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width=20]] {{{#005BAB '''춘해보건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건대학교)] ---- [include(틀:울산광역시의 전문대학)] ---- [include(틀:한국대학IR협의회)] ---- [include(틀: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대학)] ---- }}} || ---- ||<-3> {{{+2 '''춘해보건대학교'''}}}[br]'''春海保健大學校'''[br]'''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 ||<-3>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width=300]] || ||<-2> '''교훈''' ||'''진실, 인내, 봉사, 관철'''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분류''' ||[[전문대학]] || ||<-2> '''지역''' ||[[울산광역시]] || ||<-2> '''개교''' ||[[1968년]] [[3월 22일]] {{{-2 ([age(1968-03-22)]주년)}}}[br]'''춘해간호학교''' || ||<-2> '''설립자''' ||김영소 || ||<-2> '''총장''' ||김희진 || ||<-2>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춘해학원 || ||<-2> '''재단병원''' ||[[춘해병원]] || ||<-2> '''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학길 9 (곡천리) || ||<-2> '''재학생''' ||2,713명 {{{-2 (2021년)}}}[* 휴학생 379명 미포함] || ||<-2> '''교직원''' ||194명 {{{-2 (2021년)}}}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대학기본역량진단|{{{#fff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 (2021년)}}}''' || ||<-2> '''웹사이트''' ||[[https://www.ch.ac.kr/main/index.php|[[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width=20]]{{{#000,#fff {{{-3 공식 홈페이지}}}}}}]]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춘해보건대학교, 너비=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 {{{#fff '''춘해보건대학교의 경관, 홍보 영상'''}}} || ||<-2>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춘해보건대학교 캠퍼스.jpg|width=100%]]}}}|| ||<#005BAB> {{{#fff '''캠퍼스 사진'''}}}[* 사진 왼쪽의 커다란 공터가 있으며 해악관과 명덕관이 완공되기 전인 2015 ~ 2017년 사이로 추정되는 사진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2EV9JTRuaM)]}}}|| ||<#005BAB> {{{#fff '''춘해보건대학교 홍보 영상 (2022년)'''}}} ||}}}}}}}}}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학길 9 (곡천리 산72-10) 에 위치한 2/3/4년제 [[전문대학]]. 