 기획홍보관리실 국회협력관[br]감사원장 비서실장[br][[감사원]] 사회문화감사국장[br]감사원 기획관리실장[br]감사원 제1사무차장 {{{-2 ([[이명박 정부]])}}}[br]감사원 감사위원 {{{-2 ([[박근혜 정부]])}}}[br][[LS전선]] 비상근감사[br] 제25대 [[감사원장]] {{{-2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되었으나 임기의 대부분을 [[윤석열 정부]]에서 보내게 될 예정이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5대 [[감사원장]]. == 경력 == * 1979. 2.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졸업 {{{-1 (20회)}}} * 1984. 2.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성균관대학교/학부#행정학과|행정학과]] 졸업, [[행정학]] [[학사]] {{{-1 (79학번)}}} * 1984. 12. 제28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 1985. 3. [[총무처]] [[사무관|수습사무관]] * 1986. 2.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대학원]] 졸업, 행정학 [[석사]] {{{-1 ([[정책학]] 전공)}}} * [[서울특별시청]] 사무관 * [[내무부]] 사무관 * 1989. 12. [[감사원]] 부감사관 {{{-1 (사무관)}}} * 1996. 7. 감사원 감사관 {{{-1 ([[서기관]])}}} * 2001. 5.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공공 및 환경정책대학원 졸업, 정책학 석사 {{{-1 (정책분석 전공)}}} * 2002. 8. 근정포장 수훈 * 2002. 12. 감사원 기획관리실 제도담당관 * 2003. 1. [[노무현|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분과 행정관 * 2003. 2.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1 ([[참여정부]])}}} * 2003. 12. 감사원 특별조사국 제3과장 * 2004. 12. 감사원 재정금융감사국 제1과장 * 2006. 1. 감사원 기획홍보관리실 기획담당관, [[부이사관]] * 2008. 10. 감사원 기획홍보관리실 국회협력관 * 2009. 12. [[김황식(1948)|김황식]] [[감사원장]] 비서실장, [[이사관]] * 2010. 7. 감사원 사회문화감사국장 * 2011. 4. 감사원 기획관리실장, [[관리관]] * 감사운영개선대책 태스크포스(TF) 단장 겸임 * 2011. 7.~2014. 1. 감사원 제1사무차장 {{{-1 ([[이명박 정부]])}}} * 2011. 8. [[근정훈장|홍조근정훈장]] 수훈 * 2014. 1.~2018. 1. 감사원 감사위원 {{{-1 ([[박근혜 정부]])}}} * 원장 직속 감사원 개혁위원회 위원 겸임 * 2018. 2. [[성균관대학교/대학원#국정전문대학원|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졸업, 행정학 [[박사]] * 2018. 3. [[중부대학교]] 객원교원 * [[강남대학교]] 강사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강사 * [[금강대학교]] 공공정책연구위원 등으로도 일했다. * 2018. 3. [[LS전선]] 비상근감사 * 2020. 6. LS전선 준법경영위원회 위원 * 2021. 11.~ 제25대 [[감사원장]] {{{-1 ([[문재인 정부]])}}} == 생애 == [[1960년]] [[10월 7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동대부고]]를 졸업한 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성균관대 졸업 후인 [[1984년]] 12월, 제28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했다. 이 당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재학 중이었다. 공직 초기엔 [[총무처]], [[서울특별시청]], [[내무부]] 등에서 근무하며 지방 내무관료의 경력을 쌓았으나, [[1989년]] 말 [[감사원]]으로 자리를 옮겨 부감사관이 되었다. 공직 입문 11년, 감사원 전직 7년 만인 [[1996년]], [[서기관]]급인 감사관으로 승진했다. 감사관 시절 [[인디애나 대학교]]로 유학, [[정책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고 꾸려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파견되었고,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하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로 1년여간 파견되었다. 감사원 복귀 이후엔 특별조사국, 재정감사국 등에서 근무하다가 [[2006년]] [[부이사관]]으로 승진해 요직으로 꼽히는 기획담당관이 되었다. 이후 국회협력관을 거쳐 [[2009년]]에 [[이사관]]으로 승진, 훗날 [[국무총리]]를 맡는 [[김황식(1948)|김황식]] [[감사원장]]의 비서실장을 맡게 된다. 