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충주시)] [include(틀:충주시의 읍면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ungjusine-map.png|width=4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ungju-map.png|width=400]][* 현재 이류면은 대소원면, 가금면은 중앙탑면으로 이름을 바꿨으며 여주군은 [[여주시]]로 승격되었다.] || [목차] [clearfix] == 동 == === [[교현·안림동]] === 관할 법정동은 교현동(일부)·목벌동·안림동·종민동이다. 1998년 9월 30일 교현1동과 종민·안림동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인구는 '''22,805명.'''[*A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 계명산과 충주호 서편까지도 행정구역상 이곳에 해당한다. 2012년 5월에 충주의료원이 안림동으로 이전하였다. 교현동에 [[충주향교]], [[충주경찰서]], [[충주종합운동장]], 종민동에 [[충주댐]], 목벌동에 [[충주 활옥동굴]]이 있다. 학교는 교현초, 성남초, 충일중, [[충주북여자중학교|충주북여중]], [[충주대원고]], 한림디자인고가 있다. === [[교현2동]] === 관할 법정동은 교현동(일부)이다. 1985년 11월 1일 교현동이 분동되며 형성되었다. 인구는 '''6,484명.'''[*A]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충주교육지원청, 충주시립도서관, 대가미체육공원,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CGV 충주교현]]이 있다. 학교는 예성초등학교, [[충주여자중학교]], [[충주중앙중학교]]와 [[특수학교]]인 [[충주성심학교]]가 있다. === 달천동 === ||{{{#black '''달천동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달천동)] || 관할 법정동은 가주동·단월동·달천동·용관동·용두동·풍동이다. 1998년 9월 30일 단월·풍·가주동과 달천·용관·용두동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인구는 '''3,826명'''.[*A] 시내 서남쪽 논 지역이 모두 달천동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겠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모다아울렛 충주점]]이 있다. [[달천(하천)|달천]] 너머에는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임경업]] 장군 묘소, 충주운전면허시험장이 있다. 학교는 단월초, 달천초가 있다. === [[목행·용탄동]] === 관할 법정동은 목행동·용탄동이다. 1962년에 목행동과 용탄동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인구는 '''6,509명.'''[*A] [[충북선]] [[목행역]], [[충주소방서]], [[한국폴리텍대학]] 충주캠퍼스, 충주산업단지, 용탄농공단지, 충주시농수산물도매시장이 있다. 충주산업단지는 과거 충주시를 먹여 살리던 공단이었으며, 예전같지는 않아도 지금도 충주 재정에 기여한다. 학교는 목행초가 있다. === [[문화동(충주)|문화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본래 '[[역전]]동(驛前洞)'[* 바로 아래의 봉방동의 '충주역' 각주 참조.]이었는데 1992년에 문화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인구는 '''9,083명.'''[*A] [[KBS충주방송국]], 충주우체국, [[이마트]] 충주점이 있다. 학교는 대림초가 있다. === [[봉방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8,829명.'''[*A] [[충북선]] [[충주역]][* 충북선 이설 전의 옛 충주역은 문화동과의 경계(충주교통 일대)에 있었다.]과 [[충주교통]], [[삼화버스공사]] [[공영 차고지]]가 위치해 있어 교통의 요충지로 불린다. 상방, 하방이라는 구역으로 나뉘는데 [[충주역]] 외부 및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충주지청]], [[현대자동차]] 사옥 건물, [[KBS충주방송국]] 인근을 중심으로 한 상방, [[충북선]] 선로 뒤쪽으로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한 하방으로 구성되어있다. 학교는 삼원초, [[국원고]]와 특수학교인 숭덕학교가 있다. === 성내·충인동 === ||{{{#black '''성내충인동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성내충인동)] || 관할 법정동은 성남동·성내동·성서동·충의동·충인동이다. 1998년 9월 30일 성내·성남·성서동과 충인·충의동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인구는 '''2,501명'''.[*A] 충주시의 옛 중심지로 충청감영, 충주시문화회관,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제1로터리, 제2로터리가 있다. 시내이자 충주 구도심이지만 지금은 연수동에 밀려 쇠락하였다.[* 1970년대 미니스커트 단속 당시 충주에서는 성서동에서 많이 했다. 또한, 1980년~90년대에 이르러서 현대타운을 중심으로 번성하였다.] [[2018년]] 기준 [[충청북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동이다. 