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 함급명을 공유하는 함선, rd1=카렐 도어만급)]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함선)] ||||[[파일:F828_HNLMS_Van_Speijk.jpg|width=100%]]|| |||| {{{#white '''네덜란드 해군의 카렐 도어만급'''}}} || ||||[[파일:F930_BNS_Leopold_I.jpg|width=100%]]|| |||| {{{#white '''벨기에 해상구성군의 레오폴드 1세급'''}}} || [목차] == 개요 == M급[* Multi-Purpose]이라는 이명으로도 알려진 카렐 도어만급은 1991년 부터 네덜란드 해군에 배치된 다목적 호위함으로, 8척이 건조되어 한때 네덜란드 해군의 주축을 맡았으나 현재는 포르투갈, 칠레, 벨기에 등지에 매각되고 2척만이 네덜란드 해군 소속으로 활동중이다. == 제원 == ||<-7> || ||<-7> '''{{{+1 {{{#000000,#e5e5e5 카렐 도어만급 호위함}}} }}} [br] {{{#000000,#e5e5e5 Karel Doorman Klasse Multi-Purpose Fregat}}}''' || ||<-7> || ||<-2> '''함종''' ||<-5> 다목적 호위함 || ||<-2> '''이전급''' ||<-5> [[코르테나르급]] || ||<-2> '''다음급''' ||<-5> ASWF || ||<-2> '''구분''' ||<-2> '''개수 이전''' ||<-3> '''SLEP[* Service Life Extension Program] 개수 이후''' || ||<-2> '''기준배수량''' ||<-5> 2,800톤 || ||<-2> '''만재배수량''' ||<-5> 3,320톤 || ||<-2> '''전장''' ||<-5> 122.3m || ||<-2> '''전폭''' ||<-5> 14.4m || ||<-2> '''흘수선''' ||<-5> 6.1m || ||<|3> '''동력''' || '''방식''' ||<-5> [[선박/추진방식#s-3.2.3|CODOG]] || || '''기관''' ||<-5> [[롤스로이스]] 해양사업부 스페이-SM1A 가스터빈 2기 [br] (각 16,700마력) [br] 스토크-베르스크푸어[* Stork-Werkspoor] 디젤 엔진 2기 [br] (각 4,895마력) || || '''추진''' ||<-5> 프로펠러 샤프트 2기 || ||<-2> '''속도''' ||<-5> 30노트 || ||<-2> '''항속거리''' ||<-5> 18노트 순항시 9,300km || ||<-2> '''승무원''' ||<-5> 승조원 154명 [br] 항공요원 16명 || ||<|5> '''레이더''' || '''2차원 대공''' ||<-5> 탈레스 LW-08 L밴드 2차원 장거리 대공 탐지 레이더 || || '''3차원 대공''' ||<-5> 탈레스 SMART-S Mk.1 E/F밴드 3차원 대공 탐지 레이더 || || '''대수상''' ||<-2> 불명 ||<-3> 탈레스 시 와처 100 I/X밴드 대수상 탐색/추적 AESA 레이더 || || '''사격통제''' ||<-5> 탈레스 STIR 1.8 K밴드 사격통제 레이더 2기 (일루미네이터) || || '''항법''' ||<-2> 라칼 1226형 항법 레이더 ||<-3> 탈레스 SCOUT 대수상 탐색/항법 레이더 || ||<|2> '''소나''' || '''고정''' ||<-5> 탈레스 PHS-36 선저 소나 [br] 울트라 일렉트로닉스 다중상태[* Multi-static, 멀티 스태틱.] 저주파 능동/수동 소나 (네덜란드군) || || '''예인''' ||<-2> - ||<-3> 탈레스 DSBV-61 아나콘다 초저주파 가변 심도 수동 예인 소나 || ||<-2> '''탐지/추적 장치''' ||<-2> - ||<-3> 탈레스 게이트키퍼 광학추적식 전방위 탐지 시스템 || ||<|2> '''기만 장비''' || '''디코이''' ||<-5> [[BAE 시스템즈|BAE]] Mk.36 SRBOC[* Super Rapid Bloom Offboard Countermeasures Chaff and Decoy Launching System] 디코이 발사기 4기 [br] AN/SLQ-25 닉시 어뢰 기만체 || || '''[[ECM|ESM/ECM]]''' ||<-2> 아르고 시스템즈 APECS-II/AR-700 능동/수동형 ECM/ESM ||<-3> 탈레스 비질 APX ESM || ||<|9> '''무장''' || '''함포''' ||<-5> [[오토멜라라 76mm 함포|오토멜라라 76mm 62구경장 함포]] 1문 || || '''CIWS''' ||<-5> [[시그널 사|시그널]] [[SGE-30 골키퍼]] 1문 || ||<|2> '''대공''' ||<-5> Mk.48 Mod 1 VLS 16셀 || ||<-5> [[RIM-7 시스패로우|RIM-7P 시스패로우]] 16발 || ||<|2> '''대함''' ||<-5> Mk.141 4연장 하푼 경사발사대 2기 || ||<-5> [[하푼|RGM-84D 하푼 Block 1C]] 8발 || ||<|2> '''대잠''' ||<-5> Mk.32 Mod 9 324mm 2연장 어뢰 발사관 2문 || ||<-5> [[Mk.46 경어뢰]] ?