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도시철도)] [[파일:Qingdao Metro map.png]] ||<-2> '''{{{+1 青岛地铁}}}'''[br]Qingdao Metro[br]칭다오 지하철 || ||<-2> [[파일:칭다오 지하철 로고.svg|width=150]] || || '''지역'''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 '''구성 노선''' ||{{{#EAAA00 ●}}} [[칭다오 지하철 1호선]][* 칭다오 지하철 7호선 1구간도 여기에 포함된다.] {{{#AF272F ●}}} [[칭다오 지하철 2호선]] {{{#0057B8 ●}}} [[칭다오 지하철 3호선]] {{{#green ●}}} [[칭다오 지하철 4호선]] {{{#DF1995 ●}}} [[칭다오 지하철 8호선]] {{{#304399 ●}}} [[칭다오 지하철 11호선]] {{{#00AB84 ●}}} [[칭다오 지하철 13호선]]|| || '''총 연장''' ||284.3km|| || '''역 수''' ||총 138개[* 여객영업 미개시 역사 포함]|| || '''최초 개통일''' ||2015년 12월 16일|| || '''궤간''' ||1435mm|| || '''전기방식''' ||직류 1,500V [[제3궤조]] 집전|| || '''신호장비''' ||[[열차자동제어장치|ATC]]|| || '''통행방향''' ||[[우측통행|오른쪽]]|| || '''운영사''' ||칭다오지하철집단유한공사|| || '''외부 링크''' ||||[[https://www.qd-metro.com/|공식 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의 지하철이다. 현재 16호선까지 계획되어 있다. == 역사 == 칭다오 지하철은 '''[[중화권]]에 있는 지하철 중 최초로, 무려 [[1935년]]에 [[중화민국 국민정부|국민당 정부]]에 의하여 계획되었다!''' [* [[만주국]] 시절에 일본에 의해 제안되었던 [[선양 지하철|봉천]], [[창춘 궤도교통|신징]]의 지하철과 [[충칭 궤도교통|충칭]]의 고속 트램을 제외하고 [[중국]] 전체에서 처음 계획된 지하철이자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절에 처음 입안되었던 유일한 지하철이다.] 하지만 몇년 뒤 발발한 중일전쟁으로 인해 중국 전역이 전장이 되면서 계획은 실행되지 못했다. [[파일:칭다오노선도.jpg|width=50%]] [[1987년]], 칭다오 지하철의 재추진이 시작되었다. 칭다오시는 '2선 1환'(2개의 방사형 노선과 1개의 순환선)이라는 계획을 구상하였고, [[1991년]] 정부가 계획을 승인하였다. [[1992년]], 칭다오역이 칭다오 지하철 역사 중 최초로 공사가 시작되어 [[1995년]] 준공되었다. 중국 국철 [[칭다오역]]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는 겸, 향후 지하철 공사 시 다시 땅을 파헤치는 대공사를 없애기 위해 선시공을 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1호선 칭다오역은 기타 칭다오 지하철 역사들 보다 훨씬 기둥 갯수가 많다.] --하지만 [[2016년]] 개통한 [[칭다오 지하철 3호선|3호선]]은 해당 승강장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칭다오역]] 광장은 다시 파헤쳐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칭1시험선.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칭팡역.jpg|width=60%]]}}}|| || 칭다오 지하철 시험선의 착공 모습 || 시험선 중 일부인 칭팡이위앤역[* 흡사 [[신설동역/유령 승강장|신설동역 유령승강장]]과 비슷하다.] || [[1994년]], 칭다오지하철공사가 결성되면서 '4선 1환'으로 계획이 수정되었고, 동년 12월에 '''시험선'''[* 칭팡이위앤역(현 종신이위앤역) 및 남쪽으로 1km 방향의 지하선로]이 착공되어 [[1999년]] 완공하였다. 하지만 당시에는 베이징과 상하이, 충칭, 광저우, 선전 등 타 대도시 도시철도 건설로 인해 후순위로 밀려, 국가 고시에 의해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며 10년 넘게 지지부진하였다. 