영화관인 [[메가박스]] 충주점이 이곳에 있다.[* 18년 6월에 신연수동에 시네Q 충주점이 새로 들어섰으며, [[2020년]] 12월 말에 CGV가 들어설 예정이다.] === [[연수동(충주)|연수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5,880명'''[*A]으로 충주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연수주공아파트단지 등이 있는 주거지역이다. 충주시 도심 중에서 가장 최근에 개발된 곳으로 연수주공아파트 1~3단지, 낙원아파트, 세원아파트 등이 있는 구 연수지구는 90년대에, 세영리첼, 힐스테이트, 리슈빌 아파트, 유원아파트가 있는 신연수지구는 2000년대 후반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 원래는 세원아파트 앞의 상업지구가 번화가였지만 신 연수지구 개발 이후 힐스테이트 아파트와 낙원아파트 사이의 갱고개로 일대가 번화가가 되어 성내충인동 젊음의 거리의 불야성에 가까워지고 있다. 그래서, 연수동을 구분할 때 낙원아파트와 연수주공아파트 단지 등을 중심으로 한 곳을 그냥 연수동이라 부르는 반면 세영리첼, 유원아파트, 힐스테이트와 리슈빌 아파트가 위치한 곳은 신(新) 연수동 혹은 신수동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충주시내에서 인구가 빠르게 유입되는 지역 중 하나. 연수동에는 국원초, 연수초, 중앙초가 있는데, 중앙초는 구 연수지구 서부, 연수초는 구 연수지구 동부, 국원초는 신 연수지구로 학군이 나뉜다. 그러나 연수초의 주요 학생 공급원이던 주공아파트의 주요 거주자가 노년층으로 바뀌면서 신입생 수가 급격히 줄고, 연수초와 주공2단지 일대가 슬럼화되면서 그나마 신 연수지구에서 연수초를 배정받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먼 국원초, 심지어는 다른 동의 금릉초로 진학하여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연수초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설을 보강하고, 각종 시범학급을 운영하여 문제를 돌파하려 하지만 아직은 [[답이 없다]]. === [[용산동(충주)|용산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4,385명.'''[*A] 뒤에는 현지인들이 '''남산'''이라고 부르는 금봉산이 있고, 최근 금봉산 바로 밑으로 올라오는 오르막길에 빌라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그 오르막길 꼭대기에는 이미 동일하이빌이 건설되다. 호암 택지지구 조성 영향으로 맛집 방문자 수가 증가하였다. 학교는 남산초, 용산초, [[충주공고]], [[충주여고]]가 있다. === 지현동 === ||{{{#black '''지현동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지현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5,116명'''.[*A] 동의 동편에 지현천이 지난다. 문화동, 용산동, 호암동에 둘러싸인 길고 좁은 동네로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 [[칠금·금릉동]] === 관할 법정동은 금릉동·칠금동이다. 1962년에 금릉동과 칠금동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인구는 '''14,118명.'''[*A] 충주시청(금릉동)과 [[충주공용버스터미널]](칠금동)이 이곳에 있다. 터미널 2층에는 [[롯데마트]] 충주점이 있다.[*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직선거리로 불과 1.3km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근데 어쩔 수 없는게, 롯데마트가 들어오던 당시에는 그 거리가 충주시내에서 기존에 입점해있던 [[이마트]] 기준 거의 끝 거리었던지라(…)] 이외에 [[탄금대]], 충주세계무술공원, 충주운동장이 있다. [[2026년]]에는 [[국립충주박물관]]이 개관할 예정이다. 학교는 금릉초, 칠금초, 탄금초, 칠금중, [[탄금중학교|탄금중]]이 있다. === [[호암·직동]] === 관할 법정동은 직동·호암동이다. 1962년에 직동과 호암동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인구는 '''22,110명.'''[*A] 호암지라는 [[호수]]가 있으며 그 주변에 [[MBC충북]] 충주방송국, 충주종합운동장, 호암예술관, 충주시립호암도서관, [[충주산성]]이 있다. 택지가 조성되고 있으며, 호암지구를 본 기존 충주 시민들은 분위기가 충주가 아니라고 할 정도로 믿지 못하곤 한다. --원주혁신도시나 진천혁신도시가 떠오른다-- 다만 이런 분위기는 모두 호암동에 해당하며, 직동은 남산 밑에 있는 시골이다. 학교는 남한강초, 미덕중, [[충주중]], [[충주예성여자중학교|충주예성여중]], [[충주고]], [[충주상고]],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충주예성여고]], [[충주중산고등학교|충주중산고]]와 특수학교인 충주성모학교가 있다. == 읍 == === 주덕읍 === ||{{{#black '''주덕읍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주덕읍)] || 읍소재지는 신양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당우리·대곡리·덕련리·사락리·삼청리·신양리·장록리·제내리·창전리·화곡리] 인구는 '''4,802명'''.