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진해구의 법정동]] [include(틀:진해구의 법정동)] ||<-2> '''[[파일:창원시 CI.svg|height=15]] [[창원시|{{{#000000,#dddddd 창원시}}}]] [[진해구|{{{#000000,#dddddd 진해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충무동}}}'''[br]忠武洞 | Chungmu-dong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창원시 || || '''일반구''' || 진해구 || || '''행정표준코드''' || 5670217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동상동, 도천동, 도만동,[br] 신흥동, 비봉동, 태평동,[br] 충의동, 무송동, 인의동,[br] 숭인동, 대영동, 남빈동,[br] 앵곡동, 제황산동, 속천동,[br] 대죽동, 안곡동, 수송동,[br] 회현동, 익선동, 창선동,[br] 대천동, 광화동, 통신동,[br] 중앙동, 부흥동, 중평동,[br] 근화동, 송죽동, 화천동,[br] 송학동, 대흥동, 평안동,[br] 충무동, 현동, 인사동}}} || || '''하위 행정구역''' || 35통 264반 || || '''면적''' || 18.07㎢ || || '''인구''' || 16,090명[* 2023년 11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905.9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창원시 진해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달곤]] ,,(재선),, || ||<-2> '''경상남도의원 | 제1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동철 ,,(초선),, || ||<-2> '''창원시의원 | 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상현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해련]] ,,(4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중원로74번길 6 (대흥동 10-1) || || [[https://www.changwon.go.kr/gu/contents.do?mId=0506010100|충무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 [[파일:external/thimg.todayhumor.co.kr/1424141834inejHlXv9T6P6ICLxM84kVYhQ8qbr217.jpg]] --아주 깔끔하다--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舊 [[진해시]]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곳. 원래 [[일제강점기]]에 계획도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다른 도시에서는 보기 힘든 방사형 도로망을 가지고 있다.[* 북원로터리-중원로터리-남원로터리 3군데를 기점으로 도로망이 계획적으로 나누어져 있다.] 신마산에 있던 요새사령부를 이전하면서 도시화된 곳으로 당시 이 일대에 거주하던 [[조선인]]들은 경화동 일대의 황무지로 강제 이주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여기에는 일본인이 많이 살아서 지금까지도 [[적산가옥]]이 남아있다. 여좌동을 제외한 지역은 법정동이 거의 블록 단위로 형성되어 있어 구획 분할이 복잡하게 되어 있고[* 특히 [[남빈동(창원)|남빈동]]은 [[해군사관학교]] 정문이 동의 전부다(...)][* 이 중 현동과 비봉동 등 군시설이 전부를 차지하는 법정동도 있다.], [[진해기지사령부]]와 [[해군사관학교]], 해군 군수사령부 등 군부대가 깔려있기 때문에 도시 발달이 기형적으로 제약되어 있어 평소에는 매우 한적하다. [[진해선]] [[진해역]], [[통해역]],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 이 곳에 있으나 [[통해역]]은 일반인이 접근하면 [[코렁탕]] 한 사발을 들이키는 곳이므로 실질적인 여객 취급은 [[진해역]]에서만, 그나마도 근간에는 [[진해 군항제]] 기간 동안에만 했었다. [[2020년]] 중앙동과 태평동은 인구 감소로 인해 충무동에 통폐합되었다. === 상세 === 진해시청이 중원로터리 인근에 있었다가[* 진해구 부흥동 1번지. 현재는 철거되고 그 자리에 [[데시앙]] 아파트가 들어섰다.] 2004년 7월 풍호동으로 이전하였다. 2000년대 중반 진해시청 이전 후 중심가가 석동, 풍호동 일대로 옮겨가면서 진해 최대의 번화가였던 중앙동 일대의 상권이 크게 축소되었다. 진해우체국, 진해공설운동장, 진해중앙시장이 있다, 특히 진해우체국 구 건물은 러시아 양식으로 지어져서 유럽식 건물이다.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태평동 끝자락에 위치한 속천동 지역에는 거제도로 향하는 여객선을 취급하는 여객터미널 및 진해구내 버스 대부분의 기종점 역할을 하는 [[진해여객]] 차고지가 위치해 있고, 해안도로, 진해루 등이 위치해 있어 지역 주민의 휴식 및 관광명소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속천동 지역은 대략 2-30년 전부터 아파트 등이 소소하게 자리하고 있었는데, 최근 진해만 인근에서 간척 사업 등이 진행되면서 신축 아파트나 주상복합 등이 들어서고 있다. 진해여객 차고지에서 시내 방향으로 향하는 도로 바로 옆편에는 진해구의 명소 중 하나인 제황산공원(속칭 '탑산'[* 진해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좁게는 제황산공원 중 진해탑이 위치한 곳 인근을 칭하나 공원이 워낙 크고 탑산 인근이 접근성이 좋다 보니 그냥 다 퉁쳐서 탑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탑산 입구에서 제황산 모노레일이 운영되고 있기도 하다.])으로 갈 수 있는 가파른 지름길이 만들어져 있다[* 위 지도의 '태평동'이라 쓰인 글자 중 '동'의 오른쪽에 난 바로 그 길이다.]. 탑산은 진해 출신의 초등/중학교 졸업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방문해본 추억의 장소이기도 하다. 중원로터리 1시 방향에 있던 진해경찰서도 2005년 석동으로 이전하였다. == 주요 시설 == === 기관 === * 진해수협 * 진해농협 * 진해문화원 * 진해서부보건지소 * 진해우체국 === 교육 === * 진해남산초등학교 * 진해제황초등학교 * 도천초등학교 === 주거 === [[태영건설]] 태영 [[데시앙]] 아파트 -2007년 1월 준공[* 옛날 진해시청 자리이다] 드림빌 오션빌 == 교통 == === 버스 === ==== 좌석 ==== * [[창원 버스 3002]] ==== 간선 ==== * [[창원 버스 150]] * [[창원 버스 160]] * [[창원 버스 162]] * [[창원 버스 163]] * [[창원 버스 164]] ==== 지선 ==== * [[창원 버스 301]] * [[창원 버스 302]] * [[창원 버스 303, 306]] * [[창원 버스 305]] * [[창원 버스 307]] * [[창원 버스 309]] * [[창원 버스 315]] * [[창원 버스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