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스트로네시아족)] [include(틀:동남아시아의 민족)] [[파일:카다잔두순1.jpg]] {{{+1 Kadazan-Dusun}}} [목차] == 개요 == [[말레이시아]]령 [[보르네오]] 섬 [[사바(말레이시아)|사바]]의 토착민족. 북보르네오에서 가장 흔한 두 민족인 카다잔인과 두순인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대략 56만명 정도가 살고 있고 [[카다잔두순어]]와 [[영어]]를 사용한다. [[영국]] 식민지 시절 영어를 배우며 자라난 나이든 세대는 지금의 젊은 세대보다 영어에 유창한 경우가 많다. 대부분이 [[기독교]] 신자지만 [[이슬람교]]와 [[애니미즘]]을 믿는 숫자도 꽤 된다. 이런 기독교적 성향 때문에 [[말레이시아]] 합병 이후 문화적, 정치적 탄압을 받아왔고 [[코타키나발루]]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잊을 만 하면 분리독립 이야기가 나온다. 그래도 본토 정부에서 완전히 남 취급하지는 않고 [[부미푸트라]]로 분류된다.[* 카다잔두순은 그나마 무슬림이 있어서 다약 보다는 나은 취급을 받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모모군, 두순, 카다잔, 오랑 숭가이, 무룻, 룬 바왕 등 여러 갈래의 부족이 있지만 보통의 경우 카다잔두순으로 통칭한다. 위에 나열된 부족들은 크게 탕가라족과 탕가라족이 아닌 부족(Non-Tangara)으로 나뉘어지곤 한다. == 명칭 == 카다잔이라는 이름은 연안 카다잔어로 땅의 사람들(People of the land)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두순은 사바 현지어가 아니라 [[말레이어]]로 [[과수원]]이라는 뜻이다. [[브루나이]] 사람들이 [[열대우림]]에 살던 토착민족을 구분해 부르는 용어가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공식적인 표기는 카다잔-두순도 맞고 카다잔두순도 맞다.[* 영문으로는 Kadazan-Dusun, Kadazandusun] 식민지 시절 서양인들이 전문적인 지식 없이 대충 퉁쳐부르다가 [[1960년대]]부터 부족들의 정치적 이해관계가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크게 네 갈래로 나뉘었는데 그게 바로 카다잔, 두순, 무룻, 룽구스. 이 중에서 무룻과 룽구스[* 본인들은 모모군이라는 명칭을 더 선호했다.]까지 만족시키는 용어가 네 민족의 앞글자를 딴 KDMR이다. 지금도 본토 [[말레이인]]과 구별하기 위해서 KDMR이라고 소개하는 젊은이들이 많다. == 종교 == 기독교가 74.8%로 가장 많고 이슬람교가 22.68%, 기타 토착종교가 0.09%, 나머지 1.83%는 종교가 없다. 이슬람국가인 말레이시아에서 이런 통계가 나오는 건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온 [[선교사]]들의 영향. [[분류:말레이시아의 민족]][[분류:오스트로네시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