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荃灣站 | Tsuen Wan Station}}} ||<-6><)>[[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췬완}}}[br]{{{+1 荃灣 | Tsuen Wan}}}}}}|| ||<-6>|| ||<-6>|| ||<:><-2>[[센트럴역(홍콩)|{{{-1 {{{#585858,#dddddd 센트럴 방면}}}}}}]][br][[타이워하우역|타이워하우]][br]← 0.8 ㎞||<-2><:>[[췬완선|{{{#ffffff 췬완선}}}]]||<:><-2>{{{#585858,#dddddd 시종착}}}|| ||<-6>[include(틀:지도,장소=MTR Tsuen Wan Station,너비=100%,높이=225px)]|| ||<:><-6>{{{#ffffff,#000000 '''주소'''}}}|| ||<:><-6> [[홍콩]] [[신계(홍콩)|신계]] [[췬완구]] 췬완[br]Sai Lau Kok Road × Tai Ho Road[*한문 香港新界荃灣區荃灣 西樓角路及大河道北之間][*영문 Sai Lau Kok Road × Tai Ho Road, Tsuen Wan, Tsuen Wan District, Hong Kong] || ||<:><-6>{{{#ffffff,#000000 '''개업일'''}}}|| ||<:><-2>[[췬완선|{{{#ffffff 췬완선}}}]]||<:><-4>[[1982년]] [[5월 10일]]|| ||[[파일:Tsuen_Wan_Station_Platform1_2019.jpg|width=360]]|| ||<:>{{{#ffffff '''췬완역 종착 승강장 모습.'''}}}|| ||[[파일:Tsuen_Wan_Station_Exit_A_2015.jpg|width=360]]|| ||<:>{{{#ffffff '''췬완역 A번 출구 및 외부 통로 모습.'''}}}|| [목차] == 개요 == [[홍콩]] [[신계(홍콩)|신계]] [[췬완구]]에 있는 [[MTR]] [[췬완선]]의 종착역으로, [[1982년]] [[5월 10일]]에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지상에 위치하고 있으나 역에서 출발하면 바로 산을 뚫는 터널로 들어가는 형태의 역이다.[* 한양대역과 비슷하다.] 역의 이름은 역이 위치한 지역인 [[신계(홍콩)|신계]] 남부 신구룡의 [[췬완구]]에서 따온 것으로 췬완신도시의 북부의 정가운데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여기로 들어오는 MTR 노선의 이름 역시 이곳에서 따왔다. 본래 이름은 두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비교적 얕은 바닷가라는 의미인 친완(淺灣, Tsin Wan), 그리고 다른 하나는 이 근처에 해적이 많았던 점에서 따온 착완(賊灣, Tsak Wan)이라는 명칭이다. 두 명칭 다 원래 이곳이 바닷가였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이라 가장 먼저 간척된 곳 중 하나이며, 간척지 위로는 공장지대가 들어섰다. 시간이 흐르며 공장들도 당시의 주요 항구였던 [[구룡반도]] 그리고 [[1979년]] 중국이 개방된 후로는 [[중국 대륙]] 쪽으로 슬금슬금 옮겨갔고, 그와 동시에 이 일대도 재개발 계획이 수립되어 [[1970년대]] 전후로 신도시가 들어섰고, [[1980년대]] 들어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남쪽의 [[콰이힝역]]과 [[콰이퐁역]]쪽으로 인구를 분산하게 되고, 현재도 꾸준히 개발중인지라 새로 지은 30~40층은 거뜬히 넘어가는 아파트들과 오래된 10층 이내의 작은 상가 건물들이 섞여있는 모습이다. 신도시의 일원으로 역 위로도 아파트를 올리고 [[MTR]]사의 꾸준한 투자의 결과로 역 주변은 아래의 [[타이워하우역]]부터 [[콰이퐁역]]까지의 그것보다 더 센 역세권이 있는 편으로 실제로 유동인구도 굉장히 많은 편에 속한다. [[서철선]] 측의 [[췬완웨스트역]]도 역과 같이 지어진 쇼핑몰과 버스환승센터가 있으나, 이 역과 맞먹었으면 맞먹었지 역 자체의 이용객은 많지 않은 편이다. 이미 [[서철선]]은 저 북쪽의 [[튄문역]]부터 사람이란 사람은 다 태우고 내려오는지라 높은 혼잡도는 당연한 이야기이고, 배차간격도 상당히 긴 편이라 이 지역 사람들은 주로 [[췬완선]]을 더 자주 이용하는 편이다.