1967년 12월 1일, [[부산직할시]] 중구 신창동 춘해병원에서 춘해간호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977년에 전포동으로 이전한 후 1979년부터 춘해간호전문대학이라는 이름을 쓰다가 1998년 5월 현 울산 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춘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1월 20일부터는 춘해보건대학교라는 교명을 쓰고 있다. == 주변 교통편 == === 버스 === * [[울산 버스 62]] * [[울산 버스 417]][* 일부 시간에 고연공단 지원 노선은 춘해보건대학교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 [[울산 버스 714]] * [[울산 버스 724]] * [[울산 버스 1127]] * [[울산 버스 1137]] * [[울산 버스 1147]] * [[울산 버스 울주07]] * [[양산 버스 2100]] * [[양산 버스 2300]] 417번 버스를 제외하고는 춘해보건대학교까지 오지 않는다.[* 단, 417번의 고연공단 지원 노선과 724번, 마을버스 62번, 울주군 마실버스 울주07번은 정문 밖에서만 승하차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큰 불편은 없다.] 때문에 버스를 타려면 웅촌까지 가는 학교 셔틀 버스를 타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웅촌까지 가는 셔틀 버스의 배차간격은 10분에서 15분 정도이다.](코로나 이후로 폐지돼서 1147 타는게 제일 빠른 방법이다.) == 개설 학과 == * 4년제 * [[간호학과]] * 3년제 * [[치위생과]] * [[작업치료학과|작업치료과]] * [[응급구조과]] * [[안경광학과]] * [[방사선과]] * [[물리치료과]] * [[언어치료학과|언어재활과]] * [[유아교육과]] * 2년제 * [[보건행정학과|보건행정과]] * [[사회복지과]] * 요가과 == 캠퍼스 == === 이화관 === 물리치료과, 작업치료과, 안경광학과, 유아교육과, 치위생과, 언어재활과 강의실과 조교실이 위치해 있다. 1층에는 식당(22년도 전까지는 식당이 맛이 없어 사용하는 사람이 매우 적었지만 업체가 바뀌고 난 후 준수한 맛을 보장하고 있다. 가격은 학생 --4500원-- '''500원 인상해 5000원이다.''' 뷔페식이며 식단은 전주에 홈페이지를 통해 알려준다.) GS편의점이 있으며 경남은행 ,농협 ATM기가 있다. 2층에는 헬스장이 있으며, 요가과에서 무료 요가강습을 해주기도 한다. 3층에는 [[컴퓨터]]와 인쇄기가 있다. 한 건물안에 많은 과가 있다보니 학과사무실 하나에 여러 과의 조교들이 함께 일하고 있으며 4층은 유아교육과 5층은 물리치료과 5층은 치위생과 일부 강의실 7층은 유아교육과의 강의실로 사용되고 있다[* 7층 기악실] === 홍익관 === 안경광학과, 치위생과, 응급구조과, 보건행정과, 사회복지과, 요가과 강의실이 있다.[* 23학번 기준 이후 안 씀.] 이 건물도 이화관과 마찬가지로 여러 과가 한 건물에 몰려있다. 다른 건물들에 비해 언덕에 위치하며 건물 구조가 좀 특이하게 되어 있어 길을 헤매기 십상이다. 큰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가 2대밖에 없기 때문에 수업에 늦는다면 외부 계단을 통해 뛰어가는 게 더 빠르다. (7층 건물이다...) 이 건물도 각 층마다 각 학과 강의실 및 실습실로 구성되어 있다. === 창의관 === 학교 업무를 처리하는 곳이다. 1층에는 구내서점이 있다. 2층에는 컴퓨터와 복사기가 있어서 늘 아침 9시면 과제 제출하기 위해 프린터를 하려는 사람들로 붐볐는데, 2018년에 해악관(도서관)이 지어지면서 공간이 없어졌다. 옆에 학생처에서 간단한 신상정보를 적으면 배드민턴 채, 공 등 운동 기구를 빌릴 수 있다. 의무실에는 간단한 비상약도 구비되어 있다. 2~3층은 주로 학교 업무를 처리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4층에는 총학생회실을 비롯하여 방송실 학보사 동아리방이 있다. 공사이후 새로 바뀌었다. === 이영선 기념관 === 1층부터 2층 일부를 방사선과에서 사용하며 2층부터 6층까지는 간호학과가 사용한다. 2층에는 강의실과 교수연구실, 3층에는 간호학과 사무실이 있다. 4층부터는 강의실이 있다. 6층에는 교내 실습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최근 리모델링을 통해 많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1층은 주로 방사선과 강의실 및 실습실로 사용되고 있다. 