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ilyn_Manson_Infobox_Manga.png|width=100%]]}}} || ||<-2>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징수맨슨.png|width=100%]]}}}|| ||<-2> {{{#white '''애니메이션'''}}} || }}}}}}}}}}}} || ||<-2> '''{{{+1 추심인 마릴린 맨슨}}}[br]{{{-1 取り立て人マリリン・マンソン|Marilyn Manson}}}''' || || {{{#white '''CV'''}}}[* 본체인 [[밀라숀]]의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스탠드 유저의 성우를 그대로 따라간다.] ||'''[[콘도 유이]]''' ,,(近藤 唯),,[br],,《[[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톤 오션|Part 6 애니메이션]]》,,[br] || || {{{#white '''해외판 성우'''}}} ||<-2>'''[[수지 영]]''' ,,(Suzie Yeung),,[br],,《[[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톤 오션|Part 6 애니메이션]]》,,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white '''이름'''}}} || '''추심인 마릴린 맨슨''' || || {{{#white '''스탠드 유저'''}}} || '''[[밀라숀]]''' || || {{{#white '''명칭 유래'''}}} || '''미국 록 밴드 [[마릴린 맨슨(밴드)|마릴린 맨슨]]''' || || {{{#white '''북미판 명칭'''}}} || '''Mary lynn Manson''' || || {{{#white '''타입'''}}} || '''원격자동조종형[Br]인간형[Br]정신공격형[Br]자율형''' || ||<-3>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스탯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추심인 마릴린 맨슨1121.png|width=100%]]}}}|| ||<-3> {{{#white '''추심인 마릴린 맨슨'''}}} || || {{{#000000 '''파괴력 - E'''}}} || {{{#000000 '''스피드 - A'''}}} || {{{#000000 '''사정거리 - A'''}}} || || {{{#000000 '''지속력 - A'''}}} || {{{#000000 '''정밀동작성 - A'''}}} || {{{#000000 '''성장성 - C'''}}} || }}}}}}}}}}}} || }}}}}}}}} || [목차] [clearfix] > "'''하지만 모자라... 다 해도 380달러밖에 안 돼... 어쩔 거지? 나머지 620달러는...?'''"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ilyn_Manson_Infobox_Manga.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릴린TVA.png|width=100%]]}}} || || [[스톤 오션|{{{#ebbc43 '''원작'''}}}]]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톤 오션|{{{#ebbc43 '''TVA'''}}}]]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stand_1201.png|width=24%]][[파일:img_stand_1202.png|width=26%]][[파일:img_stand_1203.png|width=50%]]}}} || ||<-2>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톤 오션|{{{#ebbc43 '''TVA'''}}}]] {{{#ebbc43 '''설정화'''}}} ||}}} || ※ '''표 양식은 애니북스의 6부 스톤 오션 정발본의 스탠드 표 기준'''[* 단, 능력 설명의 서술을 정발본의 '능력- 능력 설명'과 같이 서술 시 첫 문장과 이후 문장들의 배열이 난잡해지므로 '능력 - (한 칸 띄우기) 능력 설명'과 같이 서술.]