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형재 정치인.jpg|width=100%]]}}} || || '''{{{#FFFFFF 이름}}}''' ||최형재(崔炯宰) || ||<|2> '''{{{#FFFFFF 출생}}}''' ||[[1963년]] [[7월 26일]] ([age(1963-07-26)]세) || ||[[전라북도]] [[임실군]] || || '''{{{#FFFFFF 학력}}}''' ||오수중학교 {{{-1 ([[졸업]])}}}[br][[완산고등학교]] {{{-1 ([[졸업]])}}}[br][[전북대학교/학부|전북대학교 상과대학]] {{{-1 (경제학 / [[학사]])}}}[br][[전북대학교/대학원|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1 (지방자치학 / [[석사]])}}} || || '''{{{#FFFFFF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현직}}}'''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전북지역위원회 고문[br]전주지방노동위원회 공익조정위원[br]한국스카우트전북연맹 전주지구연합회장 || || '''{{{#FFFFFF 경력}}}''' ||[[더불어민주당]] [[전주시 을]] [[지역위원장]][br][[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전북지역위원회 공동대표[br]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br]전주아름다운가게 공동대표[br]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노무현정부)[br]전라북도 갈등조정협의회 사무처장[br]전북경제살리기도민회의 사무총장[br]제18대 대선 문재인 대통령 후보 전북시민캠프 공동대표[br][[전북대학교]] 초빙교수[br][[우석대학교]] 겸임교수[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제19대 대선 [[문재인]] 후보 정무특보[br]제19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전라북도당 공동선대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시민·사회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당적은 더불어민주당이며, 전라북도 [[전주시 을]](서신,효자,삼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혈액형은 [[A형]]이다.[* [[https://focus.chosun.com/focus_sl.jsp?sw=%EC%B5%9C%ED%98%95%EC%9E%AC&x=0&y=0|#]]] == 시민단체 활동 경력 == 1994년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들의 모임에 모태를 둔 전북환경운동연합과 함께 환경운동을 시작했다. 이후 10여년간 지역 시민운동가로 활동했다. 2005년 [[시사저널]]에서는 전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시민활동가로 뽑히기도 했다. 2000년과 2004년에는 총선시민연대 집행위원장을 맡아서 활동했다.총선시민연대는 반부패, 반개혁 정치인을 국회로부터 퇴출하고 추방하자는 의도로 낙선·낙천운동을 벌였다. 이후 전주아름다운가게 공동대표와 전북경제살리기도민회의 사무총장 등을 지내기도 했다. == 정치 경력 == [[참여정부]] 때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이후에는 전라북도 갈등조정협의회 사무처장을 역임했다. [[참여정부]] 이후에는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전북지역위원회 공동대표를 지내고 정계에 입문했다.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 후보 전북시민캠프 공동대표로 정계 활동을 시작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상직]]후보를 경선에서 이기고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후보와 표가 갈리면서 [[새누리당]] [[정운천]] 후보에 111표 차이로 석패했다. 낙선 이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과 [[전주시 을]] 지역위원장, 그리고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문재인]] 당시 후보 정무특보와 전라북도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줄곧 [[여론조사]] [[1위]]를 유지하던 유력 후보를 아무런 설명도 없이, 이유도 밝히지 않고 당내 경선에서 배제하였다.[* 다만 20대 국회의원 선거에 다른 곳도 아니고 전라도에서, 김무성이 내려와서 배알 꼴리지도 않습니까? 라는 발언까지 겹쳐 [[정운천]] 후보에게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졌고, 그걸 생각하지 않고 페이스북에 본래 자신의 자리라는 뉘앙스에 운이 없어 111표차로 패배했다는 글을 꾸준히 올렸다. 다만 인접 선거구 (전주시 병)에 [[정동영]] 전 의원, 전라북도 전체가 국민의당 바람이 불어 [[장세환]] 후보가 범민주당 표를 갈라치기 한 점도 고려해야 한다. 물론 당에서는 깜냥이 안된다고 생각할 여지가 다분했던 셈.] 그러나 공관위의 결정이 있기 전, 새전북일보, 전북일보 등 최형재 후보가 공천배제라는 '오보'아닌 오보를 냈다. 비공개로 치러진 공관위 회의가 외부로 유출됐다는 의심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최형재 후보는 선거운동 대신 공관위가 열리는 서울로 올라가 사안을 돌이키려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공천배제되었다. 이에 공관위를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를 강행하였으나 20%를 조금 넘게 득표하는 선에 그치고, 민주당 [[이상직]] 의원에게 밀려 2위로 낙선했다. 2022년 1월 더불어민주당으로 복당했다. 지역구의 [[이상직]]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당할 가능성이 높아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출마도 점쳐졌지만, "재보궐선거 여부에는 관심이 없다"라고 밝혔다.[[http://www.jj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4468|#]] 실제로 [[임정엽]], [[김호서]]가 탈당해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상황에서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전북 [[전주시 병|전주 덕진]]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3,183 (2.74%) || 낙선 (4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전북 [[전주시 을|전주 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0,871 (37.43%) ||<|2> 낙선 (2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21,697 (20.08%)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63년 출생]][[분류:임실군 출신 인물]][[분류:완산고등학교 출신]][[분류:전북대학교 출신]][[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대한민국의 환경 운동가]][[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삭녕 최씨]][[분류:민중당(1990년)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