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SilentDoom-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침묵하는 망자''' (원작)[br]'''침묵의 죽은자'''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일어판 명칭 ||'''[ruby(黙, ruby=もく)]する[ruby(死者, ruby=ししゃ)]'''|| || 영어판 명칭 ||'''Silent Doom'''|| ||<-2> 일반 마법 || ||<-2>자신의 묘지에 있는 몬스터를 수비 표시 상태로 필드에 되돌린다. 공격은 봉인된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이시즈 이슈타르]]와의 본선 듀얼 중 사용. 묘지의 [[가제트 솔저]]를 소생시킨 뒤 '''[[오벨리스크의 거신병]]과 함께''' [[푸른 눈의 백룡]]의 소환 제물로 바치는 데에 사용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등장 빈도가 늘어나 [[다츠]]나 [[어둠의 바쿠라]]와의 듀얼에서도 사용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 때부터 현 OCG의 일러스트가 사용되었지만 효과는 원작판을 적용한 듯 일반 몬스터가 아닌 몬스터도 소생시켰다. 또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 그랑프리 편|KC 그랑프리 편]]에서는 [[레베카 홉킨스]]가 [[비비안 웡]]과의 듀얼에서 [[화염의 프린세스]]를 소생시키는 데에 사용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부터는 OCG 사양으로 등장하며, [[마에다 하야토]]가 아버지 [[마에다 쿠마조]]와의 듀얼 중 사용한 것을 필두로 [[유우키 쥬다이]], [[만죠메 쥰]] 등 다양한 듀얼리스트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온다. 다만 어쩐지 DM 때와 마찬가지로 일반 몬스터가 아닌 효과 몬스터를 소생시키기도 한다. [[유희왕 R]]에서는 [[텐마 야코]]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 [[사신 아바타]]의 제물을 확보하는 데에 사용했다. 이 때 어쩐지 유우기가 [[오시리스의 천공룡]]의 소뢰탄 효과를 발동하지 않는 오류가 있었다.~~[[시간의 기계-타임머신|되돌린다라서?]]~~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黙する死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침묵의 죽은자, 일어판 명칭=(もく)する死者(ししゃ), 영어판 명칭=Silent Doom,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5]]에 등장. 원작과는 달리 [[일반 몬스터]] 전용 소생 카드가 되었다. [[죽은 자의 소생]]의 하위 호환이자 [[추억의 그네]]의 상호 호환, 드래곤족 한정이긴 하지만 [[은룡의 굉포]]의 하위 호환. 일반 몬스터 주축 덱들 중 웬만한 이름이 알려진 덱들 상당수는 전용 소환용 효과를 잔뜩 갖춰둔 덕에 채용 우선도가 높진 않으며, 카드군 지원을 못 받는 일반 몬스터들을 모아둔 덱들에서 상기 카드들과 차별화해야 할 때 주로 채용한다. 추억의 그네와는 달리 소생한 몬스터는 공격이 불가능하다는 제약이 있으며, [[절대 마법 금지구역]]을 깔아도 공격하지 못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보통 일반 몬스터를 채용하는 이유는 어태커로 쓰기 위해서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그 최대의 존재의의를 빼앗아버리는 이 카드는 추억의 그네에 비해 우선적으로 쓰기 힘들다. 그러나 이쪽은 엔드 페이즈에 자멸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서 벽으로는 사용할 수 있으며, 어차피 공격을 할 일이 없는 [[천년(유희왕)|천년 방패]]나 [[네오 물의 조종자]]같은 카드들이라면 이쪽이 더 잘 어울릴 수도 있다. 그렇게까지 하기엔 좀 낭비가 심하지만, [[달의 서]]로 몬스터를 뒤집었다가 반전 소환하면 공격도 가능해진다. 불러온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소재로 바로 써버릴 거라면 문제가 없으므로 이럴 때 사용해도 된다. 다만 이 경우는 그냥 추억의 그네를 써도 되므로 혹시 중간에 방해를 받았을 때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나 이 카드를 쓰게 된다. [[듀얼(유희왕)|듀얼]] 몬스터하고 활용할 경우 그냥 일반 몬스터들에 비해 상성이 좋은데, 효과 몬스터로 쓰려면 필드에 올라온 상태에서 일반 소환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반 소환권을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블레이즈윙 버터플라이 윌프스]]나 [[다크 발키리어]], [[미래 사무라이]], [[에볼텍터 슈발리에]], [[듀어라이즈 로드-골드나이트]] 같은 몬스터들이라면 수비 표시로도 충분히 제 할 일을 할 수 있고 다음 턴에 맞아죽을 것 같을 때는 [[듀얼 스파크]]의 탄환으로 써버리던가, [[이중의 함정 속으로]]를 걸어버리면 된다. 듀얼 스파크는 쓸 수 없지만 [[기가플랜트]], [[마족소환사]], [[지옥의 문지기 일 블러드]]같은 [[리크루트]]계 상급 듀얼 몬스터들도 마찬가지. 