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추심인1.jpg|width=300]]}}} || ||<-3> {{{#715b4a '''스탠드 명 - '추심인 마릴린 맨슨' [br] 본체 -'''}}} '''[[밀라숀]]''' || || {{{#715b4a '''파괴력 - E'''}}} || {{{#715b4a '''스피드 - A'''}}} || {{{#715b4a '''사정거리 - A'''}}} || || {{{#715b4a '''지속력 - A'''}}} || {{{#715b4a '''정밀동작성 - A'''}}} || {{{#715b4a '''성장성 - C'''}}} || ||<-3>{{{#715b4a '''능력 -''' [br] 상대의 마음속 약점을 찾아내 어떻게든 돈이 될 만한 것을 [br] 추심한다. [br] 추심을 당하는 인간은 마음속에 부채 의식이 있어 제대로 [br] 반격할 힘을 내지 못한다. 마릴린 맨슨은 바로 그것을 [br] 추심한다. 마릴린 맨슨에게 추심을 당하게 되면 그 무엇도 [br] 숨길 수 없다.}}} ||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 6부 [[스톤 오션]]의 등장인물 [[밀라숀]]이 [[화이트스네이크(죠죠의 기묘한 모험)|화이트스네이크]]를 통해 얻은 [[스탠드(죠죠의 기묘한 모험)|스탠드]]. == 외형 및 특징 == 스탠드 이름 앞에 직업명이 붙어있는 이름이 특이한 스탠드. 아마추어 번역본에서는 [[징수인 마릴린 맨슨]]으로 번역되어 징수인으로 기억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추심인과 징수인의 뜻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번역명에 옳고 그름을 따질 수는 없으나, 정발 번역명을 따라 문서명은 추심인이 되었다. [[죠르노 죠바나]]의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처럼 본체의 성별과 무관한 외형을 지녔다. 인간형 스탠드들은 본체가 남성일 경우 남성적인, 여성일 경우 여성적인 외형을 지니게 되는데 이 스탠드는 그렇지 않다. 이유는 본래 주인이 따로 있었던 스탠드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애니판 캐스팅과 성우의 연기가 어떻게 될 지 주목받았지만, 결국은 그냥 밀라숀과 똑같은 목소리로 연기했다. 눈 부분에 바가 달려있으며, 이 바에는 추심할 금액이 나와 있다. 이 곳에 적힌 금액이 0이 될때까지 돈이 될만한 건 모조리 추심해간다. 손도 기묘하게 생겼는데, 끝이 둥글게 말린 갈고리처럼 생긴 손가락 두 개랑 짧은 막대같은 손가락 한 개만 달려있다. 하지만 정밀동작성 A라서 그런지 이런 요상한 손으로도 굉장히 정밀하게 움직인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등장하는 스탠드들은 대부분 날카롭거나, 매끈한 외형인데 마릴린 맨슨은 복실복실한 털 옷을 입었다. 옷도 누런 색이라 전체적으로 따뜻한 인상을 주는 스탠드. 이런 따뜻한 인상과는 다르게 룰과 공정함에 대해서는 냉정하긴 하지만. 다만 이건 적의 스탠드여서 냉정하게 느껴지는 거지, 살상에 최적화된 다른 스탠드들과 비교하면 정해진 규칙대로만 행동하는 이 스탠드는 비교적 따뜻한 능력으로 볼 수도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6부에서 등장한 스탠드들 중 [[보헤미안 랩소디(죠죠의 기묘한 모험)|보헤미안 랩소디]]와 더불어 아이캐치가 없다. 스탠드체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서 불명 상태인 것도 아니고, 명백히 스탠드체 및 능력까지 나온 상태인데도 '''아예 아이캐치 없이 B파트로 넘어간다.''' 