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문재인 정부/인사]] [[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금융감독원장]] [[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 [[분류:1952년 출생]][[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재직]] [include(틀:금융감독원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97ecb 0%, #297ecb 20%, #297ecb 80%, #297ecb)" '''[[금융감독원|{{{#ffffff 제11대 금융감독원 원장}}}]][br]{{{#ffffff {{{+1 최흥식}}}[br]崔興植 | Choi Heung-shi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s.jpg|width=100%]]}}} || ||<|2> '''출생''' ||[[1952년]] [[9월 6일]] ([age(1952-09-06)]세) || ||[[인천광역시|경기도 인천시]] || || '''학력''' ||경기중학교 {{{-2 (졸업)}}} [br][[경기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경영학 / 학사)}}}[br][[연세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br]릴 대학교 {{{-2 (경영학 / 박사)}}}|| || '''경력''' ||[[연세대학교/학부/경영대학|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br]한국금융연구원 원장[br][[하나금융지주]] 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금융인으로 제11대 [[금융감독원장]]을 역임하였다. == 생애 == 1952년 9월 6일 인천에서 태어났다. 경기중학교, [[경기고등학교]],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였고, 프랑스 릴 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한국금융연구원 원장과 [[하나금융지주]] 사장을 지냈다. == 암호화폐 거래소 폐쇄 추진 == 2017년 12월 27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출입기자단 대상 송년 만찬에서 “2000년 초반 아이티(IT) 버블 때 아이티 기업은 형태가 있었지만 비트코인은 그렇지가 않다. 나중에 비트코인은 버블이 확 빠질 것이다. '''[[내기]]해도 좋다'''”는 발언으로 코인 투기를 뜯어말렸다가 투기자들에게 뭇매를 맞았다.[[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825416.html#csidxa7d203b83685f368e0486ca29bfb975|#]] 그 후 [[암호화폐 거래소]] 폐쇄를 추진하였는데, 그 전까지 가상화폐에 투자하였던 금감원 직원이 2017년 12월 정부 대책 발표 직전에 가상화폐를 팔아 차익을 낸 사실이 알려져 비난을 받았다. 물론 금감원장과는 무관한 일이다. 아무튼 이를 꼬투리 잡은 코인 투기자들에 의해 해임 촉구안이 제기되었으며, 암호화폐 규제 반대에 대한 청와대 청원도 있었다. [[http://19president.pa.go.kr/petitions/76093 |#]] == [[KEB하나은행]] 채용비리 관련 == 지인의 아들을 하나은행에 채용 청탁했다는 채용비리에 말려들어 [[2018년]] [[3월 12일]] 사퇴의 형식으로 불명예 퇴진했다. 역대 금융감독원장 중 두번째로 단기간 재임이라는 불명예도 안게 되었다. 사퇴 당시엔 최단기간이었으나, [[김기식|후임자]]가 경신했다. == 관련 문서 == * [[박상기]]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금융감독원 직원 암호화폐 거래 의혹]]: 금감원에서 벌어진 사건으로, 금감원에서는 이 사안을 '''은폐'''하고 있었다. * [[최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