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나미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치바현 제2구}}}}}}'''[br]{{{-1 {{{#ffffff 千葉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Chiba2.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17,682명 (2022)|| ||<-2><:>'''상위 도도부현'''||<-2><:>[[치바현]]|| ||<-2><:>'''하위 행정구역'''||<-2><:>[[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고바야시 다카유키]]|| [목차] [clearfix] == 개요 == [[치바현]]의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고바야시 다카유키]]. == 상세 == 자민당과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의 경합지역이었으나,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회 중원선]] 이후 자민당 초강세 지역으로 변모했다. 다만, 이는 옆 지역구인 [[치바현 제1구|1구]]와는 달리 지역 내 자민당 후보와 경쟁할만한 후보가 없는 것이 크다. 실제로 민주당계 정당의 비례대표 득표율이 자민당을 늘 앞서왔던 지역이기 때문이다. 원래 이 지역구에서는 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2회 중원선]]에서 30세의 나이로 당선된 나가타 히사야스 전 민주당 의원이 있었다. 자민당이 압승한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회 중원선]]에서도 4.3%로 패배하는 접전 승부를 벌이고 비례대표로 부활해 당선될 정도로 경쟁력이 있었으나,[* 이 때 치바현에서 당선된 민주당 후보는 이후에 총리가 되는 [[노다 요시히코]]의원 한 명밖에 없었다.] 이후 2006년 [[라이브도어]]의 [[호리에 타카후미]]가 분식회계로 조사를 받던 와중,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다케베 쓰토무[* [[홋카이도 제12구]] 다케베 아라타의 부친.] 간사장에게 거액을 송금한 이메일이 있다는 허위 제보를 폭로한 바람에 비난을 받았고 결국 의원직에서 사퇴했다. 이후 실의에 빠져 2009년 1월에 자살했다. 나가타 전 의원이 사퇴한 이후 민주당이 압승한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회 중원선]]에서는 민주당 구로다 유우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구로다 의원도 민주당을 탈당해 [[일본 미래당]]에 입당해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회 중원선]]부터는 자민당 고바야시 다카유키 의원이 줄곳 큰 표차로 승리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치바현 제2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1> 에구치 가즈오 ||<|1>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2> 나가타 히사야스 ||<|2>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야마나카 아키코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구로다 유우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고바야시 다카유키]]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구치 가즈오''' || '''75,93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7.10%'''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나카무라 카즈히라 || 60,401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9.51%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모리시마 다케히로 || 34,172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16.6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와마키 시게오 || 31,86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5.57%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가와모토 타츠요시 || 2,320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1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4,694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가타 히사야스''' || '''82,074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4.1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구치 가즈오 || 73,19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0.50% || 낙선 || ||<|2><#F67E27>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도미타 시게유키 || 47,322표 || 3위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19.7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나카무라 도시오 || 32,21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42%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쿠도 타다츠구 || 5,216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2.1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0,025표 ||<|2> '''투표율'''[br]61.54% || || 선거인 수 || 397,893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가타 히사야스''' || '''111,53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8.37%'''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에구치 가즈오 || 93,61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6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나카지마 마코토 || 18,70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1%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와카마츠 시게오 || 6,724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2.9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0,583표 ||<|2> '''투표율'''[br]57.23% || || 선거인 수 || 413,315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나카 아키코''' || '''124,26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6.91%'''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가타 히사야스 || 112,94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2.64%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토 겐 || 16,49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23%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와카마츠 시게오 || 8,772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3.31%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와키모토 와오 || 2,401표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0.9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874표 ||<|2> '''투표율'''[br]64.46% || || 선거인 수 || 417,798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구로다 유우''' || '''153,745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7.0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나카 아키코 || 89,31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3.1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구라 츄헤이 || 22,05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9%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야시로 도모야스 || 4,174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5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9,282표 ||<|2> '''투표율'''[br]64.65% || || 선거인 수 || 425,033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다카유키]]''' || '''100,55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0.34%''' || '''당선'''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나가타 도시히로 || 54,123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21.71%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히구치 히로야스 || 46,883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8.81%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구로다 유우 || 30,12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 12.0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리사와 도시유키 || 17,604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0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9,283표 ||<|2> '''투표율'''[br]59.83% || || 선거인 수 || 428,687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다카유키]]''' || '''118,59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4.23%''' || '''당선'''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후지마키 겐타 || 56,479표 || 2위 || || [include(틀:유신당)] || 25.8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고마쓰 미노루 || 43,62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9.9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8,693표 ||<|2> '''투표율'''[br]52.39% || || 선거인 수 || 432,033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다카유키]]''' || '''108,96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8.81%'''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히구치 히로야스 || 54,035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4.20% || 낙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타케가하라 유미코 || 28,878표 || 3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12.9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노 히라츠구 || 16,49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39%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후지마키 켄타 || 14,885표 || 5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6.6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3,253표 ||<|2> '''투표율'''[br]50.58% || || 선거인 수 || 449,998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치바현 제2구}}}}}}'''[br]{{{#fff 치바시 하나미가와구, 야치요시, 나라시노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바야시 다카유키]]''' || '''153,01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2.04%'''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구로다 유 || 69,583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치바현 연합 지지] || 28.2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데라오 사토시 || 24,05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7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6,652표 ||<|2> '''투표율'''[br]54.65% || || 선거인 수 || 460,509인 || 현역 [[고바야시 다카유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6회 중원선]]에서 낙선한 후 정치적 휴식기를 가졌던 구로다 유우(黒田雄, 62세) 전 의원이 9년만에 재출마한다. 중의원의원(1선) 재임 이전에는 지바현의회 의원(4선)으로 14년간 재직했다. [[일본 공산당|공산당]]은 데라오 사토시(寺尾賢, 45세) 전 치바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최종적으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아 입헌민주당과 공산당 모두 출마한다. 개표 결과, 자민당 고바야시 다카유키 후보가 압승을 거두며 4선 의원이 되었다. 특히 지난 중원선에 비해 득표율을 무려 13.2%나 끌어올렸다. 젊은 나이와 낮은 선수에도 불구하고 [[기시다 후미오]] 내각에서 경제안보 담당 국무대신으로 입각, 차세대 주자의 가능성을 보여줬기에 지역구에서 높은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치바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1석 늘어나면서 이 곳에서 관할하던 나라시노시를 신설되는 [[치바현 제14구|14구]]로 넘겼다.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에서는 고바야시 다카유키 의원의 5선 도전이 예상된다. [[일본공산당|공산당]]은 당 치바현 중부지구 상임위원인 시라이시 치요 후보를 공천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치바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