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최진규)] [include(틀:수도군단장)]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include(틀: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3192)" '''[[수도군단장|{{{#fff 대한민국 제29대 수도군단장}}}]][br]{{{#ffffff {{{+1 최진규}}}[br]崔珍奎 | Choi Jingy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진규.jpg|width=100%]]}}} || || '''학력''' ||[[순천고등학교]] {{{-2 (졸업)}}}[br][[전남대학교]] {{{-2 (지리학 / 학사)}}}[br][[국방대학교]] {{{-2 (국방관리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3a9e553973857e4ffe0bdc3ef48d419&keyword=%EC%B5%9C%EC%A7%84%EA%B7%9C|국제무기거래 협상력 향상방안 : 협상이론의 행태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2004)])}}} || ||<-2> '''군사 경력''' || || '''임관''' ||[[학사사관|학사사관후보생]] {{{-2 (9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87년]] ~ [[2022년]] || ||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주요 보직''' ||[[제22보병사단]] [[제53보병여단|제53보병연대]] 제2대대장[br][[제53보병사단]] [[제127보병여단|제126보병연대]] 제4대대장[br][[제23보병사단]] [[제57보병여단|제57보병연대장]][br][[제3보병사단]] [[참모장]][br][[제5군단]] [[참모장]][br][[제102기갑여단|제102기갑여단장]][br][[제26기계화보병사단|제26기계화보병사단장]][br][[제8기동사단|제8기계화보병사단장]][br][[수도군단장]][br][[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前 [[군인]]. 최종 계급은 [[중장]], 학사 최초의 소장 및 중장 진급자이다. == 생애 == [[순천고등학교]](30회)[* 고교 2년 선배는 이병권 해군 소장(해사38기), 1년 후배는 김진호 해병 준장(해사40기), 2년 후배는 [[김종삼]] 해군 중장(해사41기)이 있다.] 및 [[전남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87년 [[학사장교]] 9기로 임관[*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학생군사교육단|학군사관]] 25기와 같은 해에 임관했다.]하였다. [[대령]] 진급이 3차라 장군 진급이 늦었다.[* 비육사 출신들은 대부분 진급이 느린데, 비슷한 사례로 학군 27기의 [[권영현]] 소장 또한 대령 진급이 3차다. 육사 출신임에도 준장 3차 진급자인 [[김용우(1961)|김용우]] 장군은 [[육군참모총장]]까지 올랐다. 다만 최진규 본인도 2012년에 연대장을 지내면서 했던 말로 미루어 볼 때 대령 진급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면서 전역 준비를 하고 있던 듯하다.] 주요 보직으로 [[준장]] 시절 [[제5군단]] 참모장, [[제102기갑여단]]장을 역임했고, 이후 [[소장(계급)|소장]] 진급 후 [[제26기계화보병사단]]장을 역임하던 중 해당 사단이 18년 11월 30일부로 [[제8기동사단]]에 흡수되면서 제8기계화보병사단장으로 재부임했다. 이로 인해 본의 아니게 [[사단장]] 보직이 2개가 되었다. 이후 2019년 5월 7일부로 [[중장]] 진급과 동시에 [[수도군단]]장으로 내정되었다. 진급과 보직으로 미루어 본다면 [[학사장교]] 역사상 첫 [[대장(계급)|대장]]에 진급할 가능성이 높았다.[* 만약 대장 진급에 성공한다면 [[이순진]] 전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3사 14기) 이후로 오래간만에 수도군단장 출신의 대장이 탄생하는 셈이다.] 게다가 [[문재인 정부]]의 성향이 각 출신별 진급의 균등한 기회 제공을 모토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순조로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단순 능력뿐만 아니라 출신 및 기수를 감안해서 진급시키는 경우도 많은데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원인철]] 장군이다. 