鄒靖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후한]] 말의 무장으로 관직은 교위 > 북군중후다.[* 중앙군 조직 중 하나인 북군의 수장이다.]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184년에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자 교위로 있던 추정에게 '''[[유비]]'''가 의병을 이끌고 가세하자 유비를 부장으로 삼아서 함께 황건적을 토벌했으며, 결과적으로 추정이 유비를 데리고 다니면서 황건적 토벌에 힘썼기 때문에 유비는 추정 덕에 안위현의 현령관직을 얻게 되었다. 다만 정확히는 [[장거]], [[장순(삼국지)|장순]] 토벌 이후에 직위를 받기 때문에 유비는 여기서의 공적으로 직위를 받았을 가능성이 더 크다. 185년에 거기장군 [[황보숭]]이 [[변장(삼국지)|변장]], [[한수(삼국지)|한수]]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오환의 병사 3천을 요청하자, 북군중후였던 추정은 오환의 병사는 약하니 대신 선비의 병사를 채용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그러나 거기장군연 [[응소]]가 선비의 병사는 적진에서 약탈한다는 움직임을 보인다면서 반대하였다. 결국 두 사람 사이에 말다툼이 생겼지만 끝내 추정의 의견이 묵살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 해임되었다. 추정의 의견에 동조한 대중군연 한탁(韓卓)은 추정이 변방 근처에 살아 이민족들의 실태를 잘 알았다고 말했다. 이후 행적은 불명. 다만 [[189년]]에 북군중후 직위를 [[유표]]가 맡고 있었던 점[* 이후 유표는 같은 해에 형주자사 [[왕예#s-2]]가 손견의 협박으로 자살하면서 형주자사로 부임하게 되었다.]을 보면 189년 이전에 북군중후 직위에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 [[삼국지연의]] == [[유언(삼국지)|유언]]의 명령에 따라 [[유비]], [[관우]], [[장비]]와 군사 500명의 군사를 거느려 대홍산에서 [[정원지]]가 이끄는 황건적을 격파했으며, 청주태수 [[공경#s-3]]이 원군을 요청하자 유언에게 5000명의 군사를 받아 유비, 관우, 장비와 함께 청주를 구원했다. 청주에서 관우와 장비가 각기 산에서 매복할 때 유비와 함께 군사를 이끌면서 북을 치거나 고함을 질러 앞으로 나아가 청주의 황건적들을 유인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청주의 황건적이 격파되자 유비가 [[노식]]을 구원하려고 했다. 유비에게 식량은 줄 수 있지만 병사는 함부로 움직이지 못한다면서 유주로 돌아간다. 유비는 추정의 부장으로 황건적을 진압한 공로로 안위현의 현위 관직을 받지만 [[독우]]를 구타한 사건으로 인하여 관직을 버리고 도주하게 된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663-Zou-Jing.jpg]] || || 삼국지 9, 10,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33.jpg|width=400]] || || 삼국지 13, 14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유비 덕분에 무장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3]]과 [[삼국지 5]]에서 등장하고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다. 능력치는 통솔 하나만 70 즈음을 찍고 나머지는 60대 정도인 C급 무장. 유우처럼 인재가 부족한 세력에는 그래도 써야하는 무장이지만 사망년도가 보통 194년 이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자연사라 오래 못 쓰는 것이 흠이다. 다만 삼국지 5에서는 어찌된 영문인건지 유언의 아들인 [[유장(삼국지)|유장]]이 군주로 나올 때도 등장하며 용명도 높아서 유장군의 주력 장수가 되기도 한다. [[삼국지 5]]에서는 행적과는 다르게 유언은 물론이고 아들인 유장이 군주로 나올 때도 등장한다. 용명도 매우 높아서 병력을 많이 거느리는 것이 가능하여 유언 또는 유장 세력에서는 쓸만한 무장이다. 다만 능력치가 어느 부분이든 크게 좋은 편도 아니고 눈에 띄는 편도 아니라서 장임, 엄안, 오의 등과 같은 능력치도 준수한 무장들에 비하면 활용도가 애매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0/지력 65/정치력 57. 돌파, 제사, 덫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5/지력 66/정치력 54/매력 68의 만능형이지만 특화가 없다. 특기도 보수, 저지, 역공 3개 밖에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4/지력 66/정치력 59/매력 67의 어정쩡한 만능형. 창병 적성이 A다.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 계에서 재야로 등장하므로 이 능력치로도 [[유우(삼국지)|유우]] 군에서는 초반에 중용된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삼국지 13]]에서 재등장했다.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4/지력 66/정치력 59. 특기는 순찰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궁속강화.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투구를 들고 있다. 그리고 보통 음성 무장 중 생년이 가장 이른 인물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65, 지력 66, 정치 56, 매력 68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친오, 친선, PK에서는 보좌[* 친애무장, 혈연 관계없이 연계 가능(인접시 능력치 10% 상승, 전법 연계에 참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돌격, 제사, 업화, 친애무장은 [[유비]], 혐오무장은 없다. 여전히 시리즈 내내 평범한 무장급 스탯이지만 병사 모으기에 필요하는 모집 개성과 하북에 필요한 오환족, 선비족 도적떼가 출연되는 것을 막는 친오, 친선 개성, PK에 추가된 사기 개성인 보좌 개성이 생겨 만능형 인재로 떡상했다. 비록 수명이 짧아 수명 무시, 가상 시나리오에서 볼 수가 있지만 도움되는 인재라는 것이 분명하다. [[삼국군영전]]시리즈에서는 초기 시나리오부터 등장하여 유언을 따라 익주 지방으로 간 뒤, 유비가 입촉하는 후기 시나리오까지 생존해 있다... [[삼국전투기]]에서는 삼국 통일 챕터 맨 마지막에 유비 3형제가 언급만 해서 등장은 없다. [[파일:추정.png]] 웹툰 [[삼국지톡]]에서는 전형적인 순한 공무원처럼 등장하였다. [[파일:20230127224215.png]]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도 등장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추정, version=48, paragraph=2)] [[분류:후한의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한나라/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