반년 후인 [[2010년]]엔 사회문화감사국장을 맡다가 [[2011년]]에 [[관리관]]으로 고속 승진해 기획관리실장을 맡았다. 이 때 [[은진수]] 감사위원이 금품 수수 혐의로 긴급 체포된 후 감사운영개선대책TF 단장을 맡아 직원들의 독립성 문제를 해결하는 업무를 맡았으며, 감사관이 감사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부당한 압력이나 로비를 받으면 즉시 감찰관에게 신고하도록 하는 등 감사원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같은 해 7월엔 제1사무차장으로 '깜짝 발탁' 되었다. 당시 [[양건(1947)|양건]] 원장이 [[이명박 정부]]의 중점 과제였던 교육비리, 권력비리, 토호비리 척결을 해결할 적임자라고 판단해, 제2사무차장이 행시 24회임에도 불구하고 행시 28회인 386세대 최재해 실장을 제1사무차장으로 내정했다고 한다. 이 때 [[4대강 사업]] 계약 집행 실태 감사를 벌였다. [[2014년]] 1월,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감사위원이 되었다. 임기 4년을 모두 채우고 [[2018년]] 1월 퇴임하였다. 총 28년 1개월을 감사원에서 근무한 셈이다. 퇴직 이후엔 [[LS전선]]의 비상근감사로 활동했으며, [[중부대학교]], [[강남대학교]], 모교인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다. 한편, 2018년엔 성균관대 국정전문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 [[감사원장]] === [[2021년]] [[9월 14일]], [[최재형]] 전 감사원장의 후임 [[감사원장]]으로 내정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962519|#]] [[국정감사]] 관련으로 인사청문 절차가 지연되다가 내정 후 한달하고 보름 정도가 지난 2021년 10월 26일, 최재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특위(위원장 [[홍문표]])가 구성되어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https://www.news1.kr/articles/?4469793|#]] 인사청문특위는 최재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11월 2일에 개최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11026_0001627609&cID=10301&pID=10300|#]] 그리고 [[11월 2일]] 인사청문회가 열렸는데 대선정국이다보니 최 후보자의 도덕성, 직무능력보다는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 [[최재형]] 전 감사원장의 중립성 위반 논란 등이 청문회 도마에 올랐다. 결국 5시간 정도 진행된 후 여야 합의로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적격'으로 채택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102168700001|#]] 2021년 11월 11일, 국회에서 임명동의안이 찬성 223표, 반대 23표, 기권 6표로 가결됐다. 전임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퇴임한 지 136일 만이자, 임명동의안이 국회에 접수된 지 55일 만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111123200001|#]] 2022년 3월 25일,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의 인사권 갈등을 두고 감사원은 공식적으로 "현 정부와 새 정부가 협의하는 경우 제청권을 행사하는 것이 과거 전례에 비춰 적절하다"며 사실상 당선인 측의 손을 들어줬다. "감사위원이 견지해야 할 고도의 정치적 중립성을 감안할 때 원칙적으로 현 시점처럼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된 논란이나 의심이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는 제청권을 행사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전 정부에서 임명되었다고 해서 [[전현희]] 권익위원장, [[홍장표(교수)|홍장표]] KDI 원장처럼 딱히 정치색이 짙은 것도 아니고, 감사원장이라는 직위 자체가 헌법으로 임기가 보장된 직위[* 헌법 제98조 ② 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고, 그 임기는 4년으로 하며,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이기에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도 사퇴하지 않았으며, 임기를 끝까지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 비판 == === [[최재해 "감사원은 국정운영 지원기관" 발언 논란|"감사원은 국정운영 지원기관" 발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재해 "감사원은 국정운영 지원기관" 발언 논란)] 2022년 7월 2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20358?sid=100|감사원이“(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지원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한다”라고 감사원의 존재 의미를 부정하는 듯한 발언을 하여 논란을 빚었다. 