2008년 1월, 칭다오 지하철의 --재--재추진이 시작되었다. 칭다오시 제14회 인민대표회의에서 칭다오 도시철도 개공을 촉진하는 의안이 가결되었고, 이듬해 8월 또다시 국가 승인을 받고 2009년 11월 칭다오 지하철([[칭다오 지하철 3호선|3호선]])이 20년만에 착공하였다. 2015년 12월 16일, 북부구간(칭다오북역-솽산)이 정식 개통되었다.[[산둥성]] 내에서 최초로 개통한 지하철이다. 2016년 12월 18일, [[칭다오 지하철 3호선|3호선]] 나머지 구간(솽산-칭다오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3호선은 전 구간이 완전개통되었다. 2017년 12월 10일, 칭다오 지하철 2호선 동부구간이 개통하였다. 2018년 4월 23일, [[칭다오 지하철 11호선]]이 개통하였다. 하지만 최북단 역사인 아오산완역은 주변 기반시설 미비[* 염전 한가운데에 있다.]로 개통이 미루어졌다. 2018년 12월 26일, 칭다오 지하철 13호선이 개통하였다. 하지만 13호선의 조기개통과는 대조적이게 1호선은 개통이 계속 지연되면서 황다오구에 위치한 13호선은 3년간 기타 노선과 환승할 수 없는 독특한 구조가 형성되었다. 또 11호선과 13호선 두개의 교외노선의 개통으로 칭다오 지하철의 총 연장은 어마어마하게 증가하였고, 11호선 최동단 역사와 13호선 최서단 역사 간의 직선거리는 무려 130km이 넘는다. 2019년 12월 16일, 칭다오 지하철 2호선 서부구간이 개통하였다. 2020년 12월 24일, 칭다오 지하철 1호선 북부구간과 [[칭다오 지하철 8호선|8호선 북부구간]]이 동시에 개통하였다. 1호선은 한국인 [[교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청양구를 관통하고 있으며, 8호선은 새로 개항하는 [[칭다오 자오둥 국제공항]]을 잇는 노선이며 칭다오만 해저를 지나간다. 2021년 12월 30일, 칭다오 지하철 1호선 남부구간이 개통하였다. 이 구간은 [[자오저우만]]을 관통하고 동서 양안을 잇기 때문에 칭다오 지하철 중 가장 중추적인 구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칭다오시]]의 오랜 숙원사업이었으며, 긴 터널을 버스로 통근하는 직장인들의 피로를 크게 완화하였다. 2022년 9월 1일, 칭다오 지하철 4호선 전구간의 시험운행이 시작되었다. 만약 운행이 차질없이 타 노선과 비슷하게 진행된다면 12월 25일 전후로 완전 개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노선은 칭다오시 도심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기존에 개통했던 남북 노선들을 연결하는 역할이 크다. 2022년 12월 26일, 칭다오 지하철 4호선이 개통하였다. == 운임 == 다른 지역과 비슷하게 부분적인 구간+거리비례제로 운영되고 있다. 5km 이하의 '''기본운임은 2위안'''이며, 10km 이하 3위안, 17km이하 4위안, 27km이하는 5위안, 38km이하는 6위안이다. 38km 이상부터는 매 20km 당 1위안씩 증가하며, 노선도에서 가장 멀리 이동했을 때 '''최대 운임은 13위안이다. ''' === 무임승차 대상 === 1.2미터 이하의 성인보호자와 동반한 아동(1.2미터 이상은 반값) 인민해방군, 무장경찰, 소방관, 장애인, 상이군인의 증명서를 보유한 자 65세 이상의 노인(칭다오시 친다오통 노인탑카드를 발급받아야 함.)(60세~64세는 반값) == 교통카드 == === 친다오통(琴岛通 Qindao Tong) === 칭다오의 옛 명칭 琴岛(Qindao)을 따서 작명한 RFID 기반 교통카드로 칭다오시 산하기업에서 발행된다. 대학생을 포함한 학생들은 학생카드를 발급받을 시 50% 할인된 운임으로 대중교통을 이용 가능하며, 위에서 언급했듯 노인카드로는 한국처럼 무임승차가 가능하다. 