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カードガード.jpg]] || 한글판 명칭 ||||||||'''카드 가드'''|| || 일어판 명칭 ||||||||'''カードガード'''|| || 영어판 명칭 ||||||||'''Card Guard'''||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1600 || 500 ||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이 카드에 가드 카운터를 1개 놓는다. 이 카드에 얹혀 있는 가드 카운터 1개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또한, 1턴에 1번, 이 카드에 얹혀 있는 가드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카드 1장에 가드 카운터를 1개 놓을 수 있다. 선택한 카드가 파괴될 경우, 대신에 가드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엑스트라 팩]] 3에 추가된 카드. 공격력은 1600이지만, 여기서 일반, 특수 소환시 가드 카운터라는 고유의 특수한 카운터를 올려놓는 것으로 1900이라는 하급 어태커로는 충분한 공격력을 얻는다.(이러한 효과를 가진 비슷한 유형의 카드로는 [[마도전사 브레이커]]가 있다.) 또한 가드 카운터가 있으면 1번만 파괴 내성을 얻을 수 있으며, 이 가드 카운터를 다른 카드에 옮겨놓음으로서 다른 카드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말그대로 카드를 가드하는 카드.) 일반 소환 등으로 카드 자신에게 얹은 카운터는 자신의 파괴를 막아주지 않는 것에 주의할 것. 옮긴 그 카드라고 한정하고 있기 때문. 다만 카드 가드끼리 서로 카운터를 주고받는다면 서로 파괴 내성이 생기며, 한쪽만 옮겨줄 경우 공격력이 추가로 300올라서 2200으로 만드는 것은 가능하다. 카운터를 다 사용한 카드 가드는 코스트로 쓰거나, [[강제 탈출 장치]]로 재활용해주자. 아니면 [[헤이트 버스터]]를 써놓고, 가드 카운터로 자신은 파괴를 회피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가드 카운터가 없으면 공격력이 내려가는지라, 카운터를 쓰고나면 전투능력이 저하되고, 수비력도 바닥이라 [[스텀블링]]같은거에는 쥐약에, [[리크루트]]로 가져오기도 힘들다. 또한 제외, 바운스에는 무력하다. [[베놈(유희왕)|베놈 스왐프]]같이 절대 파괴되어서는 안 될 앞면 표시의 마함을 지키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마법 카드의 경우 [[매직 가드너]] 쪽이 더 유용하다는 점은 알아둘 것. 원래 카드가드라는 이름은 [[포커]] 등을 할 때, 자신의 카드를 상대가 보지 못하게 하기 위해 위에 올리는 코인 같은 것을 뜻한다. 그러면서 동시에 언어유희도 된다. 아마 둘 다 노리고 이런 효과의 이런 카드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