발 || || '''기타''' ||<-5>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12.7mm 중기관총 2~4정 [br] [[FN MAG]] 7.62mm 다목적 기관총 4~6정 || ||<-2> '''항공 시설''' ||<-5> 비행갑판 308m^^2^^ [br] 중형 헬리콥터 격납고 || ||<-2><|2> '''탑재 항공기''' || [[슈퍼링스]] 1기 [br] (네덜란드, 포르투갈군) ||<|2> 또는 || [[NH90|NH90 NFH]] 1기 [br] (네덜란드, 벨기에군) ||<|2> 또는 || [[H215M|AS532SC]] 1기 [br] (칠레군) || || [[Mk.46 경어뢰]] 2발 || [[Mk.46 경어뢰]] 2발 || [[엑조세|AM39 엑조세]] 2발 || ||<-2> '''탑재 수상정''' ||<-5> [[고속단정]] 1척 || == 상세 == 카렐 도어만급은 특정 임무에 특화된 형태보다는 대공, 대수상, 대잠 임무를 모두 소화하기 위하여 다목적성을 추구하였다. 그래서 대잠전을 위해서는 강력한 예인 소나를 달고 다니며, 대수상 전투를 위해서 4연장 하푼 발사대 2기를 탑재한다. 특이한 점으로는 대공 탐지 효율[* 대양에서 [[야혼트]]같은 소련의 초음속 대함미사일을 보다 멀리서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서.]을 높이기 위해서 함교와 마스트의 위치를 높이려고[* 일반적인 호위함들보다 마스트가 높은곳에 있다. 개수형 도어만급의 마스트는 파고다 마스트를 연상케 할 정도.] 함포 포지션 뒤에 VLS용 B 포지션을 따로 두지 않아서, [[시스패로우]]를 장착한 [[Mk.48 VLS]]를 헬기 격납고 왼쪽에 몰아서 탑재하였다. 즉 VLS가 [[핼리팩스급]]처럼 B 포지션이 아닌 다른곳에 장착되어 있다는것. 그 외의 무장은 간결한 편인 76mm 함포 1문과 30mm 골키퍼 CIWS 등으로, 함포의 구경을 제외하면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과 비슷한 수준이다. 대공 레이다 체계는 탈레스社의 SMART-S 와 LW-08로 구성되어 있다. LW-08은 2차원 장거리 대공 수색 레이다로, 대 항공기 탐지거리는 230km, 대함미사일 탐지 거리는 약 100km으로, 400개의 목표를 추적 할 수 있다. SMART-S Mk.1는 중장거리 대공/대수상 수색 레이다로, 최대 탐지거리는 90km, 동시 목표 추적 수는 160개이고, 마하 3 정도의 속도에 레이다 반사 면적이 0.1m^^2^^ 정도 되는 신형 대함미사일도 약 45km 거리에서 탐지/추적 할 수 있다. 2010년대 들어서 실시한 개수형의 경우는 새 형상의 마스트를 채택하였고, 탈레스社의 시 와처 비선회식 X밴드 대수상 [[AESA]] 레이다를 탑재하여 연안 작전에서도 강력한 대수상 탐지능력을 지닌다. 대잠 능력도 준수한 편으로, 대잠 헬기 운영을 위한 격납고와 비행갑판이 있으며, 대잠 헬기로 [[슈퍼링스|UH-14A]] 또는 [[NH90]] 1기를 탑재하고 있다. 자체 대잠 무장으로는 Mk.46 324mm 어뢰를 탑재한 Mk.32 Mod 9 2연장 어뢰 발사관 2문을 장착하고 있으며, 선저 소나로 PHS-36 중주파 소나 (탐지 거리 약 32km, 8~12개의 목표 추적)를, 예인 소나로 DSBV-61 아나콘다(탐지 거리 약 150km)를 각각 1기씩 장착하고 있고, 추가로 개수를 받은 네덜란드 해군의 함정에는 UE社의 다중상태 선배열 소나도 탑재되어 있다. == 근황 == 서유럽에 분 대대적인 군축의 여파로 2005년 네덜란드 정부는 8척중 6척의 카렐 도어만급을 해외에 매각하기로 하였으며, 벨기에[* [[레오폴드]] 1세급으로 명명.], 칠레[* M급으로 명명.], 포르투갈[* [[바르톨로뮤 디아스]]급으로 명명.]에 각각 2척씩을 매각하였다. 이후 2012년부턴 벨기에와 네덜란드에 있는 카렐 도어만급에는 현대화 개수를 실시하였고, 총 4척이 대수상 레이다와 전방위 광학추적 감시장치, 예인 소나를 다는 개수를 받았다. 벨기에의 레오폴드 1세급은 벨기에 해상 구성군의 주력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도어만급은 [[네덜란드령 카리브]] 등지에서 [[홀란트급 원양초계함|홀란트급]]과 같이 초계 임무를 맡고 있다고 한다. 