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캠프)] [include(틀:추미애)] ||<-2><#004EA2><:>{{{#fff '''추미애 캠프''' }}} || || '''출범''' ||[[2021년]] [[6월 23일]][* 추미애 전 장관이 대선 출마한 날이다.] || || '''해단''' ||[[2021년]] [[11월 2일]][* [[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가 출범한 날이다.]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6길 23)]}}}[[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국회대로66길]] 23 || || '''대통령 후보''' ||[[추미애]] ,,/ 5선 (15·16·18~20대),,|| || '''선거대책위원장''' ||''공석'' ||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U-ri58k_ERPtAM2BNmWC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choopag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2> {{{-2 2021.11.02. 기준}}}|| [목차] [clearfix] == 개요 == [[더불어민주당]]의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인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5선 국회의원)의 대선 캠프이다. == 조직 == * 대통령 후보: '''[[추미애]]''' * 선거대책위원장: * 총괄선거대책본부장: [[강희용]] 전 서울시의원 * 부본부장: * 비서실장: * 부실장: * 수행실장: * 수석대변인: * 대변인: * 광역선대본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후원회장: [[장영달]] 전 국회의원 == 지지선언한 인물 및 단체 == * 전라북도 문화예술단체 회장단 * [[정청래]] 의원 * [[김민웅]] 교수 * [[장영달]] 전 의원 * [[강희용]] 전 서울시의원 == 평가 ==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열린캠프]],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필연캠프]], [[정세균]] 전 국무총리의 [[미래경제캠프]] 등에 비해서 현역 국회의원 합류가 없다는 단점과 [[추미애]] 장관이 [[친문]]이나 [[열린민주당]] 지지층에서의 지지세가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역 의원이 없다 보니 그만큼 쉽지 않는 경선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캠프 내에 현역 의원의 지원 없이 오직 자원봉사자들의 힘만으로 경선에서 20명 가량의 현직 국회의원이 합류한 [[미래경제캠프]]의 [[정세균]] 전 국무총리를 매우 큰 차이로 따돌리고 10% 이상의 득표율을 이끌어 낸 것은 굉장히 의미있다는 평가가 존재한다. 어찌 되었든 많은 악조건 속에서도 굉장히 선방했다는 평이 많다. 이렇게 순풍을 타는 줄 알았지만 광주/전남 경선에서 [[이낙연]]의 우세가 예상되자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에 반대하는 일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지지자들이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밀어주면서 득표율이 크게 감소했다. 특히 11%를 차지했던 제 1차 선거인단 투표와는 달리 제2차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5%대로 밀려나며 3위는 지켰지만 10%선이 붕괴되고 말았다. 경선에서 9.01%를 받으며 3등으로 경선을 마무리 했다. 10%선이 붕괴 된 것은 아쉬운 일 이지만 지지기반이 미약한 상태에서 이 정도 성과는 상당히 좋은 성적이다. [[분류:추미애]][[분류:더불어민주당]][[분류:제20대 대통령 선거/선거캠프]][[분류:2021년 설립]][[분류:2021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