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치아문 시리즈)] [목차] == 소개 == [[중국]] [[텐센트]][[TV]]에서 방영한 치아문 시리즈 == 시리즈 == === [[치아문단순적소미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치아문단순적소미호)]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8b43a,#88b43a)" {{{#fff [[치아문단순적소미호|[[파일:치아문단순적소미호 로고.webp|width=110]]]] {{{-1 (2017)}}}[br]{{{-2 致我们单纯的小美好}}}}}}}}}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치아문단숙적소미호포스터.jpg|width=100%]]}}} || ||<-2> '''방송 기간''' ||<-2>[[2017년]] [[11월 9일]] ~ [[2017년]] [[12월 15일]] || ||<-2> '''방송 횟수''' ||<-2>23부작 || ||<-2> '''출연''' ||<-2>[[심월]], [[호일천]], 고지정, [[왕쯔웨이]], 손녕 外 || === [[치아문난난적소시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치아문난난적소시광)]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d3c5,#edd3c5)" {{{#df951b [[치아문난난적소시광|[[파일:치아문난난적소시광 로고.webp|width=180]]]] {{{-1 (2019)}}}[br]{{{-2 致我们暖暖的小时光}}}}}}}}}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치아문난난적소시광_포스터.jpg|width=100%]]}}} || ||<-2> '''방송 기간''' ||<-2>[[2019년]] [[4월 10일]] ~ [[2019년]] [[5월 8일]] || ||<-2> '''방송 횟수''' ||<-2>24부작 || ||<-2> '''출연''' ||<-2>[[린이]], [[형비]], 당효천, 정영진 外 || === [[치아문첨첨적소미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치아문첨첨적소미만)]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cbcae,#7cbcae)" {{{#fff [[치아문첨첨적소미만|[[파일:치아문첨첨적소미만 로고.png|width=180]]]] {{{-1 (2020)}}}[br]{{{-2 致我们甜甜的小美满}}}}}}}}}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치아문첨첨적소미만_포스터.jpg|width=100%]]}}} || ||<-2> '''방송 기간''' ||<-2>[[2020년]] [[4월 10일]] ~ [[2020년]] [[5월 22일]] || ||<-2> '''방송 횟수''' ||<-2>27부작 || ||<-2> '''출연''' ||<-2>[[공준]], [[류런위|유인어]], [[이가양]] 外 || == 여담 == * [[치아문단순적소미호]]는 [[대한민국|한국]]에서 리메이크 되어 [[카카오TV]], [[넷플릭스]]에서 [[아름다웠던 우리에게]]로 [[2020년]] [[12월 28일]]부터 공개되었고, [[치아문난난적소시광]]은 [[태국]]에서 리메이크 되어 [[텐센트 비디오]]에서 공개되었다. * 세 편 모두 조건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지만 [[치아문첨첨적소미만]]의 원작 소설은 치아문 시리즈가 아닌 2012년도에 별개로 발간된 소설 '舟而复始'이다. 같은 작가의 청춘 로맨스물이기 때문에 치아문 시리즈의 이름을 빌려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논란 == === 혐한 논란 === 2020년 4월 16일, [[https://twitter.com/chinese00000000/status/1250799821482426369|치아문 시리즈의 원문 소설에 혐한적 묘사가 발견되었다]]는 제보가 올라와 화제가 되었다. 해당 제보에 따르면 치아문 시리즈는 작중에서 [[장나라|한국 연예인]]을 "[[빵즈]]"라고 지칭하거나, "많은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우고 있다"는 대사와 함께 "[[단오절]]을 우리에게 돌려달라,[* 중국에서는 한국의 [[단오]]제가 세계무형문화유산과 국내 무형문화재에 지정된 것을 두고 "중국의 단오절을 훔쳐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중국의 단오와 한국의 단오는 한자만 같을 뿐 전혀 다른 유래의 풍습이다. 그리고 무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재에 등재된 것은 "단오절"이라는 명절 그 자체가 아니라 단오절에 하는 "단오제"라는 한국의 전통 행사다. 중국에는 그 둘을 구분 못한 선동이 많이 퍼져있다.] 그렇지 않으면 [[쭝쯔]]로 네 목을 막히게 해 죽게 할 것이다"라는 등장인물의 생각을 적나라하게 묘사해놓는 등 혐한적인 묘사가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작가의 [[웨이보]]에서도 한국의 탁구팀을 두고 "빵즈"라고 표현한 것이 포착되어, 작중의 혐한적 묘사가 단지 작품 내의 캐릭터성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사상이 들어간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상의 혐한적 묘사들은 한국어 출판본에서는 모두 삭제되었다.[* 이 작품을 일본의 혐한 작품에 비유하면, 작중 등장인물들의 [[조센징]], [[춍]] 등 혐한 묘사가 한국어 번역본에서 삭제되었다가, 뒤늦게 발견된 것으로 생각해 보면 된다.] 리메이크를 앞두고 한국에서 이게 논란이 되자 작가는 '빵즈가 욕인지 몰랐다. 한국인들이 옥수수를 좋아해서 그렇게 부르는 줄 알았다'는 말도 안 되는 변명을 대며 사과문을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3383337|썼지만]] 앞서 얘기했듯이 [[혐한/중국|단오 드립]]도 쳤던 걸 보면 정확히 알고 욕으로 쓴 것이다. [[분류:치아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