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天若. 1684 추정~1755 추정. [목차] == 개요 == [[조선]] 후기의 무신, 기술자. [[장영실]]과 함께 [[공밀레]]의 아이콘. == 출생 == 지금의 [[경상남도]] 지방의 평민 집안에서 태어났다. 정확한 출생지는 기록마다 다르다. [[동래]] 출신이라는 설이 있고 [[진해구|웅천]] 사람이라는 설이 있다. 아들 최야곤이 동래 출신으로 기록된 것으로 봐서 동래 출신일 가능성이 더 높다. 어느 쪽이 고향이든, 재밌는 점은 두 곳 모두 [[일본]]과의 교역이 활발했던 곳이라는 점이다. 실학자 황윤석은 최천약이 [[왜관#s-2]]을 드나들면 기술을 배웠다고 기록했다. 이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했던 [[서오릉#s-2.3|명릉, 익릉]] 공사가 실패하자, 조선의 재정을 탕진하러 온 왜인이라는 모함을 받기도 했다. 무인이지만 《무과방목》에는 이름이 없는 것으로 보아 [[과거 제도#s-5.2|무과]] 외에 다른 경로로 관직에 진출했을 가능성이 높다. == [[공밀레]] == 무신이었지만 뛰어난 기술자로 평가받았다. '수백 년 이래로 다시 구하지 못할 재주'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 [[정조(조선)|정조]] 역시 나라에 기술이 필요할 때마다 번번이 최천약 같은 이가 없음을 한탄했다. 기술 덕분에 최천약은 기술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차출됐다. 최천약 본인은 기술자 취급 받는 것을 꺼렸다. 기술자들에게 지급하는 공임마저 거부할 정도였다. [[사농공상|조선의 신분 질서]]에서 기술자는 천시됐기 때문이다. 최천약의 활동 분야는 국방부터 예술까지 다양했다. 무인으로 종3품 첨사 자리까지 오른 최천약은 총차(銃車)라는 무기를 발명한다. 4층 수레에 화포를 스무 문 탑재한 무기였다. [[파일:소령원 문인석.jpg]] [[숙빈 최씨]]의 묘 소령원에 있는 문인석으로 최천약의 작품이다. 옥책이나 옥인 등 왕실 용품 제작에도 번번이 차출됐다. 왕실이나 고관의 묘에 쓸 석물 제작 역시 최천약의 몫이었다. 죽기 전까지 영조 시대 왕실 석물 제작은 대부분 최천약의 전담이었다. [[영조]]가 [[편경]], [[편종]] 등 악기를 제작할 때 사도[* 지금의 [[고흥군]]]첨사로 있다가 서울로 불려오기도 했다. 조정은 정밀한 기술이 필요할 때도 최천약을 동원했다. 영조가 국가 표준을 정할 때나 보루각을 재건할 때 일선에 투입됐다. [[자명종]] 같은 서양 물건을 잘 다루는 것으로도 유명했다. 조선 최고의 자명종 기술자로 꼽힐 정도였다. 이렇게 뛰어난 기술을 가진 덕에 사신 행렬에도 동행했다. 조선은 외국 기술을 배워오기 위해 최천약을 사신단에 합류시켰다. 1711년 일찍이 [[조선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 갔다왔다. 1730년 그의 후원자이자 영조의 측근인 서평군[* 선조의 [[현손]]자다.]이 사은사 겸 동지사로 [[청나라]]에 가게 되자, 청의 문물을 배워오기 위해 사신 행렬에 동행하게 됐다. 1753년에 관직에서 은퇴했고 언제 죽었는지는 알수없지만 고령이라는 점으로 미루어봐서는 1755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기타 == * 일설에 의하면 1731년 [[과거 제도#s-5.2|무과]]에 계속 낙방하자 [[한양|한성]]의 약방에서 숙식을 해결했다고 한다. 어느날, 할 일이 없었던 최천약은 [[천궁#s-1]]으로 조각을 깎았는데 그 솜씨에 놀란 약방 주인이 그를 서평군(西平君)에게 소개했다. 최천약의 솜씨를 알아본 서평군은 그를 다시 영조에게 소개시켜 준다. 영조는 최천약의 기술을 시험하기 위해 바늘이 떨어진 [[자명종]]을 고치게 한다. 서울의 장인들도 쉽게 고치지 못하던 물건이었다. 그런데 최천약은 간단하게 자명종을 고쳤고, 뛰어난 기술자로 영조에게 --혹사당했다--총애받았다. 최천약의 실제 행적과 비교할 때, 사실성이 떨어지지만 최천약의 뛰어난 기술을 말해주는 일화다. * 유공이란 사람이 한성부의 현판을 탁본하려 했는데 현판이 너무 높아 할 수 없었다. 최천약에게 방법을 물으니 최천약은 현판을 따라 글씨를 썼다. 화가 난 유공이 사다리를 가져와 현판을 탁본했더니 최천약의 글과 똑같았다고 한다. * 만화가 [[윤승운]]이 어린이 잡지 생각쟁이 창간호에서 최천약의 생애를 다룬 에피소드를 만화로 그린 적이 있다. 맹꽁이 서당을 연재 재개하기 이전이라 기억하는 사람은 드물 듯.. [[분류:조선의 기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