교통카드로 이용한 금액이 일정범위에 따라 할인되는 폭이 다르며 월말에 초기화 된다. || 교통카드 이용금액대(월) || 할인율 || 비고 || || ¥100 미만 또는 ¥300 이상 || 10% || || || ¥100 초과 ¥200 미만 || 20% || || || ¥200 이상 ¥300 미만 || 30% || || == 노선별 분류 == === 운영중인 노선 === [include(틀:칭다오 지하철 노선)] || 노선명 || 최초 개통일 || 기점 || 종점 || 운영 길이(㎞) || 역수 || 비고 || ||{{{#EAAA00 ●}}} [[칭다오 지하철 1호선]][* 칭다오 지하철 7호선 1구간 포함. 7호선 나머지 구간이 완성되면 난링부터 둥궈좡까지는 완전히 7호선으로 편입되고 1호선 운영구간은 씽궈루까지 단축될 예정.] || 2020년 12월 24일 || '''왕자강역''' || '''둥궈좡역''' || 77.4 || 42 || || ||{{{#AF272F ●}}} [[칭다오 지하철 2호선]] || 2017년 12월 10일 || '''타이산루역''' || '''리춘공위엔역''' || 24.3 || 21 || || ||{{{#0057B8 ●}}} [[칭다오 지하철 3호선]] || 2015년 12월 16일 || '''칭다오역''' || '''칭다오베이역''' || 24.4 || 22 || || ||{{{#green ●}}} [[칭다오 지하철 4호선]] || 2022년 12월 26일 || '''런민후이당역''' || '''다허동역''' || 30.7 || 25 || || ||{{{#DF1995 ●}}} [[칭다오 지하철 8호선]] || 2020년 12월 24일 || '''쟈오저우베이역''' || '''칭다오베이역''' || 46.6 || 11 || || ||{{{#304399 ●}}} [[칭다오 지하철 11호선]] || 2018년 4월 23일 || '''먀오링루역''' || '''치엔구산역'''[* 실절적인 종점은 아오산완역이고 회차도 그곳에서 하지만 역사 주변이 허허벌판 염전이고 포장 도로가 연결되지 않아서 아직 여객영업을 하지 않는다. [[2023년]] 개통 예정. ] || 57.6 || 21 || || ||{{{#00AB84 ●}}} [[칭다오 지하철 13호선]] || 2018년 12월 26일 || '''징강산루역''' || '''둥자커우기차역''' || 66.8 || 21 || || === 건설중인 노선 === || 노선명 || 개통 예정연도 || 길이 || 역수 || 비고 || ||{{{#AF272F ●}}} [[칭다오 지하철 2호선]] 서연장구간[* 타이산루역-룬두역] || 2024년 || 3.8 || 3 || || ||{{{#AF272F ●}}} [[칭다오 지하철 2호선]] 동연장구간[* 리춘공원역-스보위안역] || 2026년 || 8.9 || 8 || || ||{{{#800080 ●}}} [[칭다오 지하철 5호선]] || 2028년 || 32.7 || 29 || || ||{{{#99CCFF ●}}} [[칭다오 지하철 6호선]] || 2023년 || 30.4 || 21 || || ||{{{#99CCFF ●}}} [[칭다오 지하철 6호선]] 연장구간[* 신뚠루역-칭다오시역]|| 2027년 || 14.7 || 10 || || ||{{{#BBB1D6 ●}}} [[칭다오 지하철 7호선]] 2구간[* 씽궈루역-취거좡역]|| 2027년 || 3.7 || 3 || || ||{{{#BBB1D6 ●}}} [[칭다오 지하철 7호선]] 3구간[* 둥궈좡역-잉푸루역]|| 2027년 || 12.8 || 11 || || ||{{{#DF1995 ●}}} [[칭다오 지하철 8호선]] 남부구간[* 칭다오베이역-우쓰광창역]|| 2023년[*연기 계획 상으로는 2023년 개통이지만 취거좡역이 창커우 공군기지 이전문제로 인해 아직 개공하지도 못해서 사실상 불가능하다. 당장 공사를 시작하고 무정차 통과시키더라도 최소 2026년.] || 16.2 || 7 || || ||{{{#DF1995 ●}}} [[칭다오 지하철 8호선 지선]] [* 다지옌역-자오저우역]|| 2027년 || 18.8 || 10 || || ||{{{#81C147 ●}}} [[칭다오 지하철 9호선]] [* 하이시촌역-꽁띠엔숴역] || 2028년 || 16.6 || 13 || || ||{{{#00AB84 ●}}} [[칭다오 지하철 13호선]] 2구간[* 샹쟝루역-쨔링쟝루역] || 2023년 || 2.8 || 2 || || ||{{{#FFC0CB ●}}} [[칭다오 지하철 15호선]] [* 시아왕푸역-스팡창역] || 2028년 || 30.8 || 17 || || === 계획중인 노선 === [[파일:external/www.travelchinaguide.com/qingdao-metro-planning.jpg|width=800]] [[분류:칭다오시]][[분류:중국의 도시철도]]|[[분류:둘러보기 틀/교통/중국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