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Quadrille''' [[프랑스]]를 중심으로 19세기에 유럽 전역에서 대유행했던 춤이자 춤곡. 다만 [[왈츠]]나 [[폴카]] 류와 달리, 짤막한 춤곡과 춤 여러 개를 연이어 연주하고 추는 연곡(메들리)이자 연무의 성격을 갖는다. 단어 자체는 [[프랑스어]]지만, 어원은 [[스페인어]]로 사각형을 뜻하는 쿠아드리요(cuadrillo)에서 파생되었다고 여겨진다. 춤도 네 명이서 사각형의 꼭지점을 만드는 식으로 대형을 짜서 추므로, 꽤 설득력있는 주장. [[영어]]권 국가에서는 '스퀘어 댄스(square dance)' 개념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 기원과 유형 == 다만 100% 프랑스 원산이라고 보기는 힘들고, 이웃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 시대에 유행한 희극 양식인 '콤메디아 델라르테' 의 가면극에서 추어진 잡다한 춤에 [[영국]]에서 유래한 콩트르당스(contredanse)를 비롯한 대중적인 춤곡 요소가 섞여들어가 탄생했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19세기 초반에는 [[요한 슈트라우스 1세]]와 [[요제프 라너]]를 비롯한 [[오스트리아]] 무도음악 작곡가들이 많이 작곡하고 연주하면서 프랑스 밖에서도 유행시키는데 성공했는데, 다만 오스트리아의 카드리유는 프랑스의 것과는 악곡 구성이나 댄스 스텝 등이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 악곡 구성 == 악곡 구성은 프랑스 카드리유가 다섯 곡, 오스트리아 카드리유가 여섯 곡인데, 한 곡 많은 오스트리아 것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늘어놓을 수 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 것도 각 섹션의 표기는 프랑스어를 그대로 따른다; 1. 팡탈롱 (Pantalon): 뜻은 '[[바지]]'. 2/4박자나 6/8박자 중 택일하며, 형식은 ABACA 복합 3부 형식을 취한다. 2. 에테 (Été): 뜻은 '[[여름]]'. 2/4박자로 고정되며, 형식은 ABA 또는 ABBA의 아치형 3부 형식. 3. 풀 (Poule): 뜻은 '암탉'. 6/8박자로 고정되며, 형식은 ABACABA 론도 형식. 4. 트레니스 (Trénis): 오스트리아 카드리유에만 있는 섹션. 당대 유명 안무가인 트레니츠가 창안해서 붙은 이름인데, 프랑스어로 음역해서 끼워넣었다. 2/4박자로 고정되며, 형식은 ABA 또는 ABBA의 아치형 3부 형식. 5. 파스투레유 (Pastourelle): 뜻은 '양치기 소녀'. 2/4박자로 고정되며, ABCBA 복합 3부 형식. 오스트리아 카드리유에서는 종종 생략되기도 한다. 6. 피날레 (Finale): 뜻은 '마침곡'. 2/4박자로 고정되며, AABBAA 2중 3부 형식을 취한다. 그리고 이 대목 전에는 반드시 두 마디의 인트로가 선행된다. 작곡가가 완전히 새로 창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기존의 노래나 기악곡, [[오페라]] 등의 무대 작품에 나오는 [[아리아]] 등의 멜로디를 빌려와 [[2차 창작]]하곤 한다. 그래서 카드리유 곡에서 종종 익숙한 독일 민요나 오페라 아리아 선율이 들려와도 [[표절]]이나 무단 도용이라고 보면 에러. 유럽 대륙 외에 이 춤곡의 태동에 어느 정도 기여한 콩트르당스 원산지 영국에서도 마찬가지 인기를 누렸는데, 빅토리아 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엠마(만화)|엠마]]의 3권에서도 묄더스 집안 하인들이 반나절 휴가를 얻어 파티를 벌일 때 신청곡으로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대서양]] 건너 [[미국]]으로도 유입되었는데, 옛 프랑스 식민지였던 [[뉴올리언스]]의 [[크리올]]을 중심으로 '콰드릴(kwadril)' 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인기를 누렸다. 그리고 이 콰드릴은 흑인 음악과 유럽 음악의 요소가 교배된 [[래그타임]]의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단순한 춤곡임에도 꽤 이곳저곳에 영향을 준 흔적을 많이 찾을 수 있다. [[분류: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