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원도의 고속도로 휴게소)] ||<-3> {{{#0047A0 {{{+1 '''치악휴게소'''}}}[br]{{{-2 '''雉岳休憩所 / Chiak Service Area'''}}}}}} || || [[삼락IC|{{{#!html부산 방면}}}]][br][[신림IC]][br]← -.- k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중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5.svg|height=23]]{{{#!html
중앙선}}}]]'''{{{#0047a0 {{{+1 SA}}}}}}'''}}} || [[춘천IC|{{{#!html춘천 방면}}}]][br][[남원주IC]][br] -.-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치악휴게소,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 부산 방향 ||<-2>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원주)|신림면]][br]치악로 416 (금창리 550) || || 춘천 방향 ||<-2>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원주)|신림면]][br]다리실2길 32 (금창리 500) || ||<-3> {{{#fff '''운영'''}}} || ||<-3> 대현유통 || ||<-3> {{{#fff '''개장'''}}} || ||<-3> [[1995년]] [[8월 29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160418020246468_thumb_1024_w.jpg]]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원주)|신림면]]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 상에 양방향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험준한 [[치악산]] 자락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원주 기준으로 여러 [[터널]]과 교량을 통과하여 도달하는 가리파재(치악재) 정상에 위치한 휴게소이다. 산악지대라 [[중앙고속도로]] 밑 [[5번 국도]] 치악재 정상(해발 450m)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 새벽에 오면 진짜로 춥다. 물론 [[5번 국도]] [[죽령]]휴게소(해발 696m) 보다는 따뜻하다. 치악휴게소 바로 아래에는 치악재 정상이 있는데 5번 국도를 타다 보면 450m라고 돼 있고 치악휴게소가 있는 곳은 5번 국도 치악재 정상[* [[5번 국도]] 치악재 구간 정상에서 다리실2길이라는 샛길이 하나 있는데 이게 치악휴게소로 들어오는 진입로(통칭 뒷길)다.]보다 약간 높은 곳이라 약 470m 정도 된다. 춘천 방향 휴게소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다리실2길 32에 위치해 있고, 대구 방향 휴게소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치악로]] 416에 위치해 있다. 대구 방향 치악휴게소는 [[5번 국도]]변에 바로 붙어 있어 국도 쪽에 차를 대고 몸만 고속도로(휴게소 뒷길)로 넘어와서 치악휴게소(주로 의류매장)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춘천 방향 치악휴게소로 오려면 치악재 정상에서 다리실2길이라는 샛길을 찾아 쭉 들어가면 뒷길로 연결된다. 대구 방향 휴게소가 [[1995년]] 중앙고속도로 개통 당시 먼저 만들어졌고, 춘천 방향 휴게소는 [[2001년]] 추가됐다. 1995년~2001년까지는 치악휴게소가 평면교차로였어서, 춘천방향 이용 차량은 그냥 고속도로 상에서 [[비보호 좌회전]]을 해서 휴게소에 들어오고 나갔다. == 시설 == [[파일:민족통일의길.jpg]] 대구방향 휴게소에 [[1995년]] 당시 [[김영삼]] [[대한민국 대통령]]이 새긴 "민족[[통일]]의 길"이라는 표지석이 서 있다. [[단양팔경휴게소]]는 춘천 방향 휴게소에 사람이 많고 시설이 잘 돼 있지만, 치악휴게소는 반대로 대구 방향 휴게소가 사람이 많고 시설이 더 잘 돼 있다. 