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 [[파일:충남도립대학교 심볼.svg|width=25]] {{{#432f76 '''충남도립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include(틀:충청남도의 전문대학)] [include(틀:대한민국의 공립대학)] [include(틀:DSC공유대학)] }}} || ||<-2> {{{+4 {{{#ffffff '''충남도립대학교'''}}}}}} [br] {{{#f68121 '''Chungnam State University'''}}} || ||<-2> [[파일:충남도립대학교 UI.svg|width=300]] || || '''교훈''' || {{{#000000,#e5e5e5 '''인격도야'''(人挌陶冶) [br] '''학술연마'''(學術硏磨) [br] '''사회봉사'''(社會奉仕)}}} || || '''분류''' || {{{#000000,#e5e5e5 [[공립학교#s-5|공립대학]]}}} || || '''국가''' || {{{#000000,#e5e5e5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속''' || {{{#000000,#e5e5e5 [[충청남도]]}}} || || '''설립일자''' || {{{#000000,#e5e5e5 [[1998년]] [[3월 19일]]}}} || || '''총장''' || {{{#000000,#e5e5e5 [[김용찬(공무원)|김용찬]]}}} || || '''이사장/도지사''' || {{{#000000,#e5e5e5 제5대 [[김태흠]][* 충청남도지사가 당연직으로 겸직하는 직책이다.]}}} || || '''주소''' || {{{#000000,#e5e5e5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학사길 55}}} || || '''학생''' || {{{#000000,#e5e5e5 1,112명^^(2018. 4. 1)^^}}} || || '''전임교원''' || {{{#000000,#e5e5e5 32명^^(2018. 4. 1)^^}}} || || '''[[대학기본역량진단|{{{#ffffff 대학기본역량진단}}}]]''' || {{{#001,#ccccfe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 || '''링크''' || [[http://www.cnsu.ac.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pg/bestcnsu/posts/?ref=page_intern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blog.naver.com/cnsu4|[[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충남도립대학,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campus_bg.png|width=100%]] ||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벽천리에 있는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직속 [[공립학교#s-5|공립]] [[전문대학]]이다. [[충청남도지사]]가 당연직 이사장이며 대부분의 학교 운영비는 충청남도가 지원하고 있다. 개교시기는 [[1998년]]으로 설립 당시에는 청양전문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가 같은 해 [[5월]]에 청양대학, [[2009년]] 충남도립청양대학으로 개명했고, 현재의 이름은 [[2015년]]에 정해진 것이다. [[청양군|청양]]의 유일한 대학이다. == 역사 == === 공직 명문 ===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483351|충남도립대 공무원 공채 합격자 '11월에 이미 전년 기록 돌파']] 공무원 시험 합격률이 꽤나 높은데, [[2013년]]엔 정원의 10% 이상이 공직에 진출했다고 한다. [[1998년|98년]] 개교 이래 [[2022년]]까지 1,057명의 공직자를 배출했다고. 요즘은 특채 외에도 공채 합격률도 높은 편이다. 학과 커리큘럼은 꽤나 빡빡하지만 2년제이고 거의 정말 필요한 것만 하기 때문에 마음 먹고 공무원을 지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좋은 환경이다. 성적 우수자 중 일부가 특채 제도를 통해 [[충청남도]] [[공무원]]으로 채용된다. 이를 노리고 들어오는 학생들도 많으며, 그런 이유로 늦깎이 학생이 입학하기도 한다.[* 예시로 [[2018년]] 소방안전관리과에 30대 후반 신입생이 입학했었다고 한다.] === 재정 === 교내 재정의 80% 이상은 [[충청남도]]에서 지원한다고 하며, 이는 '''공립대학 중 최고 수준'''이고, 이 비율은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도립대의 특성상 [[등록금]]이 낮은 편에 속하며, 대부분 2년제라 그런 듯 하다. 등록금을 아예 안 내고 다니는 학생의 비율도 상당하다. 2023년 기준으로 신입생 전원 등록금 전액 지원을 받는다. == 학과전공 == === 공학계열 === * 2년제 * 건설안전방재학과 * 소방안전관리학과 * 3년제 * 환경에너지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건축인테리어학과[* 前 인테리어패션디자인과] === 인문사회계열 === * 2년제 * 자치행정학과(주간/야간)[* 유일하게 야간학과가 있다.][* 2년제 자치행정과와 별도로 설치된 3-4학년 행정학사과정이 있다.] * 토지행정학과 * 3년제 * 경찰행정학과 자치행정과 한정으로 2년 학사 과정이 있다. 물론 자치행정과 학생 전부는 아니고 본인 선택이다. 최근 4년제로 도약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는 듯 하다. [[2023년]] 기준 자치행정과는 1학년의 경우 A반과 B반으로 각 반마다 30명의 인원이 배치된다. 1학년 때의 성적으로 2학년때 분반을 하게 되는데 A반의 경우 취업을 원하는 학생이, B반의 경우 공무원을 원하는 학생이 배치된다. 