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충암학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은평구의 중학교)] [include(틀:충암학원)] ||<-3> {{{#ffffff {{{+1 '''충암중학교'''}}}}}}[br]{{{#ffffff 沖岩中學校[br]'''Choongam Middle School'''}}} || ||<-3> [[파일:충암중학교_Symbol.png|width=220]] || ||<-2> {{{#ffffff '''{{{+1 교 훈}}}'''}}} || {{{#ffffff '''성실 · 근면''' (誠實 · 勤勉)}}} || ||<|2> {{{#ffffff '''상징'''}}} || {{{#ffffff '''교목'''}}} ||은행나무 || || {{{#ffffff '''교화'''}}} ||개나리 || ||<-2>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개교'''}}} ||[[1966년]] [[3월 1일]] || ||<-2> {{{#ffffff '''유형'''}}} ||[[일반계]] [[중학교]] || ||<-2> {{{#ffffff '''성별'''}}} ||[[남녀공학]] || ||<-2> {{{#ffffff '''형태'''}}} ||[[사립]] || ||<-2> {{{#ffffff '''학교법인'''}}} ||[[충암학원]] || ||<-2> {{{#ffffff '''건학이념'''}}} ||학문과 지식에 뛰어난 지성인[br]자립 협조심이 강한 민주시민 || ||<-2> {{{#ffffff '''교장'''}}} ||홍기복 || ||<-2> {{{#ffffff '''교감'''}}} ||조성태 || ||<-2> {{{#ffffff '''학생 수'''}}} ||30학급 768명[*기준 2023년 5월] || ||<-2> {{{#ffffff '''교직원 수'''}}} ||59명[*기준] || ||<-2> {{{#ffffff '''관할 교육청'''}}}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 ||<-2> {{{#ffffff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가좌로]]5길 5 ([[응암동]])[br][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충암중학교, 너비=100%)] || ||<-2> {{{#ffffff '''홈페이지'''}}} ||[[https://choongam.sen.ms.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3c5087,#788bc3 충암중학교 공식 홈페이지}}}''']][br][[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HG_CD=B10000196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3c5087,#788bc3 충암중학교 학교알리미}}}''']] || >'''꿈을 꾸는 충암인''' >'''끼가 넘치는 충암인''' >'''행복한 충암인''' > - 충암중의 [[캐치프레이즈]] >“[[학교법인 충암학원|충암학원]]을 설립하고 경영함에 있어서 '''성실. 근면'''을 교훈으로 삼고 이를 교시로 정하며 지식과 학문에 뛰어난 지성인을 양성하기 전에 먼저 '''성실. 근면하고 책임감이 강한 민주 시민의 자질을 육성'''하겠다.” > > - 설립자 충암 이인관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은평구]] [[가좌로]]5길 5 ([[응암동]])에 위치한 일반계 사립 중학교. 학교법인은 [[충암학원]]이다. [[남녀공학]]이지만 분반이고 본관은 2학년 남학생과 3학년이 사용하고 별관은 1학년과 2학년 여학생이 사용한다 == 학교 연혁 == || 1965년 2월 1일 ||설립자 이인관 선생 [[충암학원]] 설립에 착수 || || 1965년 2월 10일 ||은평구 응암동 산9-1 번지에 6,000평 매입 || || 1965년 2월 20일 ||중학교 교사 1,948평 건축 || || 1965년 12월 31일 ||중학교 9학급(540명) 모집 인가 || || 1966년 3월 1일 ||초대 교장 충암 이인관 선생 취임 || || 1967년 6월 10일 ||교지 확장 위해 3,000평 매입 정지 공사 || || 1969년 2월 ||제1회 졸업 || || 1969년 3월 15일 ||이홍식 선생 충암학원 상무이사 취임 || || 1970년 10월 5일 ||설립자 겸 초대 교장 이인관 선생 영면 || || 1970년 11월 1일 ||제2대 교장 이홍식 선생 취임 || || 1971년 3월 1일 ||이홍식 선생 충암학원장 취임 || || 1971년 12월 ||중학교 45학급 증설 인가 || || 1972년 3월 1일 ||제3대 교장 박원풍 선생 취임 || || 1972년 8월 ||여중교사 6층(836평) 신축 준공 || || 1972년 11월 9일 ||설립자 고 이인관 선생 동상 제막 || || 1973년 4월 3일 ||제4대 교장 김용국 선생 취임 || || 1974년 9월 12일 ||이홍식 선생 충암학원 2대 이사장 취임 || || 1975년 3월 21일 ||제5대 교장 최태인 선생 취임 || || 1976년 11월 9일 ||야외 체육관 171평 신축 || || 1976년 12월 ||제주도 서귀포 임야 15,270평 이홍식 선생 사재 재단에 희사 || || 1978년 9월 12일 ||초대 이사장 정쟁금 여사 서거 || || 1980년 8월 25일 ||제6대 교장 정택영 선생 취임 || || 1980년 9월 22일 ||초등학교 체육관 겸 강당 220평 준공 || || 1982년 11월 24일 ||제3대 이홍식 이사장 한국기원 이사장 취임 || || 1986년 8월 15일 ||일본 남경도 학원과 자매교 결연 || || 1987년 3월 1일 ||제7대 교장 박원무 선생 취임 || || 1989년 3월 1일 ||제8대 교장 박노웅 선생 취임 || || 1992년 3월 1일 ||제9대 교장 홍현석 선생 취임 || || 1993년 6월 15일 ||충암학원 프로바둑기사 