[* 오히려 [[서철선]] 쪽 [[췬완웨스트역]]의 경우 버스환승센터를 이용하는 승객이 더 많다고 보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 본래 이 역은 중간역이 될 예정이었는데, 이 역의 승강장 구조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실제로 같은 지상역이자 종점역으로 기능했던 [[차이완역]]이나 [[쿤통역]]도 섬식 승강장으로 지어졌던 반면, 이 역은 위에 역을 하나 더 지을 것을 염두에 두고 지어서 [[췬완선]]의 다른 지상역들처럼 상대식 승강장으로 지었다. 연장계획에 있던 역은 [[췬완웨스트역]](!!!)이었는데, 지금의 [[서철선]] 췬완웨스트역보다는 훨씬 북쪽에 있을 예정이었던 역이다. 그러한 계획에 맞추어서 이 역 바로 옆에 췬완차량기지가 지어졌고, 만약 계획대로 지어졌다면 췬완웨스트에서 종착한 열차가 췬완역 방향으로 차를 돌려서 분기선을 통해 [[차량기지]]로 들어가는 형태가 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위쪽으로는 개발도 거의 되지 않은 상태였기에 이 계획은 정부 측에서 무의미하다 판단하여 취소해버렸다. 그것도 이미 이 역 북쪽으로 선로가 놓인 상태로 말이다. 현재 이 선로는 [[인상선]] 겸 차량기지 진입 전 [[스위치백]]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쓰이고 있으며, 역은 섬식 승강장이 아닌 상대식 승강장으로 지어진 덕에 오리카에시 운행에 상당히 지장을 끼칠 수 있는 구조가 되었다. 그 결과 1번 승강장은 종착 전용 승강장으로 쓰고 있으며, 종착하는 열차는 모든 승객들을 내리고 인상선으로 들어간 뒤 차량기지로 들어가거나 다시 돌아 나와 2번 승강장으로 진입하여 승강장을 태우는 구조로, 마치 [[긴자선]]의 (구)[[시부야역]]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현재도 이 노선을 지금의 [[췬완웨스트역]] 그리고 더 나아가 [[튄문역]]까지도 연장하자는 이야기는 아주 가끔 몇몇 사람들이 언급하는[* 홍콩의 철도 동호인들과 튄문구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건의가 나온다. 산 속에 터널을 뚫고 췬완웨스트로 지하로 직결 후 골드코스트를 거쳐 튄문까지 가는 식] 쉰 떡밥 중 하나. == 역 내부 시설 == || [[파일:TsuenWanLayout.jpg|width=540]]|| ||<:>{{{#ffffff '''췬완역 시설 안내도.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layouts/tsw.pdf|원본(PDF)]]'''}}}|| 승강장은 지면 바로 위에 위치하며, 이 위로 역사가 올려져 있는 전형적인 선상역사 구조다. 그래서 역으로 들어가기 위해 걸어 올라간 뒤 다시 승강장으로 걸어 내려가야 하는 구조다. 그리고, 역시나 화장실이 없다.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역의 B2번 출구 앞에 위치한 췬완구청 청사에 위치한 공중화장실을 이용하면 된다. 정 급하면 역무원에게 물어보자. 역무원 화장실로 안내해 주는 경우도 있다. == 역 주변 안내도 및 주변 정보 == || [[파일:TsuenWanStreet.jpg|width=540]]|| ||<:>{{{#ffffff '''췬완역 주변 안내도. 필요할 경우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maps/tsw.pdf|원본 PDF 파일]]을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역 일대는 [[췬완구]] 지역의 중심지이다. Luk Yeung Galleria [[쇼핑몰]], Joint Publishing - Tsuen Wan Branch [[서점]], Beacon College (Tsuen Wan Brighton Place) 등이 있다. 종점역으로서 옆에 췬완 [[차량사업소]]가 같이 있다. 서철선 [[췬완웨스트역]]은 다소 거리가 있으나, 역과 연결되는 육교를 통해 걸으면 얼마 걸리지 않는다. 문제는 횡단보도가 더럽게 찾기 힘드니 반드시 맞는 도로 방향으로 내려올 것. 안 그랬다가는 더운 여름에 땀을 삐질삐질 흘리면서 육교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하는 생지옥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분류:MTR 췬완선]][[분류:홍콩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1982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