방사선과는 실습 기기들의 크기와 방사선차폐 등등으로 인해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밖에 없어서 학과 규모에 비해 공간을 넓게 사용하는 편이다. 보건대학의 특성상 간호학과 학생들의 비율이 5~60%이기 때문에 해악관을 비롯하여 이영선 기념관 대부분을 간호학과가 사용하고 있다. 3층에 작은 세미나실이 있으며 주로 간호학과에서 관리 및 사용 중에 있다. === 도생관 === 강당, 간호학과 강의실, 교수연구실이 있는 건물. 교수 대부분은 도생관에 연구실이 있지만 홍익관 옆 근처의 교수연구동에 있는 경우도 있다. 학교 부지 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수업을 마친 교수들이 돌아가는 데 애를 먹는다. 1층에는 강당 겸 체육관이 있어 탁구나 배드민턴 등을 할 수 있으며 잠겨져 있을 경우 바로 옆 경비실에 열어달라고 하면 바로 열어주신다. 2층에는 다양한 센터과 LINK+사업단, 산학협력단, 법인사무국이 들어와 있고 3층은 중앙홀로 사용하고 있다. 4층~6층까지는 교수연구실이 있으며 7층에는 이사장실 총장실 기획처가 들어가 있다. === 교수연구동 === 도생관으로 이동하였다. === 춘해학사 === 기숙사는 춘해학사와 정수학사로 나뉘어진다. 춘해학사에는 여자와 남자가 들어갈 수 있지만(건물은 나눠져 있다.) 정수학사는 여학생들을 위해 만들어진 건물로서 21년 중순에 완공되어 사용하고 있다. 11시 통금시간이 있다!!(워낙 시골에 박혀 있어 위험한 것도 있겠지만 학교 공식 입장으론 근처에 공단이 있어 외국인 노동자가 많아 학교에 여학생들이 많은 특성상 안전을 위해 통금을 둘 수 밖에 없다나 뭐라나) 정수학사는 1층에 기숙사 사감이 있으며 춘해학사엔 각 동에 동장을 정해 11시에 점호를 하고 보고 하는 형식이다. 금토일에는 자유롭게 외박이 가능하나 평일 외박시 사감 또는 동장에게 보고를 해야하며 이 또한 일주일에 한번밖에 못쓴다...(무단 외박시 벌점 3점...15점 이상 받을 시 퇴출되며 다음 학기 입사 또한 제한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기숙사보나 대학교 인근의 원룸을 구하는 학생이 많다고 한다. 기숙사에서 따로 조식 또는 석식을 주지 않아서 춘해학사 와 원룸들이 위치한 편의점(CU/세븐)에서 밥을 때우거나 웅촌 큰 도로로 나가거나 옆동네인 양산 웅상쪽에서 먹고 들어오는 경우가 많으며 에타에는 배달비를 나눠서 시켜먹자는 글이 심심찮게 올라온다. 이 === 실습기자재동 === === 명덕관 === 1층에는 국제컨퍼런스홀이 있으며 방사선과 강의실로 사용하며 작은 행사[* 개강총회 등]들이 주로 열리는 곳이다.(흔히 대학강의실의 로망인 오르막 형식의 강의실) 또한, 이곳에 평생교육원이 있어 울주군 유일한 대학인 만큼 울주군과 연계하여 교육프로그램들이 많이 열리고 있는 편이다. 3층에는 아트홀로 큰 규모의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유아교육과에서 매년 한 번씩 뮤지컬 공연을 한다.] === 해악관 === 나름 대학교 도서관 같은 건물을 지어놨다. 이영선 2층 열람실 때와 비교하면 개과천선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자리 맡기 문제가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다. 방음도 잘 안되며 울리므로 시험기간 때는 밖에 나가서 떠들도록 하자. 1층에 설치된 공용 컴퓨터로 강의를 듣거나 과제하는 학생이 많으며 도서 대출이 가능하고 2층 전체가 열람실로 구분되어 운영중에 있다. 3층에는 기업이 들어와 있으며 4층은 간호학과 강의실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 학교 생활 == 보건계열 대학의 특성상 전체 70%가 여학생으로 간호 및 치위생과는 완전 여초과이다. (치위생 같은 경우 300명 중 남자가 8...) 학교가 외진 곳에 있어 차를 타고 다니는 학생이 많은 편이며 주차비는 따로 받고 있지 않는다. 가장 가까운 시내가 울산대학교 앞이며(이곳도 시내라고 해도 되나) 학교에서 출발하는 버스인 417을 타고가면 25분 걸린다. 그래서 수업을 받고 곧바로 집으로 가버리는 학생이 꽤 많은 편이며 이 곳에서 흔히 상상하는 대학 캠퍼스 생활을 꿈꾸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다.