100단 돌파 기념식 || || 1994년 1월 20일 ||제10대 교장 정구홍 선생 취임 || || 1996년 2월 1일 ||이태인 선생 상무이사 취임 || || 1996년 10월 31일 ||충암 30년사 발간 || || 1997년 3월 7일 ||제11대 교장 이종만 선생 취임 || || 1998년 3월 1일 ||제12대 교장 홍현석 선생 취임 || || 1999년 6월 11일 ||충암학원 프로 바둑기사 200단 돌파 기념식 || || 2000년 9월 1일 ||제13대 교장 서인수 선생 취임 || || 2001년 9월 1일 ||제14대 교장 박창길 선생 취임 || || 2002년 6월 8일 ||이홍식 이사장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명예대사로 위촉 || || 2002년 12월 10일 ||대운동장 스탠드 준공(약 310평) || || 2003년 2월 19일 ||이태건 선생 상무이사 취임 || || 2003년 7월 14일 ||충암학원 프로기사 300단 돌파 기념식 || || 2004년 6월 4일 ||충암학원 제4대 이사장 김선형 선생 별세 || || 2004년 7월 12일 ||이태건 선생 충암학원 제5대 이사장 취임 || || 2006년 9월 1일 ||제15대 교장 권영석 선생 취임 || || 2007년 5월 7일 ||이영원 선생 충암학원 제6대 이사장 취임 || || 2008년 2월 25일 ||이홍식 선생 충암학원 제7대 이사장 취임 || || 2008년 5월 13일 ||충암학원 프로기사 500단 돌파 기념식 || || 2008년 11월 7일 ||이태건 학원장 JCI(국제청년회의소) 부회장 선출 || || 2011년 3월 1일 ||제16대 교장 박상국 선생 취임 || || 2012년 9월 1일 ||제17대 교장 정대원 선생 취임 || || 2015년 9월 1일 ||제18대 교장 박상국 선생 취임 || || 2017년 9월 1일 ||제19대 교장 정대원 선생 취임 || || 2019년 10월 1일 ||제20대 교장 홍기복 선생 취임 || || 2022년 5월 20일 ||윤명화 선생 충암학원 제13대 이사장 취임 || === 역대 교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이인관 || 1966년 3월 1일 ~ 1970년 10월 5일 || [* 전 경기공업전문학교 학장, 전 [[문교부]] 보통교육국장, 전 교육제도심의위원회 위원] || || 2대 || 이홍식 || 1970년 11월 1일 ~ 1972년 2월 29일 || || || 3대 || 박원풍 || 1972년 3월 1일 ~ 1973년 4월 2일 || || || 4대 || 김용국 || 1973년 4월 3일 ~ 1975년 3월 20일 || || || 5대 || 최태인 || 1975년 3월 21일 ~ 1980년 8월 24일 || || || 6대 || 정택영 || 1980년 8월 25일 ~ 1987년 2월 28일 || || || 7대 || 박원무 || 1987년 3월 1일 ~ 1989년 2월 28일 || || || 8대 || 박노웅 || 1989년 3월 1일 ~ 1992년 2월 29일 || || || 9대 || 홍현석 || 1992년 3월 1일 ~ 1994년 1월 19일 || || || 10대 || 정구홍 || 1994년 1월 20일 ~ 1997년 3월 6일 || || || 11대 || 이종만 || 1997년 3월 7일 ~ 1998년 2월 28일 || || || 12대 || 홍현석 || 1998년 3월 1일 ~ 2000년 8월 31일 || || || 13대 || 서인수 || 2000년 9월 1일 ~ 2001년 8월 31일 || || || 14대 || 박창길 || 2001년 9월 1일 ~ 2006년 8월 31일 || || || 15대 || 권영석 || 2006년 9월 1일 ~ 2011년 2월 28일 || || || 16대 || 박상국 || 2011년 3월 1일 ~ 2012년 8월 31일 || || || 17대 || 정대원 || 2012년 9월 1일 ~ 2015년 8월 31일 || || || 18대 || 박상국 || 2015년 9월 1일 ~ 2017년 8월 31일 || || || 19대 || 정대원 || 2017년 9월 1일 ~ 2019년 9월 30일 || || || 20대 || 홍기복 || 2019년 10월 1일 ~ 현재 || || == 교훈 및 상징 == === 교표 === || [[파일:충암중학교_Symbol.png|width=200]] || || {{{#ffffff '''충암중학교 교표'''}}} || === 교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행나무.jpg|width=100%]]}}} || || {{{#ffffff '''은행나무'''}}} || || 정숙하고 장엄하며 풍성하게 포용하는 기상을 의미 || === 교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개나리.jpg|width=100%]]}}} || || {{{#ffffff '''개나리'''}}} || || 맑고 깨끗하여 풍요롭고 강인한 품성을 의미 || === 교훈 === || {{{#ffffff '''성실 (誠實)'''}}} || {{{#ffffff '''근면 (勤勉)'''}}} || ||자아 성찰 역량 함양[br]바른 생활 의식 고양[br]학습 의욕 고취 || 자율, 협동, 진취적 의식 함양[br]인내, 사명, 봉사의 실천[br]노력하는 자아 형성|| === 교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충암학원_교가.jpg|width=100%]]}}} || ||<-2> {{{#ffffff '''충암중학교 교가'''}}} || || {{{#ffffff ''' 작곡가 ''' }}} || {{{#ffffff 박창래}}} || || {{{#ffffff ''' 작사가 ''' }}} || {{{#ffffff 김정태}}} || >'''1절''' >[[한강]]을 굽어보는 응암 언덕에 >어둠을 밝혀주는 횃불이 되어 >새로운 질서의 씨를 뿌리니 >풍성토다 그 빛은 우리 충암학원 >아 아 충암 충암 우리의 모교 >영원히 빛나거라 충암의 이름 > >'''2절''' >성실과 근면으로 이상을 키워 >슬기로운 문화의 터전을 담아 >안방에 비추자 우리들의 빛 >횃불처럼 높이들자 우리의 충암 >아 아 충암 충암 우리의 모교 >영원히 빛나거라 충암의 이름 == 학교 특징 == [[서울특별시]] 관내의 몇 안 되는 [[남녀분반]] 중학교이다.