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언라이트/캐릭터)] [[네이버]] [[소셜 게임]] [[TCG]] [[언라이트]]의 캐릭터.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Karenberg_P.jpg]] ||[[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Karenberg1.jpg|width=160]]||[[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Karenberg2.jpg|width=160]]||[[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Karenberg3.jpg|width=160]]||[[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Karenberg4.jpg|width=160]]||[[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Karenberg5.jpg|width=160]]|| ||[[파일:vw5HrIF.png]]||[[파일:KB5iFoY.png]]||[[파일:카렌r3.png]]|| || || || 이름 ||<-2> ''' 카렌베르크 ''' ||<|5><-2> 능력치 ||<-2> HP ||<-2> ''' 7 ''' || || 영문명 ||<-2> ''' Karenberg ''' ||<-2> 공격력 ||<-2> ''' 2 ''' || || 일문명 ||<-2> ''' カレンベルク ''' ||<-2> 방어력 ||<-2> ''' 9 ''' || || 중문명 ||<-2> '''凱倫貝克'''[* 칼룬븰크] ||<-2> 합계 ||<-2> ''' 18 ''' || || 별명 ||<-2> ''' Soloist'''[* 독주자] ||<-2> 코스트 ||<-2> ''' 11 ''' || || 생일 ||<-2> 수확의 달 5일[* 6월 23일. 노새(Mule)의 날] ||<-2> 혈액형 ||<-100> O형 || || 출신지 ||<-2> 그란데레니아 제국 ||<-2> 취미 ||<-100> 음악 || || 키 ||<-2> 173cm ||<-2> 몸무게 ||<-100> 57kg || || 페어 캐릭터 ||<-10> [[샬롯(언라이트)|샬롯]] || ||<-9> 프로필 || ||<-9> 영혼을 끌어들이는 바이올린을 가진 복수의 악마. 불사의 바이올린 연주자. || == 대사 == * '''"생과 사의 사이에 흐르는 선율. 들려줄게"''' * '''"모든 곡에 끝이 있듯이, 모든 생명에도 끝이 있다."''' * '''"감미로운 복수의 음색, 몇 번이고 들려주지."''' * '''"복수라는 것은 계속 반복되는 선율과 같은 것이야."''' * '''"현자는 연주하고, 바보는 듣는다. 그것이 우리들의 관계다."''' * '''"이 져지[* ザジ. 들고있는 바이올린의 이름.]의 음색, 당신에게 들려주지."''' (VS [[콥]] Lv.3~) * '''"비르기트, 너를 맞이하러 왔어."''' (vs [[비르기트]] Lv.1~) * '''"잘 지냈니? 샬롯."''' (vs [[샬롯(언라이트)|샬롯]] Lv.1~) * '''"오랜만이네, 샬롯."''' (vs [[샬롯(언라이트)|샬롯]]) * '''"네놈들에게 받은 져지의 음색으로 이번에야말로 멸망해라!"''' (vs [[구스타브(언라이트)|구스타브]], [[클로비스]]) * '''"그녀석에게 들려주지 못한 선율을 들려주지."'''(VS [[휴고(언라이트)|휴고]]) * '''"괴물에게도 이 선율은 울리는 걸까나?"'''(VS [[엡실론(언라이트)|엡실론]]) == 소개 == 대표적인 자괴 캐릭터. 스탯은 [[워켄]]을 연상시키는 공격력이 극도로 낮고 방어력이 높은 배치. 기대하기 힘든 주사위 대미지는 자괴를 걸어서 즉사 효과로 커버하고, 일정 턴이 경과되어야 발동한다는 자괴의 단점은 잔여 턴 수를 감소시키고 우수한 방어력과 회복력을 통해 버티는 것으로 해결한다. 낮은 공격력과 상대도 회복시켜버리는 힐 스킬로 인해 자괴가 원활히 걸리지 않는다면 장기전에 돌입할 가능성이 큰데, 이 경우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는 회복력과 4스킬의 마지막 턴 한정 압도적인 고정 대미지로 대처할 수 있다. 방어력과 체력이 얼마나 되든 무시하고 사망 선고를 내리는 자괴의 특성상 즉사 면역이 없는 일반 보스전에서 굉장히 큰 힘을 발휘한다. 천적은 상태이상을 해제하거나 역이용하는 캐릭터들. 또한 스킬들이 중원거리에 집중되어있어 근거리에선 힘을 못 쓰므로 2스킬을 잘 이용해야 한다. 