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저장성의 지급시]] [include(틀:저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000,#ddd 저장성}}}]]의 지급시'''}}} || ||<-3> {{{#ff0 '''{{{+1 [ruby(衢州市, ruby=Qúzhōu shì)] | [ruby(衢州, ruby=Jjytseu)](T3)[ruby(市, ruby=Zr)](T3)}}}'''[br]취저우시 | Quzhou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衢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저장성]] 취저우시 커청구 싼장둥루28호[br]浙江省衢州市柯城区三江东路28号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8,846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1현급시 3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276,184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57명/km² || ||<-2> '''{{{#ffff00 HDI}}}''' || 0.761 ^^(2016)^^ || ||<-2> '''{{{#ffff00 서기}}}''' || 가오이(高屹) || ||<-2> '''{{{#ffff00 시장}}}''' || 쉬장옌(徐张艳)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96억 7,546만 ^^(2020)^^ || || '''{{{#ffff00 1인당}}}''' || $13,037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목서]] || || '''{{{#ffff00 시목}}}''' || [[녹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浙H'''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衢'''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3'''08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570''' || ||<-2> '''{{{#ffff00 우편번호}}}''' || '''324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ZJ-08''' ||}}}}}}}}} || ||<-3> [[http://www.qz.gov.cn/|홈페이지]] || [[파일:취저우 중국.jpg|width=450]] 취저우 고성 [[파일:남공묘 중국.jpg|width=450]] 1253년에 건설된 공씨 남종 가묘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저장성]] 서부의 지급시. [[항저우]]에서 서남쪽으로 140km, [[진화시]]에서 서쪽으로 60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다. [[상라오]]-취저우-진화-[[이우시]]로 이어지는 협곡의 중심에 위치한 시가지는 첸탕강의 상류인 취장강 양안에 남안에 입지한다. 관할 인구 23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90만이 거주한다. 각종 농산물과 목재가 집산된다. 산업에 있어 기계, 화학, 약품 공업이 발달하였다. 안후이, 저장, 장시, 푸젠 4개의 성이 모이는 교통의 요지이다. [[취저우역]]에는 진화-상라오간 철도가 지나고, 커청구와 취장구 사이에 취저우 공항이 위치한다. [[바둑]]의 발원지인 란커산 (烂柯山)과 공씨남종가묘 (孔氏南宗家庙),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중국 단샤의 일원인 장랑산 (江郎山) 등이 관광지이다. [[LG화학]]의 전구체 공장과 [[효성]]의 스판덱스 공장이 소재하고, 후자의 회장 조현준은 2016년 천신 취저우 당서기와 회동하였다. 산하의 창산현은 한국의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과 교류 협정을 맺었다. 배우 [[저우쉰]]의 고향이다. == 역사 == 한대에 회계군에 속하였고, 현 도심에서 동쪽으로 20km 떨어진 룽유현에 대말현 (大末縣)이 설치되었다. 그러다 [[후한]] 말엽인 192년에 현 시가지에 신안현 (新安縣)이 설치되었다. 280년에 통일을 완수한 [[서진]]은 홍농군 신안현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신안현 (信安縣)으로 개칭하였다. [[당나라]] 대인 621년 현 지명과 같은 구주 (衢州)가 설치되었고, 군현제 시기에는 신안군 (信安郡)으로 불렸다. 서쪽 상라오 시의 위산현에는 신주 (信州)가 있었다. 870년경 함통 연간에 신안현은 서안현 (西安縣)으로 개칭되었다. 송대에는 양절로 혹은 양절동로에 속하였다. 원대에는 구주로 (衢州路)가 설치되었다. 한편 [[정강의 변]] 이후 [[연성공]] 공단우 휘하의 [[공자]]의 후손들이 기존의 곡부 ([[취푸]])에서 남쪽으로 피신해 거주하였다. [[금나라]]가 곡부에 남은 동생 공단조를 연성공으로 임명하고, [[남송]]은 공단우에게 작위를 내리며 두 연성공이 한세기 넘게 양립하게 된다. [[원나라]]의 통일 후 [[쿠빌라이 칸]]이 남부 연성공을 소환했으나 응하지 않자 북부의 연성공만을 적통으로 임명하며 작위를 잃었다. 다만 [[명나라]] 대에 들어 남부 공씨의 당주 공고구에게 한림원 오경박사 (五經博士) 직위를 내렸고, 현재도 후손인 공양개 (孔祥楷)가 명예직을 잇고 있다. 명대에는 절강성에 속했고, 구주부 (衢州府)가 설치되었다. 청대인 1684년에는 진화와 함께 금구엄도 (金衢严道)에 편성되었다. [[신해혁명]] 후 금주군정정부 (衢州军政分府)가 설립되었다가 1912년 폐지되고 취현 (衢县)이 설치되었다. 이후 진화시에 속했다가 [[중화민국]] 시기인 1935년 제5구행정독찰전서 (第五区行政督察专署)가 설치되었다. 1940년 [[중일전쟁]] 당시 [[창더]], [[닝보]]와 함께 일본군이 세균전을 펼친 지역 중 하나였다. 이로써 현지 주민 30만이 감염되었고, 그중 5만명이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1949년 5월 4일 [[인민해방군]]이 입성하였고, 취저우시를 설립하였다. 1955년 시가 폐지되어 진화지구에 편성되었다가 1985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 공씨 남종 가묘 == [[파일:공묘 중국 취저우.jpg|width=920]] [[파일:공자묘 중국.jpg]] [[파일:남공묘 중국 2.jpg|width=920]] 1253년에 건설되어 1980년대에 보수하였다. [[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