만약 원인철이 아닌 그 후배 기수를 공군참모총장으로 임명할 경우 해당 인물의 동기 및 고참은 전부 제대해야 하는데 이러면 대한민국 공군 중장 보직에 심각한 결원 문제로 인해 원인철이 공군참모총장이 된 것이다.] 이번 2020년 7월 [[북한이탈주민 강화도 경유 월북 사건]] 이후 [[이승도]]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과 더불어 지휘책임에 대한 엄중 경고를 받게 되었다.[* 최진규의 경우도 학사장교에게도 대장 기회를 주기 위해 본인이 과사실을 저지르거나 지휘책임상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만 않는다면 어지간하면 어떤 형태로든 대장은 가능하였으나, 총기 난사만큼 심각한 게 경계 실패인지라 학사장교 출신 첫 [[대장(계급)|대장]] 진급의 꿈이 멀어져버렸다. 반면 같은 지휘책임이 있는 [[남영신]]은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했기 때문에 이걸로 인해 진급을 아예 하지 못하게 되면 남영신과의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어 논란이 된다. 그러나 2020년 9월 대장 인사로 미루어 볼 때 추후 대장으로 진급할 가능성은 제로이다. 참고로 [[남영신]]은 [[북한이탈주민 강화도 경유 월북 사건]]와 더불어 [[삼척항 목선 귀순 사건]]도 있어서 지휘책임이 2개인데도 육군참모총장에 무사히 안착했다.] 2020년 12월 [[이정웅]] 장군[* 소장 시절에 사단장을 안 거치고 소장 계급으로 감편군단장(동원전력사령관)을 지냈다. 보통 동원사령관은 말년 소장 보직인데 여기서 중장 진급을 해서 이슈가 되었다.]에게 수도군단장직을 이임하고,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으로 [[영전]]하였다. 전임 참모장인 [[김정수(육군)|김정수]] [[제2작전사령관]]이 대장 진급에 성공한 것으로 볼 때 아직 학사사관 출신 최초의 대장 진급의 가능성 또한 남아있다고도 볼 수 있다.[* 직제상 지휘권과 [[참모장]] 사이에 [[부지휘관]]이 있으나 참모장은 부대 내에서 지휘관 다음 가는 파워를 가진 부대 실질 서열 2위이며 [[요직|진급 코스]]로도 여겨진다. 물론 임관 동기인 [[안준석]] 대장이 자신의 직속상관인 [[지상작전사령관]]이지만 안준석은 최진규와는 달리 [[육군사관학교]] 출신이다. 사관학교이외 출신들은 [[한직]]에 대해 굉장히 널널한 임관 과정이다.] 2021년 12월 인사에서 지작사 참모장에서 지작사 부사령관으로 보직이 변경되었으며,[* 같은 시기에 육사 43기와 학군 25기 중장들이 최진규 부사령관과 이영철 국방정보본부장을 빼고 전부 전역했다.] 이 보직을 끝으로 2022년 2월 24일 전역했다. == 주요 경력 == * '''중령''' * [[제22보병사단]] [[제53보병여단|53연대]] 제2대대장 * [[제53보병사단]] [[제127보병여단|126연대]] 제4대대장 {{{-2 (2010.12 ~ 2012.6)}}} * '''대령''' * [[제23보병사단]] [[제57보병여단|제57보병연대장]] {{{-2 (2012.6 ~ 2013.12)}}} * [[제3보병사단]] [[참모장]] {{{-2 (2013.12 ~ 2014.12)}}} *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 교육훈련과장 {{{-2 (2014.12 ~ 2015.11)}}} * '''준장''' {{{-2 2015년 10월 3차 진급}}} * [[제5군단]] 참모장 {{{-2 (2015.11 ~ 2016.11)}}} * [[제102기갑여단|제102기갑여단장]] {{{-2 (2016.11 ~ 2017.9)}}}[* 전임자 [[유영찬(군인)|유영찬]], 후임자 황영술] * '''소장''' {{{-2 2017년 9월 4차 진급}}} * [[제26기계화보병사단|제26기계화보병사단장]][* [[제26기계화보병사단]]의 마지막 사단장이다.] {{{-2 (2017.9 ~ 2018.11)}}}[* 전임자 [[신인호]]] * [[제8기동사단|제8기계화보병사단장]] {{{-2 (2018.12 ~ 2019.5)}}}[* 전임자 [[방종관]], 후임자 [[함희성]]] * '''중장''' {{{-2 2019년 5월 2차 진급}}} * [[수도군단|수도군단장]] {{{-2 (2019.05 ~ 2020.12)}}}[* 전임자 [[이창효]], 후임자 [[이정웅]]]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2 (2020.12 ~ 2021.12)}}}[* 전임자 [[김정수(육군)|김정수]], 후임자 [[김현종(군인)|김현종]]]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2 (2021.12 ~ 2022.2)}}}[* 전임자 [[이진성(군인)|이진성]], 후임자 [[권영호(군인)|권영호]] 직무대리] == 여담 == * [[제102기갑여단]]장 시절, [[제설작전]]간 휴식을 넉넉히 부여하거나, 포상휴가증을 늘 들고 다니면서 경례 소리를 크게 낸 장병에게 포상을 주고, [[군단]][[지휘검열]] 종료 후 수고했다고 전 장병에게 위로휴가 1일을 부여했으며, 소장 진급 내정 후 여단을 떠나기 전 병사들에게 간식으로 떡을 돌리는 등 병사들을 위한 모습을 많이 보였다. 추후 2020년 부대창설일 행사 당시 수도군단장으로 재임 중 일때 축하서신을 보냈다. * [[제26기계화보병사단]]장 시절, 낙엽이 한창 날리는 시즌에 낙엽을 정리하라는 [[참모장]]의 지시로 병사들이 모여 낙엽을 한창 쓸고 있을 때, [[전속부관]]에게 "어디 부대인가?"라는 질문에 "본부대입니다."라는 답을 듣고 "운치있고 좋은데 뭐하러 치우나? 청소 시키지 말고 보내라." 라든가. 제설작전 당시 "어차피 다시 쌓이고 어는데, 늦게까지 제설시키지 말아라" 라든가.[* 다만 [[제설작전]]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쌓인 눈을 오래 방치하면 눈이 녹은 뒤 한밤중에 얼어붙고 이걸 깨려면 삽과 곡괭이, 아니면 염화칼슘을 가져와야 하기에 [[호불호]]가 있다. 정황상 필수로 제설해야만 하는 곳만 집중적으로 하고 남겼을 가능성이 높다.] 위문공연 당시 사단 전 장병에게 포상 1일을 주었고, 사단 지통실 앞 근무를 서는 한 병사가 받들어 총을 하자 마음에 들었다며 포상 3일을 줬다. * 2017년 1월경 당시 [[더불어민주당]] 유력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이던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이 최진규 중장이(당시 준장) 여단장으로 재직 중이던 [[제102기갑여단]]을 방문한 적이 있다.[* 알자회 쿠데타 시 2,3,7포병여단처럼 진압주력부대였다. 당시 [[박용준(군인)|2포병여단장]]은 [[알자회]]가 물려받던 [[제12보병사단]]장을 역임하고 [[육군포병학교]]장으로 이동했으며 [[허강수|7포병여단장]]은 윤의철을 밀어내고 상급부대인 [[제7기동군단]]장으로 재직 중이다. 2포병여단의 상급부대장인 [[김운용(군인)|2군단장]]은 초대 [[지상작전사령관]]을 역임했고, 3포병여단 상급부대장인 [[김병주|3군단장]]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진급을 거듭하며 핵심 간부가 되어가고 있는 모습과 비교해보면 재미있는 일화. * 2019년에 실시한 훈련 종료 이후, 타 부대에 파견 간 병사들에게 본인 사비로 치킨을 선물했다는 미담이 전해진다. * 2019년 12월 말 군단과 시청이 공동으로 주최한 송년음악회에 참여한 모든 장병에게 포상휴가 1일씩 부여했었다. * 육사 출신의 임관동기 [[안준석]] 중장(육사 43기)이 대장으로 진급하여 [[지상작전사령관]][* [[수도군단|수도군단장]]의 직속상관직이다.]에 취임하였기에 다가오는 중장 인사에서 이임할 가능성이 높아보였고, 예상대로 수도군단장에서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으로 영전하였다. 다만 임관동기가 직속상관이라는 점은 변함없다.[* 원래 육사 출신은 특별 케이스로 쳐주기 때문에 지휘관으로 영전했을 때 비육사 출신 임관 동기를 휘하 참모장으로 두는 경우가 종종 있다. [[김근태(군인)|김근태]]의 경우만 하더라도 [[제7기동군단]]의 [[군단장]]으로 재직할 당시 그의 참모장이 3사 출신 임관동기인 [[오정석]]이었다. 그리고 그 오정석은 최종계급이 [[중장]]이다.] == 관련문서 == * [[대한민국 국군/인물]] *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 * [[학사장교]]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학사사관 출신 인물]][[분류: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분류: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분류:순천시 출신 인물]][[분류:순천고등학교 출신]][[분류:전남대학교 출신]][[분류:국방대학교 출신]][[분류:1962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