[*A] 1995년 3월 2일 읍이 없는 시에는 1개의 읍을 둘 수 있다는 국회 의결에 따라 당시 충주시에서 가장 큰 주덕면이 주덕읍으로 승격되었다. [[3번 국도]]와 [[36번 국도]]가 만나며, [[충북선]] [[주덕역]]이 있다. [[충주기업도시]] 부지 중 일부에 화곡리가 포함되어 있다. 그 외 주덕산업단지와 중원산업단지가 있다. 학교는 덕신초, 주덕초, 주덕중이 있다. == 면 == === [[금가면]] === ||{{{#black '''금가면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금가면)] || 면소재지는 도촌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도촌리·매화리·문산리·사암리·오석리·원포리·월상리·유송리·잠병리·하담리] 인구는 '''3,877명'''.[*A] [[대한민국 공군]] [[제19전투비행단]]이 있다. [[중부내륙선]]이 면을 지나가나 금가면에 역은 없고 [[금가신호장]]이 있다. 학교는 금가초, 오석초가 있다. === [[노은면]] === ||{{{#black '''노은면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노은면)] || 면소재지는 연하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가신리·대덕리·문성리·법동리·수룡리·신호리·연하리·인락리] 인구는 '''2,240명'''.[*A] [[중부내륙고속도로]] [[북충주IC]]가 있다. 보련산 자락에 수룡폭포가 있다. 문성리에 문성자연휴양림과 명상치유센터 '깊은산속옹달샘'이 있다. 여담으로, 이 치유센터는 아침편지로 유명한 고도원씨가 지었다. 휴양림과 치유센터는 서로 붙어 휴양림이 치유센터 아랫자락에 있으며, 치유센터는 단체 연수, 명상 프로그램등이 주로 이루어지지만 건물이나 정원이 잘 꾸며져 한 번쯤 둘러봐도 좋다. 학교는 노은초, 노은중이 있다. === [[대소원면]] === 면소재지는 대소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검단리·금곡리·대소리·두정리·만정리·매현리·문주리·본리·영평리·완오리·장성리·탄용리] 2012년 이류면에서 개칭하였다. 참고로 개칭 사유가 2류면으로 알아듣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거기다 이류면이라는 명칭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이 지역에 있던 유등면과 이안면의 앞 글자만 합쳐 붙인 명칭이다. 인구는 '''9,338명'''.[*A] 주덕읍, 중앙탑면과 함께 [[충주기업도시]]가 조성 중인데, 대소원면에는 산업단지 위주로 조성되고 있고 [[롯데주류]]의 공장도 기업도시 옆에 있다. 아파트는 신영건설의 지웰아파트가 2016년 2월에, [[한국토지신탁]]의 코아루퍼스트아파트가 2017년에 입주하였다. 학교는 달천초 매현분교, [[대소원초등학교|대소원초/중]]가 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충주IC]], [[충북선]] [[달천역]]이 있다. [[한국교통대학교/충주캠퍼스|한국교통대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 동량면 === 면소재지는 조동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대전리·명오리·사기리·서운리·손동리·용교리·조동리·지동리·포탄리·하천리·함암리·호운리·화암리] 인구는 '''3,516명'''.[*A] 면 북쪽은 인등산과, 면 남쪽은 충주호[* [[제천시]] 청풍면 방향]와 접한다. 충주호로 수몰된 지역이 많아 교통이 불편해져 오지가 많다. 충주자연생태체험관, [[충북선]] [[동량역]], [[충주댐]],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가 있다. [[제112보병여단]] 본부와 충주시 예비군훈련장이 있다. 학교는 대미초, 동량초, 중원중이 있다. === [[산척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산척면)] 면소재지는 송강리, 관할 법정리는 4개이다.[* 명서리·석천리·송강리·영덕리] 인구는 '''2,198명.'''[*A] [[충북선]] [[삼탄역]]이 있다. 다릿재터널을 넘으면 [[제천시]] 백운면이다. 한때 충북선이 인등로를 따라 나 있었으며 면소재지와 가까운 곳에 [[산척역]]이 있었으나 1980년 인등산을 정면으로 뚫어버리는 선로개량을 하면서 폐역된 역사가 있다. [[평택제천고속도로]] [[동충주IC]]가 있다. 최근에는 이곳에서 [[고구마]] 축제를 열고 있는데, 홍보물들이 컬트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학교는 산척초/중이 있다. === [[살미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살미면)] 면소재지는 세성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공이리·내사리·무릉리·문강리·문화리·설운리·세성리·신당리·신매리·용천리·재오개리·토계리·향산리] 이 중에서 문강리·토계리는 1989년 상모면(현 수안보면)에서 편입해 온 곳이라 역사적으로는 충주가 아닌 연풍에 속했다. 인구는 '''2,014명'''.[*A] [[3번 국도]]와 [[19번 국도]]가 분기한다. [[중부내륙선]] [[살미역]]이 건설중이다. 충주호의 서편과 맞닿아 있으며 [[제천시]] [[한수면]]과 만난다. 동량면과 더불어 충주호 조성으로 수몰지역이 가장 큰 면이다. 학교는 세성초가 있다. === 소태면 === 면소재지는 오량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 구룡리·덕은리·동막리·복탄리·야동리·양촌리·오량리·주치리·중청리] 인구는 '''1,885명'''.