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대한민국 정부|[[파일:정부상징.svg|width=3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외교부|{{{#043762 '''외교부'''}}}]] [[차관|{{{#043762 '''제1차관'''}}}]]}}} || ||<-3> [[문재인 정부|{{{#ffffff '''문재인 정부'''}}}]] ||<-2> [[윤석열 정부|{{{#ffffff '''윤석열 정부'''}}}]] || || 5대[br][[조세영]] || → || '''6대[br]최종건''' || → || 7대[br][[조현동]] || ---- ||<-2><#003764> '''[[대한민국 외교부|{{{#ffffff 대한민국 제6대 외교부 제1차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957, #003876, #003876, #002957);" '''[[연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ffffff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br]{{{#ffffff {{{+1 최종건}}}[br]崔鍾建|Choi Jong-k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종건_Profile.jpg|width=100%]]}}} || ||<|2> '''출생''' ||[[1974년]] [[7월 14일]] ([age(1974-07-14)]세)|| ||[[서울특별시]] || || '''현직'''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s-1.1|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 ||<|2> '''재임기간''' ||제6대 [[대한민국 외교부|외교부]] 제1차관 || ||[[2020년]] [[8월 18일]] ~ [[2022년]] [[5월 9일]] || || '''학력''' ||올세인츠컬리지 고등학교 {{{-2 ([[졸업]])}}}[br][[로체스터 대학교]] {{{-2 (정치학 / [[학사]])}}}[br][[연세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석사]])}}}[br][[오하이오 주립대학교|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박사]])}}}||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일병]] 전역 {{{-2 ([[의병 제대]])}}} || || '''약력''' ||[[북한대학원대학교]] 조교수[br][[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br][[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외교통상통일위원회]] 자문위원[br][[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 정책자문위원[br]국가안보실 평화군비통제비서관[br][[국가안보실]] 평화기획비서관[br]외교부 제1차관 {{{-2 ([[문재인 정부]])}}} || || '''링크''' ||[[http://www.jongkunchoi.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ongchoiysu,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 공무원]]. 제6대 [[외교부]] 제1차관을 지냈다. == 생애 == [[1974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1학년때까지 서울에서 학교를 다녔고 고등학교 2학년때에 유학을 갔다. 호주 올세인츠컬리지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키가 커서 럭비를 했다고 하며 [[시드니 대학교]]에 합격했었으나 미국으로 가서 [[로체스터 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모교에서 대학원을 다니려고 했으나 학비가 부족했고 그래서 귀국하여 병역을 해결한 후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를 취득했다. 오하이오에서 석좌교수가 된 학부 시절 지도교수를 따라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 학자 시절 ===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 정책자문위원, [[북한대학원대학교]] 조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등을 지냈다. === 청와대 비서관 시절 ===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문재인]] 후보의 [[싱크탱크]]였던 정책공간 국민성장에서 한반도 안보성장추진단장을 맡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에는 [[국가안보실]] 1차장 산하 평화군비통제비서관, 2차장 산하 평화기획비서관으로 일했다. 2018년 [[9.19 군사합의]]를 주도했고, 남북 협력 사업과 미국의 대북 제재 면제·완화 등을 추진했다. 2019년 12월 청와대에서 직속상관인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과 갈등을 빚고 '김현종을 자르든 나를 자르든 하라'며 사의까지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건 비서관이 '미국과 마찰을 빚더라도 대북 제재 완화를 밀어붙여야 한다'는 입장이었던 반면, [[김현종]] 차장은 '한미 동맹과 우리 국익에 미칠 영향을 잘 따져보고 움직여야 한다'는 실용주의 행보를 보여왔다. 청와대 내부에서 "두 사람은 더이상 같이 일하기 어려운 지경"이란 말까지 나올 정도였다. === 외교부 제1차관 시절 === 문재인 대통령은 김현종 차장을 유임시키고 최종건 비서관은 [[2020년]] [[8월 18일]]부로 [[외교부]] 제1차관에 임명했다. [[강민석(정치인)|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외교안보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미외교와 북한 비핵화 등에서 풍부한 실무경험을 쌓았다"라며 "'국제협력을 주도하는 당당한 외교'라는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수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0&aid=0002898103|#]] 4강 외교뿐 아니라 외교부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는 자리에 비(非)외교관 출신은 처음인 데다 역대 최연소 외교부 차관이다. 현직 외교부 과장 중에는 최종건 차관보다 연장자인 경우도 있다. 최종건 본인은 당초 [[대한민국 국방부차관]]을 희망했으나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가 반대했고, [[이인영(정치인)|이인영]] [[통일부장관]] 역시 부정적이어서 [[외교부]]로 오게 된 것이라는 얘기가 있다. [[한국케미호 나포 사건]]이 호르무즈 해협에서 발생하자 1월 10일 이란 테헤란으로 급파되었다. 사실상 최종건 차관의 실력이 시험대에 오르게 된 셈이다. 4월 9일 이란 당국이 한국케미호 나포와 선장 억류를 해제함으로서, 한국-이란 간 외교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짓게 되었다.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퇴임하고,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이 당선된 가운데, 이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였다. 한국-이란 외교차관 회담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2021년 10월에는 [[오커스]] 대사단과 만나서 오커스의 방향성과 한국과의 관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2022년 5월 9일, [[조현동]] 유엔산업개발기구 한국투자진흥사무소 대표가 외교부 제1차관직에 임명되면서 자리에서 물러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복직했다. == 여담 == * 2017년 국가안보실에서 일할 때는 재산이 10억원이었는데 2021년에는 7억 미만으로 줄었다. [[분류:1974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외교부 차관]][[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로체스터 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