카렐 도어만급의 역할은 신형함인 4척의 홀란드급이 일부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홀란드급은 대공 탐지 능력은 좋지만 대공/대함 미사일은 없는 [[원양초계함]]이라서 네덜란드 내부에서는 카렐 도어만급을 너무 빨리 매각해버렸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네덜란드와 벨기에가 각각 보유 중인 카렐 도어만급을 대체하기 위한 차기 호위함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다. == 동형함 목록 == ||<-9> || ||<-9> {{{#000000,#e5e5e5 '''네덜란드 왕립해군'''}}} || ||<-9>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모항''' || '''상태''' || '''비고''' || || 1 || F827 ||HNLMS[* 네덜란드어로 Zr. Ms.] 카렐 도어만 (Karel Doorman) || 1985.2.26 || 1988.4.20 || 1991.5.31 || 덴 헬데르 ||<|2> 벨기에에 매각 ||<|2> 2005.12.22 퇴역후 매각 || || 2 || F829 ||HNLMS 빌럼 반 데르 잔 (Willem van der Zaan) || 1985.11.6 || 1989.1.21 || 1991.11.28 || 덴 헬데르 || || 3 || F830 ||HNLMS 테리크 히데스 (Tjerk Hiddes) || 1986.10.28 || 1989.12.9 || 1993.2.26 || 불명 || 칠레에 매각 || 2006.2.3 퇴역후 매각 || || 4 || F831 ||HNLMS 반 암스텔 (Van Amstel) || 1987.5.3 || 1990.5.19 || 1993.5.27 || 덴 헬데르 || 현역 || SLEP 개수 받음. || || 5 || F832 ||HNLMS 아브라함 반 데르 헐스트 (Abraham van der Hulst) || 1989.2.8 || 1991.9.7 || 1993.12.15 || 불명 || 칠레에 매각 || 2006.2.3 퇴역후 매각 || || 6 || F833 ||HNLMS 반 네스 (Van Nes) || 1990.1.10 || 1992.5.16 || 1994.6.2 || 불명 ||<|2> 포르투갈에 매각 ||<|2> 2007.12.20 퇴역후 매각 || || 7 || F834 ||HNLMS 반 갈렌 (Van Galen) || 1990.6.7 || 1992.11.21 || 1994.12.1 || 덴 헬데르 || || 8 || F828 ||HNLMS 반 스페이크 (Van Speijk) || 1991.10.1 || 1994.3.26 || 1995.9.7 || 불명 || 현역 || SLEP 개수 받음. || ||<-9> '''{{{#ffffff 벨기에 해상구성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모항''' || '''상태''' || '''비고''' || || 1 || F930 ||BNS 레오폴드 I (Leopold I) || - || - || 2007.3.29 || 제브뤼헤 || 현역 || 前 HNLMS 카렐 도어만, SLEP 개수 받음. || || 2 || F931 ||BNS 루이스 마리 (Louise Marie) || - || - || 2008.4.8 || 제브뤼헤 || 현역 || 前 HNLMS 빌럼 반 데르 잔, SLEP 개수 받음. || ||<-9> {{{#FFF '''포르투갈 해군''' }}}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모항''' || '''상태''' || '''비고''' || || 1 || F333 ||NRP 바르톨로뮤 디아스 (Bartolomeu Dias) || - || - || 2009.1.16 || 리스본 || 현역 || 前 HNLMS 반 네스 || || 2 || F334 ||NRP D.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 (D. Francisco de Almeida) || - || - || 2010.1.15 || 리스본 || 현역 || 前 HNLMS 반 갈렌 || ||<-9> '''{{{#ffffff 칠레 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모항''' || '''상태''' || '''비고''' || || 1 || FFG-15 ||CS 알미란테 블랑코 엔칼라다 (Almirante Blanco Encalada) || - || - || 2006년 ||<|2> 산티아고 ||<|2> 현역 || 前 HNLMS 아브라함 반 데르 헐스트 || || 2 || FFG-18 ||CS 알미란테 리베로스 (Almirante Riveros) || - || - || 2009년 || 前 HNLMS 테리크 히데스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칠레 함선)] [include(틀:현대전/벨기에 함선)] [include(틀:현대전/포르투갈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각주] [[분류:호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네덜란드군/군함]][[분류:벨기에군/장비]][[분류:칠레군/장비]][[분류:포르투갈군/군함]]