상대편을 회복시키기 때문에 자잘한 고정 대미지를 주는 캐릭터와는 궁합이 안 좋으며, 자괴, 공포, 마비, 이동력 디버프를 걸거나 자괴의 잔여 턴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캐릭터, 또는 상대의 이벤트 카드 드로우를 방해해 성수를 봉쇄할 수 있는 캐릭터와 잘 어울린다. 거리 제한을 극복하려면 중원거리를 쉽게 잡을 수 있는 캐릭터나 근거리 전투에 능한 캐릭터와 동행시키는 것도 좋은 선택. 장기전에도 유리하다면 금상첨화다. [[바이올린]] 연주자라는 컨셉에 맞게 모든 스킬 발동 컷이 바이올린을 쥔 모습이며 배경에는 악보가 지나간다. 소개문에 악마라고 적혀있고 원화가는 트위터에서 이때문에 쿤과 마찬가지로 귀가 뾰족하다고 언급하기도 했으나, 프로필에는 혈액형이 기재(...)되어 있고 레어 일러스트에선 귀가 평범하게 둥근 모습이 보여 ~~진실은 미궁 속으로~~떡밥을 뿌린다. 5레벨의 일러스트에서 앉아있는 곳은 빌딩 [[옥상]], 장식물은 [[가고일]]이라고 한다. == 능력치 변화 == === 노멀 === ==== HP/ATK/DEF/소유 스킬 ==== || '''레벨''' || '''HP''' || '''ATK''' || '''DEF''' || '''소유 스킬''' || || '''1레벨''' || 7 || 2 || 9 || 종국의 왈츠 || || '''2레벨''' || 8 || 2 || 9 || 종국의 왈츠, 체념의 소나타 || || '''3레벨''' || 8 || 3 || 10 || 종국의 왈츠, 체념의 소나타, 검투사의 행진곡 || || '''4레벨''' || 9 || 3 || 10 || 종국의 왈츠, 체념의 소나타, 검투사의 행진곡 || || '''5레벨''' || 9 || 4 || 11 || 종국의 왈츠, 체념의 소나타, 검투사의 행진곡, 은원의 진혼곡 || ====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 || '''레벨''' || '''코스트''' ||<-6> '''이벤트 카드 슬롯''' || || '''1레벨''' || 11 || {{{#ffffff 파괴}}}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 '''2레벨''' || 14 || {{{#ffffff 방어}}} || {{{#ffffff 파괴}}}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 '''3레벨''' || 19 || {{{#ffffff 방어}}} || {{{#ffffff 파괴}}}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 '''4레벨''' || 19 || {{{#ffffff 방어}}}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 '''5레벨''' || 21 || {{{#ffffff 방어}}}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무속성 || 무속성 || 무속성 || * 속성이 없는 이벤트 카드는 여섯 슬롯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다. === 레어 === ==== HP/ATK/DEF/소유 스킬 ==== || '''레벨''' || '''HP''' || '''ATK''' || '''DEF''' || '''소유 스킬''' || || '''R1레벨''' || 9 || 3 || 10 || 종국의 왈츠, 체념의 소나타, 검투사의 행진곡, 은원의 진혼곡 || || '''R2레벨''' || 9 || 4 || 11 || Ex종국의 왈츠, 체념의 소나타, 검투사의 행진곡, 은원의 진혼곡 || || '''R3레벨''' || 10 || 5 || 11 || Ex종국의 왈츠, Ex체념의 소나타, 검투사의 행진곡, 은원의 진혼곡 || || '''R4레벨''' || 11 || 6 || 12 || Ex종국의 왈츠, Ex체념의 소나타, Ex검투사의 행진곡, 은원의 진혼곡 || ====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 || '''레벨''' || '''코스트''' ||<-6> '''이벤트 카드 슬롯''' || || '''R1레벨''' || 21 || {{{#ffffff 방어}}} || 총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무속성 || 무속성 || || '''R2레벨''' || 22 || {{{#ffffff 방어}}} || 총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무속성 || 무속성 || || '''R3레벨''' || 23 || {{{#ffffff 방어}}} || 총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무속성 || || '''R4레벨''' || 26 || {{{#ffffff 방어}}} || 총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ffffff 파괴}}} || 무속성 || == 스킬 == [[파일:attachment/KarenbergL1S.jpg]] || '''1레벨 스킬''' ||<-3> '''종국의 왈츠''' || || '''발동 거리''' || 원거리 || '''발동 페이즈''' || 공격 페이즈 || || '''필요 카드''' ||<-3> 검3↑, 총3↑ || || '''효과''' ||<-3>ATK+5. 