(애초에 전문대기도 하고 학교 분위기가 폐쇄, 보수적인 면이 있다.) 근처에 또한 마땅한 식당이 없어 차를 타고 웅촌큰도로 쪽으로 나가거나 편의점 및 구내식당과 학교 앞 중국집 및 국수집 말곤 먹는 곳이 없어 어느 곳이곤 학생으로 가득 차 있다. 편의점은 이화관 1층 GS편의점이 있고 원룸촌에 CU와 세븐일레븐 등 회사별 편의점이 다 모여있다;;ㄷㄷ 코로나 이전에는 과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긴 했으나 이후로는 거의 없...그리고 학교 앞 유일한 술집이었던 곳이 코로나로 인한 대면 수업으로 인해 폐업을 했었지만 22년 9월 달에 새로 오픈할 예정이다. === 창공제 === 춘해보건대학교 축제를 부르는 말이다. 코로나로 인해 2년간 시행해오지 않다가 22년 9월 28~29일에 걸쳐 2일간 진행하였다. 첫째날은 사회자를 불러 학생 참여형 미니 게임으로 진행하였다. 야외 부스는 명덕관 앞 도로에 차량 통제 하에 만들어졌으며 보건대학 특성에 맞게 각 과별 보건체험관, 먹거리 부스 위주로 구성되었다. 둘째 날에는 장기자랑 및 가수 공연이 있었으며 가수는 [[길구봉구]] 와 [[펀치]]가 왔다. 전국적인 흐름상 술 판매가 금지되어 공식적으로는 술을 마실 수 없었으나 근처에 편의점이 3개나 종류별로 있어서 거기서 사 마시는 편이다. 학교가 작아서 그런지 가수가 어디에서든 잘 보이며 건물에 둘러싸인 광장에서 진행해서 소리도 빵빵하게 잘 들렸다. == 출신 인물 == * [[심성언]]: [[간호사]], [[인플루언서]] == 여담 == * 셔틀 버스가 주차되어 있는 곳으로 쭉 가면 정자 하나를 발견할 수 있다. * 유일하게 응급구조과에 소위 말하는 군기가 있으며 선후배 관계사이를 강요하는 분위기가 있다곤 한다.(멀리서 보이면 인사한다거나 회식 강요 등) 지금은 많이 없어지고 있는 추세이다.(애초에 다른 과는 선후배 서로 관심이 없다) * 간호학과는 의외로 군기문화가 없는 편에 속한다. --이는 학년 당 330명이라는 다소 괴랄한 재학생사유를 근거로 볼 수 있지만 에초에 교류하는 문화가 없는 것도 한 몫을 한다--. 2019년까지는 남학우회(남자 간호학과 학우 모임)에서 유일하게 선후배교류가 있었으나 이도 코로나 사태를 맞이하며 종결되었다. * 최근 5년만에 간호학과의 MT가 진행되었다. *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에 남녀갈등 글이 올라와서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또한 쪽지 게시글을 빌미로 음산한 의도를 내비치는 남학우들이 학기-비학기를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 * 여자 기숙사에 남학생 2명이 올라왔다며 에브리타임 커뮤니티에 사진이 업로드 된 적이 있다. 남자 2명 여자 2명이서 음주 후 몸을 가누지 못하던 여학우를 남학우가 옮겨준 것으로 여론은 일단락 되었으나 해당 인물이 기숙사 열쇠를 관리하는 학생이었음이 알려져 논란이 불거졌다. * 시험기간에 운동장을 도는 남+여를 본다면 CC이거나, CC가 될 확률 99.9%. (다들 남녀 한 쌍씩 같은 방향으로 돌고 있다.) * 2016년에 학교가 물에 잠긴 적이 있다. 어느 정도였냐면, 이영선 1층(방사선과)가 물에 잠겼고 이영선 주차장은 물론이고 학교 입구 다리도 물 속에 잠겼었다. 도생관으로 대피했었지만 휴강은 안 했다. 다들 집에 못 가고 몇 시간 동안 학교에 발이 묶였었다. 2018년도에도 방사선과 건물이 절반 정도 잠겼고, 이를 빌미로 하천 범람방지공사가 진행되었으며 덕분에 이듬해 2019년엔 엄청난 영남권의 엄청난 태풍에도 불구하고 침수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 그 날 학교 주변에서 거주하던 자취~기숙사 인원들은 침수의 공포를 떠올렸다. 범람방지공사는 지속되어 23년 상반기에 완료되었다. * 계열 병원인 [[춘해병원]]은 [[부산광역시]] [[범내골역]]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2차 진료기관으로 보인다. [[분류:대한민국의 전문대학]][[분류:울산광역시의 대학교]][[분류:1968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