보헤미안 랩소디는 무형+저작권이라 그렇다 쳐도 이쪽은 [[러브 디럭스]], [[보이 II 맨]], [[래트(죠죠의 기묘한 모험)|래트]] 등과 같이 아예 등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능력 == 본체인 밀라숀이 죄수라서 별로 부각되지 않았지만 [[코바야시 타마미]]의 [[더 록(죠죠의 기묘한 모험)|더 록]]과 마찬가지로 [[사채]]나 [[국세청|금융 관계]] 쪽에서 사용했으면 꽤나 대성했을 법한 스탠드. 그 방법이 거칠기는 했지만 효능 면에서는 이걸 능가할 스탠드는 작중에서도 [[하베스트(죠죠의 기묘한 모험)|하베스트]] 외엔 찾기가 힘들다. 물론 사채 빚을 추심하는 건 내기에서 진 게 아니기 때문에 상황이 좀 다르긴 하지만, 밀라숀이 아닌 본래 스탠드 유저였다면 이런 식으로 쓸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예시로 돈을 받아야 하는 사람한테 불리한 내기를 강요하는 식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 스탯 === * '''스피드 A''' + '''사정거리 A''' + '''정밀동작성 A''' 전투에 있어 중요한 스피드, 사정거리, 정밀동작성이 모두 A라는 장점을 가졌으나, 문제는 '''파괴력이 E'''. [[실버 채리엇]]처럼 파괴력이 C이기라도 했다면 스탠드 싸움에서도 큰 효과를 발휘했을 것이다. 애초에 추심이 목적인 스탠드이니 파괴력도 낮게 표기된 것이겠지만. === [[추심]] === [[오시리스신]]이나 [[아툼신]]과 같은 내기 관련 스탠드로, 본체가 한 내기에서 본체가 이기면 상대가 내기에서 걸었던 것을 추심해간다. 이런 유형의 스탠드가 다 그렇듯, 내기와 무관하게 마음 속으로 패배를 인정하거나 자신이 사기를 쳤다는 죄책감이 들어도 발동한다. 패배한 순간 추심인 마릴린 맨슨이 나타나 추심을 시작하는데, 스탠드체는 패자의 마음의 그림자이기 때문에 어떠한 공격도 통하지 않으며, [[독심술]]을 사용해서 돈이 될만한 걸 빼앗아간다. 실제로 에르메스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는데 그녀가 가슴에 돈을 숨기고 있다는 걸 알고 냅다 가져가버렸고, 그 다음 돈이 될만한 것으로 금니랑 [[간]]을 떠올리자마자 그걸 빼앗아갔다. 직후 [[선더 맥퀸]]이 어딘가에 돈을 숨겨둔 것을 안다며 그걸 가져가라 하지만, 이건 에르메스 자신이 '그 돈은 나의 것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추심 대상이 아니라며 거절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 마이 간.png|width=100%]]}}} || || {{{#ebbc43 '''추심인 마릴린 맨슨 ⑥ 中'''}}} || 마릴린 맨슨에게 간이 빠진 에르메스는 당시 고통스러워했으나 그 자리에서 즉사하지 않고 간을 돌려받자 간은 제자리에 깔끔하게 들어가고 에르메스도 곧바로 괜찮아졌다. 정밀동작성 A급 답게 추심이랑 반환 과정이 깔끔하다. 만약 돈이 될 거리도, 관련된 생각도 없을 경우는 불명. 이 경우 아마도 스탠드가 계속 쫓아다니며 돈이 될 거리가 생길 때마다 실시간으로 가져가거나, 스탠드가 직접 말을 걸어 돈이 될 거리에 관한 개념을 심어줄 것으로 추정된다. 덤으로 추심한 물건과 같은 가치의 다른 물건을 교환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간을 빼앗겨 괴로워하는 에르메스를 F.F가 걱정하는 모습을 보자 원한다면 간과 다른 걸 교환해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단점 == * '''비전투형 스탠드''' 그나마 비슷한 스탠드인 [[오시리스신]]이나 [[아툼신]]은 상대의 영혼을 받아내는 스탠드라 빼앗은 영혼을 인질로 걸 수 있지만 마릴린 맨슨은 그냥 돈이 될만한 것만 추심하기 때문에 인질 삼을 것도 없다. 다행히 작중에서는 '에르메스의 간'을 가지고 협박할 수 있었다. 만일 아무 때나 소환할 수 있다면, 빠른 스피드를 이용해서 상대방의 몸을 꿰뚫는 식으로 싸울 순 있어 보인다.