감사원은 중립성과 독립성을 생명으로 하는 '''헌법 기관'''이다. 정부가 세금을 잘 쓰고 있는지 감시해야 할 역할을 해야 하는 감사원이 오히려 정부를 도와야 한다는 취지로 읽힐 수 있다. 이러한 답변에 [[김도읍]] [[법제사법위원회|법제사법위원장]]([[국민의힘]])도 '''귀를 의심케 하는 발언'''이라며, 재차 발언의 의미를 물었으나, 재차 대통령이 국정을 잘 운영하도록 감사원이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7월 28일 감사원이 국민권익위원회를 대상으로 이례적으로 1년여 만에 감사에 착수하고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해선 본감사에 들어가는 등, 집권여당과 정부의 입장과 비슷한 태도를 보여주어 논란이 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989358?sid=100|#]] === [[문재인 정부]] 인사 잔류 기관 대상 표적감사 의혹 === 거기다가 감사원이 국민권익위원회를 대상으로 1년여 만에 또다시 감사에 착수하고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해선 본감사에 들어가는 등 실제 행동으로 옮겨 더더욱 논란이 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989358?sid=100|#]] 이 두 기관은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인사'''가 기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현재 정부 여당의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 [[문재인]] 서해피격 공무원 서면감사 의혹 === 10월 2일 감사원이 서해피격 공무원 관련으로 문재인에 대해 서면조사를 통보했으나 문재인은 대단히 무례한 짓이라고 발표했고 [[더불어민주당]]은 10월 3일 기자회견을 통해 직권남용으로 최재해 감사원장을 고발하겠다고 했다. === 관사 개보수 금액 논란 === [youtube(Qi0az51c_yY)] [Youtube(Kt4aiZA53Tc)] 관사를 개보수하는데 예산을 과다 사용한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개보수비만 1억 4천만원, 마당에만 6천만원을 사용한 것이 드러났다. 여기에다가 화분 재료비 480만원, 가로등 3천만원어치, 싱크대 및 샤워기 보수 1113만원, 화장실 보수 856만 등 가격 뻥튀기 의혹도 나왔다. [Youtube(CAhm71lS-Lw)] 추가로 일반수용비로 관사에 빔프로젝터를 설치한 것도 드러나는 등 나랏돈을 관사에 쓰는 등 부적절한 내용도 밝혀졌다. 국민권익위원회는 해당 의혹을 조사한 결과 문제없음 결론을 내렸다. [[https://imnews.imbc.com/news/2023/politics/article/6524290_36119.html|권익위, 최재해 감사원장 '호화 관저' 의혹에 '문제없음' 결론]] == 여담 == * 감사원 최초의 내부승진자 출신 감사원장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판사나 검사[* 검사 출신은 이종남 전 원장 이후로 아직까지 없는 상태. 원래 2011년 [[이명박]] 대통령이 정동기 전 대검차장을 임명하고자 했으나, 측근이라서 감사원의 중립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있었는 데다가 BBK 수사 및 전관예우 논란으로 인해 [[한나라당]] 내부에서 반란이 발생, 표결도 가지 못하고 중도 낙마한 바 있다.] 등 외부인이 감사원장을 맡아왔기 때문이다. * 직전 감사원장 [[최재형]]과 이름이 비슷하다. 그래서 행정학 강사 [[김중규]]는 강의 중에 최재형 동생 최재'''해'''냐며 농담을 한 적이 있다. 참고로 김중규와 최재해는 행정고시 28기 동기다. 둘 다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출신이기도 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직속기관장)]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고위 공무원]][[분류:1960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28회]][[분류: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출신]][[분류:인디애나 대학교 출신]][[분류:감사원 감사위원]][[분류:감사원장]][[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윤석열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