다만 상기한 [[달의 서]]와는 카드의 특성 상 좀 맞지 않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3-05-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E5-009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5 - 海馬パッ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9-06-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7-JP023 | [[전사의 일격|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ウォリアーズ・ストライ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6-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KS-JP026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瀬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SD1-JP015 | スピードスタートデッキ - リンク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43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7-11-1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LAS-EN094 | '''[[검투사의 급습|GLADIATOR'S ASSAUL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9-10-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WS-EN020 | [[전사의 일격|WARRIORS' STRIKE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JW-EN071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1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KR-EN039 | [[스타터 덱|STARTER DECK KAIBA RELOADE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K2-ENK25 | LEGENDARY DECKS I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KS-EN024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SETO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101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6-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7-KR023 | '''[[전사의 일격|스트럭처 덱 - 전사의 일격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KS-KR026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카이바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5-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SD1-KR015 | 스피드 스타터 덱 - 링크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파일:黙する死者(23PR).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침묵의 죽은자 (미발매), 일어판 명칭=(もく)する死者(ししゃ), 영어판 명칭=Silent Doom (미발매),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앞면 표시인 동안\, 공격할 수 없다.)] 단순히 쓰자니 수비 표시라서 공격이 불가능하므로 벽이나 릴리스 용도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럴 바엔 하급 일반 몬스터를 더 넣는 편이 회전률도 좋으니 이 카드만이 선보일 수 있는 용도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첫번째로는 소재 확보가 있겠다. 레벨 5 이상의 일반 몬스터를 이 카드 하나로 꺼내게 해주니 어드밴스 소환보다도 소비가 적어진다. [[화면특인 미소인스턴트]]나 [[용기사 가이아]] 같은 몬스터를 쓸 경우 그 소재인 최상급 몬스터를 소생시켜줄 수 있다는 점은 [[스타 리스타트]]에게도 없는 장점이 된다. 두번째로는 서포트 카드가 많은 일반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용도가 있다.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을 조건으로 요구하는 [[멸망의 폭렬질풍탄(유희왕 러시 듀얼)|멸망의 폭렬질풍탄]]이나, [[CAN:D]]를 요구하는 [[CAN:D#JAM:P 스타트!|JAM:P 스타트!]], [[CAN:D#JAM:P 체크!|JAM:P 체크!]]처럼 다른 몬스터로 대체할 수 없는 카드를 서포트해줄 것이다. 특히 레전드 카드는 재활용하기도 어려우니 서포트 카드가 못 쓰고 남아도는 것을 막아준다. 문제는 일반 몬스터에겐 이미 다른 소생 카드가 많다는 것. 레벨 5 이하는 [[스타 리스타트]], 레벨 7은 [[시크릿오더]]를 쓰는 편이 디메리트도 없이 부차적인 요소를 뽑아낼 수 있다는 면에서 더 우수하다. 여기에 드래곤족 한정으로는 표시 형식을 따지지 않는 [[은룡의 굉포]]도 있으므로, 이들과 차별화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가령 이들과 하나도 대응되지 않는 레벨 6의 [[데몬 소환(유희왕 러시 듀얼)|데몬 소환]] 정도가 있을 것이다. 그밖에도 최상급 몬스터와 상급 / 하급 몬스터를 소재로 삼는 조합의 덱이라면 이 카드로 부족한 쪽을 소생시켜줄 수 있으니 유연성이 올라간다. 키 카드를 빨리 꺼내기 위해서라면 상술한 소생 카드들로도 모자라다 싶을 때 같이 써주는 것도 좋다. [[유희왕 SEVENS]] 6화에서 [[오오모리 멘자부로]]가 패 코스트로 묘지로 보낸 카드로 등장. 작중 직접 사용되지는 않았다. 이후로는 작중 일절 등장하지 않았으며, 공개된지 약 2년 반이 지나서야 실물 카드로 발매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22-12-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23PR-JP004 | '''[[프로모션 팩|プロモーションパック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09-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D0A-JP033 | [[궁극의 푸른 눈 전설(스트럭처 덱)|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究極の青眼伝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추억의 그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