[*A] 충주 청룡사지가 있다. [[원주시]] [[부론면]], [[귀래면]]과 접한다. 이곳에는 '''[[야동]]리'''라는 비범한 이름의 법정리가 있으며 '''[[야동초등학교]]'''가 이곳에 있었으나 2020년 2월 28일 폐교했다. [[19번 국도]] 옆에 있다. --그리고 이 '''[[청소년 관람불가|19]]'''번 국도에는 '''야동휴게소'''와 '''야동졸음쉼터'''(...)까지 있다-- 춘천 초등학생 실종 사건[* 유괴 및 약취 혐의로 50대 남성이 구속되어 재판 진행 중.]이 일어난 장소였다. === [[수안보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안보면)] 면소재지는 온천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고운리·미륵리·사문리·수회리·안보리·온천리·중산리·화천리] 인구는 '''2,847명.'''[*A] 원래 상모면이었으나 2005년 수안보면으로 개칭되었다. 유명 온천 관광지인 [[수안보]][[온천]]으로 잘 알려져 있다. 리즈시절은 80년대이며 그 이후에는 쇠퇴.. [[수안보역]]이 들어서면 이를 계기로 다시 부흥할 지도 모른다. 학교는 수안보초, 수회초, 수안보중이 있다. === [[신니면]]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신니면)] 면소재지는 용원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견학리·광월리·대화리·마수리·모남리·문락리·문숭리·선당리·송암리·신청리·용원리·월평리·화석리·화안리] 인구는 '''2,777명.'''[*A] [[평택제천고속도로]] [[서충주IC]]가 있다. 문숭리에 숭선사지 당간지주가 있다. [[음성군]] 음성읍, 금왕읍과 가깝다. 보안등급이 높은 군사시설이 있다. 학교는 동락초, 용원초, 신니중이 있다. === [[앙성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앙성면)] 면소재지는 용포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 강천리·능암리·단암리·돈산리·마련리·모점리·목미리·본평리·사미리·영죽리·용대리·용포리·조천리·중전리·지당리] 인구는 '''3,926명.'''[*A] 앙성[[온천]], 능암온천이 있다. [[음성군]](감곡면), [[여주시]](점동면), [[원주시]]([[부론면]])와 접하는 곳이다. 충주시내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천시]] 장호원읍과 가깝다. 면소재지인 용포가 규모가 조금 있는 곳이라, 주덕 경유 시외버스 말고 용포 경유 시외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면내 학교는 앙성초, 앙성중이 있다.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앙성면의 남서쪽을 살짝 통과하지만, 나들목은 없다. [[중부내륙선]] [[앙성온천역]]이 있다. 면 최북단의 단암리는 원주시 [[부론면]] 소재지(법천리)와 매우 가깝다. [[남한강대교]]만 건너면 바로 나온다. === 엄정면 === ||{{{#black '''엄정면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엄정면)] || 면소재지는 용산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 가춘리·괴동리·논강리·목계리·미내리·신만리·원곡리·용산리·유봉리·율능리·추평리] 인구는 '''3,052명'''.[*A] [[남한강]]의 나루로 번성했던 [[목계 장터]]로 이름났던 곳이다. 경종대왕태실,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가 있다. [[531번 지방도]] 및 [[19번 국도]]를 통해 [[원주시]] [[귀래면]]과 접한다. 학교는 엄정초, 신명중, 충원고가 있다. === 중앙탑면 === ||{{{#black '''중앙탑면 (충주)'''}}} ||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중앙탑면)] || 면소재지는 탑평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가흥리·루암리·봉황리·용전리·장천리·창동리·탑평리·하구암리] 이전에는 가금면이었으나 2014년 2월부터 중앙탑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가금이라는 명칭이 가금류(家禽類)가 연상되기 때문이라고. 인구는 '''13,775명'''[*A]으로 충주시 읍면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면소재지인 탑평리에 면명의 유래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이른바 ‘중앙탑’,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6호)이 있다. 충주박물관과 술박물관 리쿼리움도 탑 옆에 조성되어 있다. 역사책에 등장하는 [[충주 고구려비]], [[장미산성]], [[누암리 고분군]] 역시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인구가 3천 명도 되지 않는 작은 면이었지만 [[충주기업도시]] 배후시가지가 개발되면서 인구 1만 3천 명을 돌파하였다. 학교는 가흥초, 중앙탑초, 중앙탑중, 중앙탑고가 있다. 기업도시에서 [[중앙탑IC]]를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분류:충주시]][[분류:충주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