치악휴게소 대구 방향 휴게소는 휴게소에 옷가게까지 있다. 1995년 남원주 - 제천 구간이 개통할 때 함께 지어진 휴게소이며, 일반적인 휴게소보다는 작고 아담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주유소는 [[알뜰 주유소]]이며, [[셀프 주유소]]는 아니지만 2014년 5월 기준으로 기름 값은 서울 평균 기름 값보다는 싼 편에 속한다. 크기는 작아 보이지만, 차량은 24시간 항상 많은 편이다. 원주-제천 구간을 매일 오가는 통근객이 상당하기 때문에 남원주-제천 사이에 있는 이 휴게소에 사람이 몰리는 것이다. 실제로 [[제천IC]] 남쪽으로 가면 [[남제천IC]]까지는 차량이 없어 텅텅 비어있다. 휴게소 규모는 [[중앙고속도로]]가 보통 때는 그렇게 많은 사람이 몰리는 구간은 아닌 만큼 그리 큰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있을 것은 다 있다. 커피전문점도 [[할리스]]로 나름대로 제대로 된 것이 들어와 있다. 적어도 커피 한 잔을 하면서 일행과 휴식을 취하기엔 전혀 부족함이 없다. 이 휴게소의 특징이라면 착한 가격 제품을 공개하고 있다는 것. 몇 가지 상품은 아니지만, 다른 휴게소보다 조금은 싸게 파는 것들을 적어 놓았다. 대표적인 상품이 라면. 2014년 5월 기준으로 [[라면]](떡라면)은 한 그릇에 3,000원이다. 보통 [[고속도로 휴게소]]의 라면이 3,500원부터 시작하는 것을 생각하면 저렴한 편. 또한 휴게소의 음식은 각 카운터에서 따로 주문을 받고 결제를 하는 구조인 만큼 일행이 여러 종류의 식사를 주문할 때는 조금 불편하다. 그리고 생수도 600원으로 비싸다. 2014년 11월 10일 낮 12시 10분 경 [[춘천IC|춘천]] 방향 휴게소 편의점에서 방화 사건이 일어났다. 용의자인 김모(33)씨의 승용차에는 20L 휘발유 10개를 싣고 있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하행선(대구 방향)으로 계속 내리막길을 타고 내려가다보면, [[https://youtu.be/6-Pd-by5cWs|뜬금없이 장윤정의 어머나 첫 소절이 들린다.]] 대구 방향으로 치악 휴게소를 지나서부터 내리막구간이 길고, [[중앙고속도로]] 특성상 과속이 잦기 때문에 과속하지 말라는 경고의 의미인듯. 2020년 12월 중순에 춘천 방향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번호: 4019-167) 제품은 현대엘리베이터 제품이다. 춘천 방향으로 치악휴게소를 지나면, [[남원주IC|남원주 나들목]]까지 [[구간단속]]이 시행된다. 이 구간은 [[2016년]]까지만 해도 최고속도제한이 80km/h였다.[* 구간단속을 도입하면서 100으로 상향되었다. 반면 유사한 사례였던 [[영동고속도로]] 횡성휴게소~새말IC 구간은 뒤이어 구간단속을 도입했음에도 제한속도를 80km/h로 유지했다. 여담이지만 지도상에선 커다란 곡선을 그리며 급격하게 내려가는 영동고속도로 해당구간에 비해서 치악휴게소~남원주IC 구간은 상대적으로 쭉 뻗어 보이는데, 막상 실제로 달려보면 연이은 터널에 반복되는 짧은 커브들로 인해 별반 차이가 없다고 여기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새말-횡성휴게소 구간은 그나마 노반이지만, 치악휴게소-남원주 구간은 '''그냥 [[치악산]] [[절벽]] 그 자체'''다. '''[[원주대교]] 추락 사망사고'''가 1년에 1~2건 씩 접수되는 무서운 구간이다. 여러모로 악명 높은 요주의 구간.]대신 반대로 대구 방향으로는 [[신림IC|신림 나들목]]에서 [[제천IC|제천 나들목]]까지가 구간단속 구간이다. == 기타 == [[관설IC]]가 춘천 방향으로만 진출입 램프가 생기게 되면서, 대구 방향으로 진출입 램프를 만들기 위해 치악휴게소에 춘천 방향 진출, 대구 방향 진입이 가능한 하이패스 나들목을 추가하는 구상안이 나온 바 있다. [[5번 국도]] 원주 - 신림 - 제천 구간에 대해 [[중앙선]] [[철도]] 폐선부지를 잡아 먹으면서 [[2023년]] 현재 왕복 2차로에서 왕복 6차로로 확장하는 공사를 하고 있는데, 5번 국도 치악재 정상으로 연결되는 나들목을 만들자는 것이다.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앙고속도로의 구간)] [[분류:중앙고속도로]] [[분류:고속도로 휴게소]] [[분류:원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