성적 우선순으로 배치되나 본인이 원하는 반을 선택 할 수도 있다. === 자연과학계열 === * 2년제 * 호텔조리제빵학과 * 뷰티코디네이션학과 * 스마트팜학과 * 3년제 * 작업치료학과 == 시설 == 지도상으로 학교가 산 중턱에 있지만, 사실 학교 건물이 딱히 산 속에 있지도 않으며, 청양 읍내와 그다지 먼 거리도 아니다. 또한 학교에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대략 15분 내외로 운영하는 [[https://cnsu.ac.kr/cop/bbs/BBSMSTR_000000000212/selectBoardList.do|통학버스]]를 이용하면 굳이 다른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기숙사, 읍내, 종합 버스 터미널을 왕래할 수 있다. 2023년도부터 금요일, 일요일에 홍성,예산,공주,대전을 다니는 관외 통학 버스도 운행중이다. [[2013년]] 말경부터 새로운 도서관이 설립되기 시작해 [[2014년]] 여름에 완공. 9월에 개관했다.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다보니 시설도 한 시설 한다. 기존 기숙사는 읍내쪽 아파트 2개동(남/녀)[* 18평 주공 아파트이며, 기본 3인실이다. [* 기숙사에서 학교까지의 거리는 걸어서 약 15~20분 정도. (못 걸을 정도는 아니고 도서관 옆퉁이에 나름 지름길이 존재한다.) 학기 중엔 학교-기숙사-종합버스터미널\학교-기숙사를 왕복하는 셔틀버스를 운영한다.]을 학생 기숙사로 사용 하였으나, '''[[2019년]] [[https://blog.naver.com/cnsu4/221606514953|2인실 호텔형 기숙사]]가 신축되었다.''' 신입생인 경우 교내 기숙사인데 깔끔하고 좋다. == 학식 == 기본적으로 [[조식#s-1|아침]], [[점심#s-1]], [[석식|저녁]]이 다 제공되며, 점심 메뉴는 일품, 백반 두 가지로 나뉘는데 조식은 1,000원(선착순)이고 점심, 석식은 3,000원(학생 기준)으로 동일하다. 대학답지 않게 가끔씩 점심 시간에 계단 위까지 몇 백 미터로 줄을 서서 기다리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 대학 운영 위원회 == 도립대학이라는 특성상 사실상 도지사가 이사장 역할과 다름없지만 공식적인 이사회도 없고, 이사장도 존재하지 않는다. 여타 공립대학들도 마찬가지지만 법인대학이 아니므로 이사회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http://www.law.go.kr/ordinInfoP.do?ordinSeq=1246757&chrClsCd=010202&gubun=ELIS&nwYn=Y&conDatGubunCd=1|충남도립대학교 운영 조례]]를 참고하면, 대학 운영 위원회가 실질적으로 대학 내 주요 정책의 결정권을 쥐는 구조로, 위원장 1명,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하는데, 구체적인 위원의 기준은 당연직인 충청남도청 기획조정실장, 충남도립대학교 기획교무처장, 대학교의 재정 및 회계 운영에 관한 주요사항 심의를 담당하고 있는 재정위원회의 위원장에 총장 추천으로 충청남도지사가 임명 또는 위촉하는 대학교 교수대표 1명, [[충청남도의회]] 의원 2명, 대학교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로 구성된다. 충청남도청 기획조정실장이야 [[충청남도지사]]가 임명권을 가지는 게 당연하고, 충남도립대학교 기획교무처장은 충남도립대학교 총장이나 재정위원장은 임명하겠지만, 나머지 교수대표 1명, 충남도의원 2명, 학식 경험 풍부자 등은 어차피 총장 거치더라도 도지사가 최종 결정할 수 있는 구조라 어차피 충청남도지사가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볼 수 있다. 총장부터 임명에 도지사 결재가 필요하겠지만..[*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04/0200000000AKR20170404071200063.HTML|내부적으로 충남도립대학교총장임용추천위원회와 충남지방교육공무원인사위원회를 통해 결정]]하는 구조다. 이러한 이유로 충남에서 고위공무원을 지낸 전 공직자들이 총장으로 자주 임명되는 편이다.] == 역대 이사장([[충청남도지사]]) == ||
{{{#ffffff '''대수''' }}} || {{{#ffffff '''이름''' }}} || {{{#ffffff '''기간''' }}} || {{{#ffffff '''비고''' }}} || || 초대 || [[심대평]] || [[1998년]] [[3월 19일]] ~ [[2006년]] [[3월 24일]] || [* || || - || [[유덕준]] || [[2006년]] [[3월 25일]] ~ [[2006년]] [[6월 30일]] || 권한대행 || || 2대 || [[이완구]] || [[2006년]] [[7월 1일]] ~ [[2009년]] [[12월 13일]] || || - || [[이인화(공무원)|이인화]] || [[2009년]] [[12월 14일]] ~ [[2010년]] [[6월 30일]] || 권한대행 || || 3대 || [[안희정]] || [[2010년]] [[7월 1일]] ~ [[2018년]] [[3월 6일]] || [* [ || - || [[남궁영]] || [[2018년]] [[3월 7일]] ~ [[2018년]] [[6월 30일]] || 권한대행 || || 4대 || [[양승조]]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 5대 || [[김태흠]] || [[2022년]] [[7월 1일]] ~ || - || == 관련 문서 == * [[전문대학]] * [[공립학교#s-5|공립대학]] [[분류:대한민국의 전문대학]][[분류:대한민국의 공립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