대전 상대를 (Lv1~2) 6턴 → (Lv3~) 5턴동안 "자괴[* 지정된 턴이 다하면 자동으로 사망하는 상태이상]". 대전 상대가 "자괴"일 때, 나머지 턴을 3 단축한다.|| || '''설명''' ||<-3>종국으로 치닫는 곡조는 적대자의 골수를 녹인다.|| || '''레어 2레벨 스킬''' ||<-3> '''Ex종국의 왈츠''' || || '''발동 거리''' || 중/원거리 || '''발동 페이즈''' || 공격 페이즈 || || '''필요 카드''' ||<-3> 검3↑, 총3↑ || || '''효과''' ||<-3>ATK+5. 대전 상대를 5턴동안 "자괴". 대전 상대가 "자괴"일 때, 나머지 턴을 3 단축한다.|| || '''설명''' ||<-3>종국으로 치닫는 곡조는 적대자의 골수를 녹인다.|| 카렌베르크의 코어 스킬. 레벨 3 기준으로 이 스킬을 한 캐릭터가 연속으로 맞았다면 그 캐릭터는 다음 이동턴에 죽는다(...). 상대에게 자괴를 걸 수 있는 캐릭들과 연계해서 사용하기에도 좋다. 공격력 증가치는 카렌베르크의 기본 공격력이 워낙 낮아 별 의미가 없다. 대처법은 공격스킬 자체를 봉쇄하는 캐릭터나 성수, 상태이상을 해제할 수 있는 캐릭터(마르세우스, C.C.), 혹은 근거리를 쉽게 잡을 수 있는 캐릭터. 정 안 되겠으면 극딜 캐릭터를 꺼내자. 주사위가 굴러간 뒤에 자괴가 걸리거나 턴 수가 줄어드므로 [[쉐리(언라이트)|인형]][[도니타|들]]이 미스핏으로 자괴에 걸렸다면 곧바로 사망이다. Ex 스킬이 되면 거리 제한이 중원거리로 늘어나 카렌베르크의 활동 영역이 크게 넓어진다. 공증은 그대로지만 어차피 밥줄은 자괴이니 상관 없다. 그에 비해 코스트는 1밖에 안 늘기 때문에 효율도 좋다. [[파일:attachment/KarenbergL2S.jpg]] || '''2레벨 스킬''' ||<-3> '''체념의 소나타''' || || '''발동 거리''' || 근/중거리 || '''발동 페이즈''' || 이동 페이즈 || || '''필요 카드''' ||<-3> 특수1↑, 이동1↑ || || '''효과''' ||<-3>MOV+1. 대전 상대가 전진 또는 후퇴를 선택하고 있지 않을 때, 대전 상대를 3턴간 "봉인[* 스킬을 발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상태이상.]"|| || '''설명''' ||<-3>자포자기의 전율은 상대의 증오를 자신에게 향하게 한다.|| || '''레어 3레벨 스킬''' ||<-3> '''Ex체념의 소나타''' || || '''발동 거리''' || 근/중거리 || '''발동 페이즈''' || 이동 페이즈 || || '''필요 카드''' ||<-3> 특수1↑, 이동1↑ || || '''효과''' ||<-3>MOV+1. 대전 상대가 전진 또는 후퇴를 선택하고 있지 않을 때, 대전 상대를 5턴간 "봉인[* 스킬을 발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상태이상.]"|| || '''설명''' ||<-3>자포자기의 전율은 상대의 증오를 자신에게 향하게 한다.|| 이동력 증가 효과로 중원거리를 잡는 데 도움을 주며, 굉장히 긴 봉인의 위협으로 상대방이 교체와 회복을 못하게 만든다. [[워켄]]의 침술과 비슷하게 선봉에 내세워서 상대의 행동을 제약할 수 있다. 이 스킬을 상대할 경우, 이동 카드를 내지 않아도 화살표만 누르면 봉인은 안 당한다. 사용 조건이 안 되거나 스킬을 발동하기엔 패 손실이 크다 싶을 경우 조건에 맞는 카드 대신 다른 카드를 두 세 장 냄으로써 심리전을 걸 수도 있다. [[그룬왈드]]의 정신력 흡수와 같은 운용법. [[마르세우스]]의 흰 까마귀와 붙을 경우, 발동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호스트 클라이언트에 관계없이 무조건 소나타가 먼저(이동 전), 흰 까마귀(이동 후)가 나중에 발동된다. 2014년 2월 18일 패치로 스킬명이 수정되었다. 수정 전 이름은 '자포자기의 소나타'. 뜻 자체는 비슷하지만 어감상 좋지 않아 바꾼 듯하다. 원문은 '자기의 소나타'. 