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특정 [[시험]]에서 '''잘못된 문제'''를 내 놓는 것이다. 국가시험이나 대규모 입사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시험에서 출제오류가 나타나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된다. 심지어 '''시험 문제 하나 때문에 [[무즙 파동|대한민국에서 제일 유명한 출제오류 사건]]이 일어날 정도'''이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말 다했다]]. 그래서 출제오류가 밝혀지면 출제자로서는 그야말로 '''犬망신'''. 시험을 모호하고 어렵게 만들려고 할수록 출제오류가 강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수능]]이나 모의고사에서 유난히 출제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학교 시험에서도 위와 같은 이유로 발생하는데 이런 류의 출제오류를 일으킨 교사는 시말서를 쓰고 학생들에게는 변태로 낙인 찍힐 수 있다. == 출제오류의 분류 == 크게 두가지 사례가 있다. * 복수의 정답: 하나의 정답만을 상정한 문제에서 실제로는 복수의 정답이 가능해지는 사례이다. 제일 유명한 사례로는 [[무즙 파동]]이 있다. * 정답이 없음: 위 복수정답과는 반대로 문제를 잘못 내서 실제로는 정답이 아예 없는 사례이다. 이 경우에는 보통 전원정답 처리를 하게 된다. * 잘못된 정답: 정답으로 상정한 해답지가 잘못된 사례이다. 2019학년도 6월 고2 학평의 수학가형 30번문제 해당하며 고2 시험지라 어느정도 묻히긴 했지만 역대 수능 모의평가 등에서 출제된 문제 중 가장 변태스럽고 어려운 문제로 꼽힌다.[*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전부 다 충족하는 경우의 수를 추려내는 작업이 도저히 손으로 풀 수 없는 지경이었기 때문이다. 해설 강의를 찍는 어느 강사도 매크로를 돌려서 풀어야 했다고 한다.] 이외에도 아래의 케이스도 있다. * 잘못된 지문: 문제의 지문이 풀이 과정 중 모순이 생기는 사례이다.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 II 출제 오류 사태]]가 대표적이다. == 출제오류 사건 == * [[무즙 파동]] * [[창칼 파동]] * [[대학수학능력시험/복수정답 사태]] *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s-6|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복수정답 사태]] * [[전국연합학력평가#s-7|전국연합학력평가/복수정답 사태]] [[분류: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