[* 2023년부터 신입생들은 남녀합반이다. 하지만 2024년부터 전학년 남녀합반으로 변경된다. ]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는 공립 남녀분반 중학교가 단 한 개도 없다. 그래서 서울과 경기도 사람들한테 분반 중학교를 언급하면 충격받거나 놀라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2019년 졸업생 기준, 일반고로 139명, 특성화고로 62명, 과학고로 1명, 외고/국제고로 3명, 예고/체고로 2명, 마이스터고로 2명, 자율형사립고로 3명, 자율형공립고로 0명, 기타로 1명의 진학률을 보이고 있다. == 학교 시설 == 2020년 5월 기준. ||<-9> 교사(校舍) 현황 || ||<-5> 교수학습공간 ||<-4> 학습지원공간 || || 일반교실 || 교과교실 || 특별교실 || 수준별교실 || 기타 || 시청각실 || 컴퓨터실 || 멀티미디어실 || 기타 || || 30실 || 2실 || 9실 || 0실 || 2실 || 0실 || 3실 || 0실 || 0실 || ||<-12> 교사(校舍) 현황 || || 교원지원공간 || 관리행정공간 || 체육관 || 보건실 || 학생탈의실 || 학생샤워실 || 남자화장실 || 여자화장실 || 공용화장실 || 학생식당 || 기숙사실수 || 기타공간 || || 2실 || 13실 || 0실 || 1실 || 0실 || 0실 || 3실 || 2실 || 1실 || 0실 || 0실 || 0실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 학교 일과 ===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 운동부 == * 충암중학교 야구부 == 출신 인물 == > '''가나다 순으로 정렬할 것.''' === 정치인 === * [[심상정]] - 정치인 * [[안형준(정치인)|안형준]] - 정치인 * [[윤석열]] - [[대한민국 대통령|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前 검찰총장[* [[중랑중학교]] 재학 중 2학년 때 [[서대문구]]로 이사를 가면서 전학.] * [[이상원(정치인)|이상원]] - 정치인 === 바둑 기사인[* 충암중학교는 다음 기사인들을 위시한 수많은 프로 바둑 기사들이 있다. [[충암학원]] 출신(초중고 모두 포함) 프로 바둑 기사의 단수는, 2012년에 이미 700단을 돌파했을 정도로 수많은 프로 바둑 기사들을 동문으로 두고 있다.] === * [[김수진(1987)|김수진]] 五단 * [[백홍석(1986)|백홍석]] 九단 * [[설현준]] 五단 * [[신진서]] 九단 * [[유창혁]] 九단 * [[이다혜(바둑기사)]] 五단 * [[이창호]] 九단 *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 [[허서현]] 三단 * [[홍기표]] 八단 === 야구선수 === * [[김기범(야구)|김기범]] * [[김동헌]] * [[류지현(야구)|류지현]] * [[윤영철]] * [[조성환(1976)|조성환]] * [[최현진(야구)|최현진]] * [[함창건]] * [[홍상삼]] * [[히로나카 시히로]] === 연예인 === * [[김명민]] - 배우 * [[나태주(가수)|나태주]] - 태권도 선수이자 배우 겸 가수 * [[용준형]] * [[이신(GHOST9)|이신]] - 가수 * [[이유리(배우)|이유리]] - 배우 * [[초원(LIGHTSUM)|초원]] - 가수 * [[현아]] - 가수 * [[황현희]] - 개그맨 === 기타 === * [[이하은(2004)|이하은]] * [[LA 시사논평]]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72b87 '''13-220'''}}}}}}[br]{{{#fff '''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명지중고등학교 방면)'''}}}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7|7017]]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8|7018]]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9|7019]]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21|702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611|761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734|7734]]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8774|8774]](맞춤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마을}}}}}} [[서울 버스 서대문15|서대문15]]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72b87 '''13-221'''}}}}}}[br]{{{#fff '''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응암초등학교 방면)'''}}}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7|7017]]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8|7018]]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9|7019]]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21|702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611|761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734|7734]]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8774|8774]](맞춤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72b87 '''12-155'''}}}}}}[br]{{{#fff '''응암초등학교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방면)'''}}}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7|7017]]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8|7018]]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21|702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611|761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8774|8774]](맞춤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72b87 '''12-164'''}}}}}}[br]{{{#fff '''응암초등학교 (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방면)'''}}}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7|7017]]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8|7018]]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21|702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611|761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8774|8774]](맞춤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72b87 '''12-265'''}}}}}}[br]{{{#fff '''충암고교앞.대주피오레아파트 (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방면)'''}}}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9|7019]]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734|7734]]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72b87 '''12-266'''}}}}}}[br]{{{#fff '''충암고교앞.대주피오레아파트 (응암초교.백련산힐스테이트3차 방면)'''}}}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019|7019]]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fff 지선}}}}}} [[서울 버스 7734|7734]] || * 학교 정문 앞에 [[명지전문대학|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정류장이 양방향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후문쪽에있는 언덕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충암고교앞.대주피오레아파트 정류장이 있다. * 중학교 남자건물은 충암고 정류장보다 응암초교 정류장이 더 가까우므로 이용에 참고하자. * 7019 이용 시 주의사항 * 명지대, [[증산역(서울)|증산역]] 방향으로 가려면 기업은행앞 정류장(은평차고지행 버스)에서 승차해야한다. 반대로 [[녹번역]], 서소문 방향으로 갈 목적이라면 충암고교앞.대주피오레아파트 정류장(서소문행 버스)에서 승차하도록 하자. * 8774 이용 시 주의사항 * [[새절역]]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 다만 신사초등학교 정류장에서 내리면 새절역 사거리에서 내릴 수 있다. 배차간격이 꽤나 길다. 참고하도록 하자. === 도시철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cd7c2f '''616'''}}}}}}[br][[서울 지하철 6호선|{{{#fff '''6호선'''}}}]] ||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5]] [[새절역]] || * 현재 계획 중인 [[서울 경전철 서부선]][* [[2028년]] 개통 예정]이 개통된다면 가까운 거리에 지하철역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응암삼거리역]](가명)] ==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충암학원)] == 기타 == * 충암중은 남녀공학이긴 하나[* 단, 1학년들은 합반이다.] 남녀가 사용하는 건물이 다르며, 충암남중과 여중 건물 사이엔 잔디운동장과 충암초등학교가 있다. 남녀합반으로 수업하는 경우는 오직 방과 후 시간 또는 중3 영어, 수학 시간 뿐이다. * 사학재단이 그렇듯 [[충암학원]] 문서에서 언급하는 다양한 사건들 이외에도 현재 이사장의 아들이 행정실장으로 재직중이며, 이사장 아들 며느리는 2016학년도에는 교감으로 취임하는 등 친인척 인사가 만연하다. 심지어 오래 재직해온 교사들의 경우도 의심을 받는 경우가 잦은데, 예를 들면 사립학교 지원 후 면접을 통한 정식적인 루트가 아닌 이사장이나 설립자의 지인이라서 뽑혔다는 등의 루머가 돌기도 했다. * 현 [[하나고등학교]] 부지가 원래 충암학원 (충암초.중.고) 이전 부지였다고 한다. 허나 재단 재정 문제를 비롯한 여러 사정 때문에 이전하지 못하고 하나은행 재단에 넘겨주었다고. [[분류:1966년 개교]][[분류:은평구의 중학교]][[분류:충암학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