2016년 9월 21일 패치로 이동카드 요구량이 1 줄었다. [[파일:attachment/KarenbergL3S.jpg]] || '''3레벨 스킬''' ||<-3> '''검투사의 행진곡''' || || '''발동 거리''' || 중/원거리 || '''발동 페이즈''' || 방어 페이즈 || || '''필요 카드''' ||<-3> 특수2↑, 방어2↑ || || '''효과''' ||<-3>(Lv3~4) DEF+7 → (Lv5) DEF+8. 적과 아군 전체의 HP를 1 회복하고, 현재의 턴 수가 많을수록 아군의 HP 회복량이 상승.|| || '''설명''' ||<-3>검투사의 몸짓은 전의를 상승시킨다.|| || '''레어 4레벨 스킬''' ||<-3> '''Ex검투사의 행진곡''' || || '''발동 거리''' || 중/원거리 || '''발동 페이즈''' || 방어 페이즈 || || '''필요 카드''' ||<-3> 특수2↑, 방어3↑ || || '''효과''' ||<-3>'''DEF+14.''' 적과 아군 전체의 HP를 1 회복하고, 현재의 턴 수가 많을수록 아군의 HP 회복량이 상승.|| || '''설명''' ||<-3>검투사의 몸짓은 전의를 상승시킨다.|| 턴 수에 따른 아군의 HP 회복량은 다음과 같다. Ex검투사의 행진곡도 회복량은 동일하다. * 1~6턴일 때 HP+1 * 7~12턴일 때 HP+2 * 13~18턴일 때 HP+3 회복 능력도 방어 증가치도 우수하지만 상대도 회복시켜준다는 것이 단점. 그나마 상대의 회복량은 늘어나지 않는 게 다행이다. 평범하게 쓴다면 효과는 뛰어나지만 페널티가 있는 회복&방어 스킬. 만약 상대가 C.C.라면 실버머신 → 검투사의 행진곡을 끝 없이 반복하는 지옥을 보게 된다(...). [[파일:attachment/KarenbergL5S.jpg]] || '''5레벨 스킬''' ||<-3> '''은원[* 은혜와 원한]의 진혼곡''' || || '''발동 거리''' || 중/원거리 || '''발동 페이즈''' || 공격 페이즈 || || '''필요 카드''' ||<-3> 특수3↑ || || '''효과''' ||<-3>ATK+5. 현재의 턴이 18턴일 때, 상대 파티 전체에게 5 데미지.|| || '''설명''' ||<-3>은원의 영향은 인과를 없애버린다.|| 고정 대미지량이 매우 높고 전체 공격기이기까지 하지만 태생이 피니시 스킬이라 한 번 밖에는 못 쓴다. 18턴이 아니라도 공격력 증가 효과는 볼 수 있지만 보통은 검투사의 행진곡에 특카를 투자하게 될 것이다. 또한 검투사의 행진곡으로 차오른 체력 덕분에 이 스킬을 쓰지 않고도 이기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 편. 굳이 노리고 사용하기보단 평범하게 싸우다가 18턴까지 왔을 때 꺼낼 만한 또 하나의 히든 카드라고 보는 게 좋다. == 전용 무기 == [[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언라이트)영웅의전곡.jpg]] || 이름 || '''영웅의 전곡''' || || 코스트 || 0 || || 효과 || '''원거리 Atk +4''' || || 설명 || 듣는 사람의 사기를 높여주는 악보. || 다크룸의 5룸에서 획득 가능한 아이템으로 가끔 로테이션에 포함된다. 0코스트에 공증 4라는 미친 효과로 카렌이 바이올린을 안 켜고도 주사위로 상대를 때려잡을 수 있게 만드는 무기. [[파일:attachment/카렌베르크(언라이트)혼돈희곡.png]] || 이름 || '''혼돈 희곡''' || || 코스트 || 1 || || 효과 || '''원거리 : Atk+1. 근거리 : Def+4''' || || 설명 || 듣는 사람의 운동신경을 파괴시키는 악보. || 기간한정 레코드인 '카렌베르크 획득하기'로 얻을 수 있었다. [[파일:終末鎮魂曲.jpg]] || 이름 || '''종말 진혼곡''' || || 코스트 || 1 || || 효과 || '''ATK+1, DEF+2''' || || 설명 || 곡을 들은 모든 사람들이 사망한 저주의 악보 || BP 랭킹 상위권에게 지급된 보상 무기. [[파일:카렌합성무기.png]] || 이름 || '''광란 몽상곡''' || || 코스트 || 1 || || 효과 || '''체념의 소나타 조건 완화''' || || 설명 || 꿈 속에 있는 듯한 광기로 빠져들게 하는 악곡이 적힌 악보. || 합성 무기 시스템 추가 후, 마르스나 하우메아 크레스트를 5레벨 이상 합성무기에 합성하면 얻을 수 있는 전용장비. 체념의 소나타 조건치를 낮춰주는 패시브가 있다. (특1↑이2↑ → 특1↑ 이1↑) 현재는 밸런스 패치로 인해 체념의 소나타를 특1 이상으로 바꿔준다. [각주] [[분류:언라이트/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