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r1=동명이인, rd1=최하영(동명이인))] [include(틀:역대 감사원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eded, #ededed 20%, #ededed 80%, #ededed)" '''[[감사원장|{{{#000000 대한민국 제4대 심계원장}}}]][br]{{{#000000 {{{+1 최하영}}}[br]崔夏永 | Choe Ha-ye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rokps.or.kr/686.jpg|width=100%]]}}} || ||<|2> '''출생''' ||[[1908년]] [[7월 18일]] || ||[[경기도]] [[이천시|이천군]] || ||<|2> '''사망''' ||[[1978년]] [[7월 29일]] (향년 70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 || '''본관''' ||[[경주 최씨]] || ||<|4> '''재임기간''' ||제3대 심계원 차장 || ||[[1952년]] [[2월]] ~ [[1956년]] [[10월]] || ||제4대 심계원장 || ||[[1956년]] [[10월 1일]] ~ [[1960년]] [[6월 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조영자 || || '''자녀''' ||슬하 5남 2녀 || || '''학력''' ||히메지중학교 {{{-2 (졸업)}}}[br]마쓰에고등학교 {{{-2 (졸업)}}}[br][[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 법학부 {{{-2 (정치학과 /학사)}}}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5대 국회의원|'''5''']] || || '''약력''' ||고등문관시험 행정과 합격[br]조선총독부 내무국 사무관[br]후생국 사무관[br]사정국 사무관[br]서기관 겸 총무국 조사국장[br]총독관방 조사과장[br]조선중앙정보위원회 위원[br]국민총력운동연락위원회 위원[br]농상국 농상과장[br]농상국장 고문[br]천일제약주식회사 이사[br]심계원 사무총국장[br]제3대 심계원 차장[br]제4대 심계원장[br]제5대 민의원[br]동광운수주식회사 대표이사[br]한국정밀기공업주식회사 사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 1958년 경주 최씨 중앙종친회 2대 회장에 취임했다.[[http://choichiwon.net/introduction/introduce10|#]]]. == 생애 == [[1908년]] [[경기도]] [[이천시|이천군]]에서 태어났다. [[효고현]]립 히메지(姬路) 중학교와 마쓰에(松江) 고등학교 문과,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했다. [[일제강점기]] 말기 [[조선총독부]]에서 내무국 사무관, 후생국 사무관, 사정국 사무관, 서기관 겸 총무국 조사국장, [[총독]]관방 조사과장, 조선중앙정보위원회 위원, 국민총력운동연락위원회 위원, 농상국 농상과장 등으로 있으면서 [[태평양 전쟁]] 관련 친일 반민족 행위를 하였으며, 1940년 4월 29일 중일 전쟁에 협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본 정부로부터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8.15 광복]] 후 [[미군정]]기 미군정청 농상국장 고문, 천일제약주식회사 [[이사(직위)|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1948년]] 6월 [[대한민국 헌법]] 기초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기도 이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종성(1890)|이종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1년 심계원(현 [[감사원]]) 사무총국장, 1952년 심계원 차장을 차례로 역임했으며 1956년 10월부터 1960년 6월까지 제4대 [[심계원장]]을 역임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런데 당선은 당선인데 '''16.94%로 당선되었다.''' ~~18대 총선 [[이인제]]는 가뿐히 발라버리는 최저 득표율 당선~~ 그러나 1961년 [[3.15 부정선거]] 가담을 이유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대한민국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기도]] [[광주시|광주군]]-[[이천시|이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정당]] [[신하균(1918)|신하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동광운수주식회사 대표이사, 한국정밀기공업주식회사 사장 등을 역임했다. 친일파 708인 명단의 조선총독부 사무관 부문,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관료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경주 최씨]][[분류:이천시 출신 인물]][[분류:1908년 출생]][[분류:1978년 사망]][[분류:감사원장]][[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고등문관시험 출신]][[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이승만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