[* 다만 파괴력이 거의 없음이라고 표시된 E인지라 능력발동이 될때는 특수능력으로 판정이 되어서 간등을 빼낼수 있지만 그냥 공격할 경우에는 스탠드는 커녕 적의 본체에도 상처를 입히지 못할것으로 보인다.] * '''주관적인 판정''' 사람의 마음은 무척이나 주관적이다. 만약 상대방이 규칙을 어겼는데도 [[어쩌라고|그래서 어쩌라고]] 식으로 개무시하면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예를 들어 죠린은 내기로 하던 캐치볼 도중 공을 떨굴 뻔 했을 때, 능력으로 몸을 날려 공을 잡고도 [[기백|그냥 전력을 다한 것 뿐]]이라 여긴건지 추심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아무래도 이건 좀 억지라고 생각했는지 애니판에서는 능력을 쓰지 않고 그냥 몸을 날린다.] 반면 에르메스의 경우엔 키스를 써서 공을 잡은 뒤 내기를 하는 동안 스탠드를 쓴 게 마음에 걸렸는지 곧바로 추심인이 나타났다.[* F.F가 플랑크톤을 뻗어 공을 잡은건 어차피 플랑크톤이 본체라서 사기가 아니라 생각했는지 추심인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즉 설령 상대가 대놓고 사기를 친다 하더라도 '사기 당하는 놈이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다니엘 J. 다비]]같은 타입이라면 사기를 막을 수 없다.[* 애초에 본체인 [[밀라숀]]부터가 캐치볼을 방해하기 위해 간수를 매수하거나 방해공작을 하는 등, 충분히 사기나 다름없는 행동을 저질렀었다. ] * '''상대가 내기를 걸어도 거절하지 못함''' 추심인은 본체가 아니더라도 일단 한쪽에서 내기를 건다면 무조건 인정한다. 작중에서는 밀라숀이 미리 판을 짜둔 뒤에 내기를 걸었지만, 반대로 '''[[다니엘 J. 다비|상대가 미리 판을 짜놓고 본체한테는 아무런 정보가 없는 상황]]'''이라면 오히려 본체가 위험해진다. 거기다 내기가 걸리면 내용에 대해 합의할 여지 없이 바로 추심하기 때문에, 작중에서 에르메스가 내기에서 진 직후 죠린이 에르메스가 잃은 것(돈, 금니, 간)을 걸고 캐치볼 내기를 하자고 하자 수락했고, 죠린이 내기에서 패배해 징수가 시작되었을 때도 곧바로 새 내기를 걸자 본체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인정해서 밀라숀은 야구공으로 캐치볼을 빙자한 1000번의 구타를 당해 리타이어했다. * '''중립적인 성향''' [[드래곤즈 드림]]과 비슷한 단점으로, 본체가 불리한 상황에서도 정직한 판정을 내리며 본체가 내기에서 지면 본체로부터 대가를 징수한다. TVA 기준 죠린이 '''내기 상대를 지정하지 않았다'''며 본체를 캐치볼로 두들겨패는 상황에서도 추심인 마릴린 맨슨은 룰 위반으로 판정하지 않아 가만히 지켜보고만 있었고, 죠린이 승리하자 본체가 가진 돈을 징수했다. * '''완전 무력화 불가''' 같은 내기 관련 스탠드인 [[오시리스신]]과 [[아툼신]]은 내기에서 패배하면 완전히 무력화 되는 반면, 마릴린 맨슨은 일정 금액만큼만 추심해가기 때문에 [[에르메스 코스텔로|에르메스]]의 간을 빼가도 즉사하지는 않았다. 죠린 일행이 감옥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돈이 부족해서 내기에 당했지, 만약 지불할 충분한 금액을 보유한다면 그냥 돈 내고 두들겨 패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3부 죠셉이 상대였으면....-- == [[디아볼로의 대모험]]에서 == 특수 상황에서만 등장. [[토니오 트루사르디]]의 상점에서 도둑질을 하고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이나 [[디아볼로]]의 디스크, 아바키오로 [[호텔]]로 귀환했을 때 나타나서 훔쳐간 아이템을 다시 회수하고 간다. 다만 무디 블루스를 통해 창고로 보낸 아이템은 회수해가지 않는다. 즉 귀환 디스크를 이용한 도둑질은 [[무다무다|'무다' 라는 뜻이다]]. 도둑질을 하려면 훔친 후에 무조건 다음 층으로 내려가거나 무디 블루스를 써야 한다. [[분류:스탠드(죠죠의 기묘한 모험)/6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