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메리카의 국가별 여권)] [include(틀:칠레 관련 문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transparent 95%, #d72b1f 95%, #d72b1f), linear-gradient(90deg, transparent 1%, #fff 1%, #fff)" {{{#000 {{{+2 '''칠레 공화국 여권''' }}}[br]{{{-1 Passport of Republic of Chile[br]Pasaporte de la República de Chile}}}[br][[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width=28]]}}}}}}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칠레 여권 표지.jpg|width=100%]]}}}|| || '''{{{#fff 발급 국가}}}''' ||[[파일:칠레 국기.svg|width=28]] [[칠레]] || || '''{{{#fff 발급 기관}}}''' ||[[파일:칠레 국기.svg|width=28]] [[칠레|칠레 외무부]] || || '''{{{#fff 제작 기관}}}''' ||IDEMIA || || '''{{{#fff 영어}}}''' ||'''Passport of Republic of Chile'''[br]Chilean passport || || '''{{{#fff 스페인어}}}''' ||'''Pasaporte de la Republica de Chile'''[br]Pasaporte chileno || || '''{{{#fff 한국어}}}''' ||'''칠레 공화국 여권'''[br]칠레 여권 || || '''{{{#fff 비자 현황}}}''' ||'''''' || [[https://chile.gob.cl/corea-del-sur|주한 칠레 대사관 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칠레의 여권이다. == 상세 == * 2003년부터 MRP, 2013년 9월 2일부터 전자여권이 발급되었다. * 2020년 2월 1일부터 10년 여권이 발급된다. * [[메르코수르]] 준회원국인만큼 남미대륙 대부분은 여권 없이 [[칠레 신분증]]만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신분증에 대놓고 전자여행문서 마크가 달려있다. * 각 항목에는 영어가 병기되어 있지만, 날짜만큼은 [[스페인어]]로만 표기돼 있다. 비슷한 영어와 닮았기에 그리 혼란이 크진 않지만, 처음 보면 당혹할 수 있다. * 한국의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RUN이 적혀있다. * 러시아와 미국을 동시에 무비자로 갈 수 있는 여권으로 유명하지만,[* 전세계 4개국만 이게 가능하며, 나머지 셋은 [[브루나이]], [[이스라엘]]와 '''[[대한민국]]'''이다. 그리고 이스라엘은 2023년도 11월 부터 미국 무비자 대상에 포함되었다.] 중국의 L/F/M/Q2/S2 비자 또한 특급을 사증비용 없이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수료는 별도다. * 선진국 중에서는 [[호주]] 혼자서만이 유일하게 비자를 요구한다. === 발급 === * 7 영업일 소요된다. * 재외공관 경유시 6주 소요된다. * 수수료는 32페이지 {{{CLP $89.660}}}, 64페이지 {{{CLP $89.740}}} 부과된다. 한화로 120원 정도 차이난다. * 재외공관 발급 수수료가 {{{US$3}}}로 매우 싸면서도 저렴하다. 단, 정확한 금액은 발급 시점에 고지해준다. 급행을 추가하면 {{{US$20}}}다. == 내부 == [[분류:칠레]][[분류:칠레의 외교]][[분류: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